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간과 인간 (르네상스, 바로크 건축)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56051956
· 쪽수 : 800쪽
· 출판일 : 2007-06-27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56051956
· 쪽수 : 800쪽
· 출판일 : 2007-06-27
책 소개
이화여대 건축학과 임석재 교수가 쓴 서양건축사 시리즈의 네 번째 책, <인간과 인간>이 출간됐다. 4권에서는 르네상스에서 매너리즘을 거쳐 바로크 건축에 이르는 16~18세기의 건축을 다룬다. 이 시기의 건축 발달에서 무엇보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름을 지닌 개별 건축가들이 전면에 떠오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목차
제1장. 르네상스의 성립
1. 고전과 인간
2. 도시와 상업가문
3. 인간과 경험주의
제2장. 초기 르네상스(1420-1500)
1.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2.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3. 미켈로초 디바르톨로메오
4. 베네치아 지역 양식
제3장. 성기 르네상스(1490-1530)
1. 도나토 브라만테
2. 상갈로 형제
3. 라파엘로
제4장. 매너리즘(1520-1600)
1. 소외와 반항
2. 발다사레 페루치
3. 안토니오 다상갈로 일조반네
4. 줄리오 로마노
5.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6. 갈레초 알레시와 조르조 바사리
제5장. 16세기 베네치아 르네상스
1. 미켈레 산미켈리
2. 자코포 산소비노
3. 안드레아 팔라디오
제6장. 프랑스?영국?독일 르네상스
1. 프랑스 르네상스(1500-1600)
2. 영국 르네상스(1600-1660)
3. 독일 르네상스(1550-1620)
제7장. 바로크의 성립
1. 가톨릭, 절대왕정, 바로크
2. 바로크 고전주의
3. 고대 바로크와 중세주의
4. 자코모 바로치 다비뇰라
5. 빈첸초 스카모치
제8장. 초기 바로크(1570-1630)
1. 자코모 델라포르타
2. 카를로 마데르노
3. 바로크의 확산
제9장. 성기 바로크(1630-1670)
1. 조반니 로렌초 베르니니
2. 프란체스코 보로미니
3. 피에트로 베레티니 다코르토나
4. 바로크 매너리즘
제10장. 후기 바로크(1670-1750)
1. 카를로 폰타나
2. 과리노 과리니
3. 필리포 주바라
4. 베르나르도 안토니오 비토네
제11장. 프랑스 바로크(1600-1700)
1. 프랑스 바로크 고전주의의 성립
2. 살로몽 드브로스
3. 자크 르메르시에
4. 프랑수아 망사르
5. 호텔과 성채-망사르와 루이 르보
6. 쥘 아르두앙-망사르
제12장. 영국 바로크(1660-1730)
1. 영국 바로크의 성립
2. 크리스토퍼 렌 경
3. 니콜라스 호크스무어
4. 존 밴브루 경
5. 밴브루-호크스무어 양식
6. 아처와 깁스
제13장. 중부유럽 바로크(1680-1750)
1. 중부유럽 바로크의 성립
2. 중부유럽 바로크 건축의 전개
3. 요한 베른하르트 피셔 폰 에를라흐
4. 남부독일(1)과 후기 바로크
5. 남부독일(2)-요한 발타자르 노이만
6. 남부독일(3)-요한 미하엘 피셔
부록
참고문헌
그림목록
찾아보기
한글 표기목록
1. 고전과 인간
2. 도시와 상업가문
3. 인간과 경험주의
제2장. 초기 르네상스(1420-1500)
1.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2.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3. 미켈로초 디바르톨로메오
4. 베네치아 지역 양식
제3장. 성기 르네상스(1490-1530)
1. 도나토 브라만테
2. 상갈로 형제
3. 라파엘로
제4장. 매너리즘(1520-1600)
1. 소외와 반항
2. 발다사레 페루치
3. 안토니오 다상갈로 일조반네
4. 줄리오 로마노
5.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6. 갈레초 알레시와 조르조 바사리
제5장. 16세기 베네치아 르네상스
1. 미켈레 산미켈리
2. 자코포 산소비노
3. 안드레아 팔라디오
제6장. 프랑스?영국?독일 르네상스
1. 프랑스 르네상스(1500-1600)
2. 영국 르네상스(1600-1660)
3. 독일 르네상스(1550-1620)
제7장. 바로크의 성립
1. 가톨릭, 절대왕정, 바로크
2. 바로크 고전주의
3. 고대 바로크와 중세주의
4. 자코모 바로치 다비뇰라
5. 빈첸초 스카모치
제8장. 초기 바로크(1570-1630)
1. 자코모 델라포르타
2. 카를로 마데르노
3. 바로크의 확산
제9장. 성기 바로크(1630-1670)
1. 조반니 로렌초 베르니니
2. 프란체스코 보로미니
3. 피에트로 베레티니 다코르토나
4. 바로크 매너리즘
제10장. 후기 바로크(1670-1750)
1. 카를로 폰타나
2. 과리노 과리니
3. 필리포 주바라
4. 베르나르도 안토니오 비토네
제11장. 프랑스 바로크(1600-1700)
1. 프랑스 바로크 고전주의의 성립
2. 살로몽 드브로스
3. 자크 르메르시에
4. 프랑수아 망사르
5. 호텔과 성채-망사르와 루이 르보
6. 쥘 아르두앙-망사르
제12장. 영국 바로크(1660-1730)
1. 영국 바로크의 성립
2. 크리스토퍼 렌 경
3. 니콜라스 호크스무어
4. 존 밴브루 경
5. 밴브루-호크스무어 양식
6. 아처와 깁스
제13장. 중부유럽 바로크(1680-1750)
1. 중부유럽 바로크의 성립
2. 중부유럽 바로크 건축의 전개
3. 요한 베른하르트 피셔 폰 에를라흐
4. 남부독일(1)과 후기 바로크
5. 남부독일(2)-요한 발타자르 노이만
6. 남부독일(3)-요한 미하엘 피셔
부록
참고문헌
그림목록
찾아보기
한글 표기목록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세 기독교 건축에서 하늘은 땅과의 이분법적 관계 위에서 그 의미가 정의되고 해석되었다. 땅과 하늘은 거시적으로는 고대 지중해건축과 중세 유럽건축을 구분하는 기준이었고, 미시적으로는 같은 중세 건축 내에서도 다시 로마네스크와 고딕을 가르는 기준이었다. 더 미시적으로는 로마네스크나 고딕 내에서 여러 세분화된 경향들을 가르는 기준이었다. 기독교는 기독교이고 하늘은 하늘이되, 그 의미는 땅에 어떠한 입장을 갖는가에 따라 정의되고 해석되었다.
사물, 현상, 가치, 역사는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작동하지 않는다. 하나의 상황에는 쌍개념이 함께한다. 쌍개념은 기본적으로 상반되는 것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하나의 상황이 작동할 수 있게 해주는 짝이나 파트너 같은 개념이다. 서양건축사에만 한정시켜 보았을 때 그 전개과정은 수많은 쌍개념으로 구성된다.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대륙성과 해양성, 성과 속, 동방과 서양, 중앙형과 선형, 이스트 엔드와 웨스트 워크, 추상과 구상, 종합화와 단순화, 자연과 인간, 자연과 기술,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성과 속, 하늘과 땅, 위계와 분산 등등 많은 쌍개념을 찾아낼 수 있다. 역사 발전의 동인은 쌍개념들 사이의 상호 관계 및 작동 방식에서 비롯되고 결정된다. - 3권 서문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