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파리 도시건축의 역사

파리 도시건축의 역사

(중세와 고전의 시대)

임석재 (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900원
29,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파리 도시건축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파리 도시건축의 역사 (중세와 고전의 시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58904876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3-07-05

책 소개

오늘날 수많은 사람이 파리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책은 호기심과 모험심을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품어봤을 이러한 궁금증들에 대해 도시학과 건축학, 역사학의 세 학문으로 답하는 파리 도시건축사의 결정판이다.

목차

프롤로그

1부. 파리는 어떤 도시일까
1장. 프랑스의 문화적 힘과 파리 도시건축의 특징: 혼성과 형식화의 조화
프랑스의 네 가지 문화적 힘 1: 혼성 문화
프랑스의 네 가지 문화적 힘 2: 개방성, 종합화, 역사성
파리의 여섯 가지 도시건축 특징 1: 고전주의 + 사회 형식화 = 고전 형식화
파리의 여섯 가지 도시건축 특징 2: 구조 합리주의 + 중세정신 = 중세 합리주의
파리의 여섯 가지 도시건축 특징 3: 고급 예술의 상품화
2장. ‘파리, 파리’ 하는 열 가지 이유: 도시건축 역량에서 자연환경까지
도시건축 역량: 로마와 맞설 수 있는 유일한 도시
‘국가 - 예술’ 역량: 역사적 장소의 보고와 센강의 축복
3장. 파리의 도시구조: 아롱디스망과 동심원
센강, 포부르, 아롱디스망: 지리와 행정으로 본 파리 구성
세 겹 동심원과 성곽: 도시공학으로 본 파리의 도시구조
4장. 20개의 아롱디스망: 세 겹 동심원과 역동적 확장
1차 동심원 1: 우안의 1구와 2구
1차 동심원 2: 우안의 3구와 4구
1차 동심원 3: 좌안의 5구와 6구
2차 동심원 1: 7구
2차 동심원 2: 8구~11구
3차 동심원 1: 12구
3차 동심원 2: 13구~20구

2부. 로마와 초기 기독교 시대(기원전 51~서기 751년)
5장. 로마 시대(기원전 51~서기 476년): 카이사르와 ‘루테티아 파리시오룸’
루테티아: 켈트 갈리아족이 세운 요새화된 시장 도시
로마 시대의 복합 도시: 카이사르가 세운 ‘루테티아 파리시오룸’
불르바르의 도시 파리: 십자축 대로와 방사형 도로망
로마 후기: 게르만족의 침입과 시테섬의 성곽 축조
로마 뿌리에 대한 현대 파리지앵의 생각: 부정과 긍정의 양면
6장. 초기 기독교 시대(250~751년): 생트주느비에브와 생제르맹데프레의 활약
파리의 초기 기독교 시대를 정의하는 문제
생드니와 생마르탱: 파리를 기독교 도시로 개종하다
생트주느비에브: 파리의 수호성인이자 최초의 정신적 지주
프랑크 왕국, 클로비스 1세, 메로빙거 왕조: 초기 기독교 시대 파리의 정치사
메로빙거 왕조 때 파리의 도시건축: 기독교 도시의 기틀을 닦다
생제르맹데프레: 신유의 이적과 빈민구제 활동

3부. 중세 시대(751~1514년)
7장. ‘중세’의 정의와 카롤링거 왕조(751~987년): 서프랑크 왕국의 수도, 파리
중세의 시대 구분: 풍성한 역사 논의의 보고
파리의 중세 구분 기준 네 가지: 교회사, 정치사, 도시사, 건축사
카롤링거 왕조 1: 프랑스 국가 정체성의 성립
카롤링거 왕조 2: 바이킹족의 침입
8장. 카페 왕조(987~1328년): 중세 파리의 최전성기
카페 왕조: 최초의 진정한 프랑스 왕국
11세기 파리의 안정기: 교역의 중심지로 기틀을 닦다
12세기 파리의 전성기: 양안 개발과 기독교 - 비기독교 양대 건축의 시작
필리프 2세의 파리: 13세기 최전성기의 시작
루이 9세의 파리 1: 성왕의 신앙심과 프랑스 중세의 최전성기
루이 9세의 파리 2: 13세기 최전성기와 기독교 건축
루이 9세의 파리 3: 비잔틴과 신성로마제국을 앞지르다
‘파리’라는 이름의 정착: 12~13세기의 평화 번영과 ‘파리스’ 왕자의 정체성
9장. 발루아 왕조의 중세 시기(1328~1515년): 고난을 이기고 재도약하는 파리
발루아 왕조: 고난의 시대에 닦은 통일국가의 기틀
14~15세기 파리의 건축: 교회를 중심으로 역사성을 확보하다
백년전쟁(1337~1453년) 기간 파리의 도시 상황: 꾸준한 발전을 이어가다
15세기 후반부 파리의 도시 상황: 전쟁에서 벗어나 르네상스를 준비하다
10장. 중세 파리의 위상: 유럽의 수도로 부상하다
중세 종합형 도시 파리: 북유럽의 중심도시에서 유럽의 수도로
종합화의 두 가지 배경: 지리적 이점과 역사적 · 정치적 자산
중세 파리의 업적: 개방적 메트로폴리스 문명을 일구다
11장. 중세 파리의 도시건축: 네 구역에 포진했던 다양한 건물들
중세 파리의 건축 개괄: 신분제 국가의 종합형 수도
수도원의 도시 파리: 포부르를 정비하면서 파리의 확장을 주도하다
파리대학: 중세 르네상스와 스콜라 신학을 이끈 지성의 산실
중세 파리의 네 구역: 시테섬, 좌안, 우안, 포부르
사진으로 보는 중세 파리: 과밀과 비위생의 문제
12장. 노트르담 대성당 1: 영욕의 중세 기록
프랑스 역사의 증언자: 풍부한 문화 논제를 낳다
건물의 건축 역사 1단계: 고딕 최초로 플라잉 버트레스를 세우다
건물의 건축 역사 2단계: 스테인드글라스로 스콜라 신학을 실현하다
파라다이스를 구현한 중세 이상 도시: 플라스 뒤 파르비스 노트르담
피해갈 수 없는 흑역사 1: 유곽을 낀 성적 타락상
피해갈 수 없는 흑역사 2: 종교재판소와 치유의 미신
라블레의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인문주의가 비판한 노트르담 대성당의 이중성
13장. 노트르담 대성당 2: 중세 이후 프랑스 역사의 증인
16세기와 노트르담의 ‘역사적 항상성’: 왕실 행사의 장이자 시민의 축제 장소
종교전쟁(1562~1598년) 기간: 콜리니 살해 미수 사건의 현장
종교전쟁 기간: 앙리 4세가 미사를 드리고 종교전쟁을 종식한 곳
17세기 루이 14세 기간: 프롱드의 난과 베르니니 방문 사건
절대왕정~19세기: 쇠락과 파괴와 복원의 역사
14장. 시테궁: 프랑스 정치사의 압축판
시테궁 개요: 시테섬의 터줏대감, 왕궁 복합단지
중세 때의 시테궁: 콩시에르주리에서 파리고등법원으로
왕궁이 떠난 뒤: 파리고등법원, 혁명재판소, 최고재판소
15장. 생트샤펠: 스테인드글라스, 스콜라 신학, 갈리아주의
루이 9세의 신앙심의 산물: 성물 보관교회를 겸한 왕실 전용 예배당
세 가지 복합 기능: 성물 보관교회, 왕실 전용 예배당, 대학 교회
빛과 스테인드글라스: 앙천성으로 극화한 하늘나라
노트르담 대성당과의 비교: 중세 전성기를 함께 이룬 단짝
스콜라 신학과 갈리아주의의 전성기: 13세기 시대 상황을 대표하다
16장. 중세 파리의 기독교 건축: 수호성인, 공적 기능, 교구 교회, 외부 성인
2차 교회 여덟 채: 중세 파리의 역사를 풍성하게 하는 세부 주제의 보고
생제르맹데프레와 생제르베: 수호성인의 교회
생자크와 생으스타슈: 공적 기능의 교회
생테티엔뒤몽과 생제르맹록세루아: 주요 시설에 부속된 교구 교회
생세브랭과 생메리: 외부에서 들어온 성인의 교회

4부. 초기 근대(1515~1750년)
17장. 르네상스 파리(1515~1610년): 16세기 파리 도시 상황 개괄
파리 르네상스의 시작: 제1차 이탈리아전쟁과 종교개혁 사이의 1515년
16세기 프랑스 르네상스: 여러 왕이 일군 위대한 세기
파리의 도시 변화 상황: 왕실의 파리 정착과 인구 증가
18장. 르네상스 파리: 프랑수아 1세~앙리 4세
프랑수아 1세 1: 내치의 업적과 파리 도시건축 사업
프랑수아 1세 2: 루브르궁 수리, 파리 시청사 신축, 생으스타슈의 혼성 양식
앙리 2세, 샤를 9세, 앙리 3세: 카트린 드 메디치와 왕궁 건축
로티스망 개발 사업: 파리 최초의 부동산 수익 사업
앙리 4세 1: 공공개발, 파노라마 시선, 도시경관
앙리 4세 2: 최초로 근대적 도시화의 종합적 완성을 이루다
19장. 바로크 파리: 도시건축 개괄과 루이 13세 시대(1610~1643년)
바로크(1610~1715년)의 파리 도시 개괄: 웅장하면서도 환상적으로
바로크의 파리 건축 개괄: 그랜드 매너와 국가 양식의 창출
루이 13세의 부동산 개발 사업: 생루이섬, 뤽상부르궁 일대, 추기경 궁전 일대
루이 13세의 건축 사업: 바로크를 시작해서 발전시키다
파리 도시건축의 확장: 개별 건물과 성곽이 함께 확장하다
20장. 바로크 파리: 루이 14세(1643~1715년)
루이 14세와 파리의 위상: 절대왕정의 영광과 유럽의 수도
파리 도시 개발 1: 성곽 확장과 우안 개발
파리 도시 개발 2: 가로수 산책로(나무 심은 불르바르) 건설
개별 건물 1: ‘비기독교 vs. 기독교’ 건축 모두 활발히 진행되다
개별 건물 2: 개선문에 집착한 루이 14세
‘쿠르’의 등장: 파리의 ‘거리 문화’ 전통을 구축하다
21장. 루브르궁(1190~1678년): 성채형 왕궁에서 올드 루브르까지
초기 근대기 파리의 왕궁 네 곳: 지금도 파리 시민의 품속에서 함께하다
중세 루브르: 영국을 방어하기 위한 성채형 왕궁으로 시작하다
올드 루브르 1단계: 레스코 윙과 프랑스 국가 양식의 시작
올드 루브르 2단계 1: ‘그랜드 디자인’의 전체 계획
올드 루브르 2단계 2: ‘그랜드 디자인’ 가운데 앙리 4세 때 지어진 부분
올드 루브르 3단계: 루이 13세와 시계관 건설
올드 루브르 4단계: 루이 14세와 쿠르 카레의 완성
동익랑: 베르니니의 파리 방문과 프랑스 국가 양식의 각성
22장. 튈르리궁: 여러 불행이 겹쳤던 비운의 왕궁
튈르리궁 개요: 카트린 드 메디치의 왕비용 궁전
카트린의 기본 구상: 센강 감상용 복도로 루브르궁과 연결하다
앙리 3세와 앙리 4세: 뷜랑의 안과 1차 준공
루이 14세와 최종 준공: 본궁을 다듬어 왕궁의 품격을 갖추다
23장. 뤽상부르궁과 팔레 루아얄: 좌안과 우안의 2차 왕궁
뤽상부르궁의 건축 역사: 마리 드 메디치의 왕비용 궁전
마리 이후의 뤽상부르궁: 왕실 궁전 - 국립교도소 - 상원의사당
뤽상부르궁의 건축사적 의미: 국가 양식으로 가는 중간 과정
팔레 루아얄의 건축 역사: 추기경 궁전에서 문화부 청사까지
팔레 루아얄의 건축미학: 오텔의 대칭 구성을 이끌다
24장. 루이 13세와 바로크 교회: ‘이탈리아주의’와 ‘프랑스주의’의 충돌
초기 근대의 문화 시설과 바로크 교회 건축
바로크 교회 다섯 채: 갈리아주의 아래 국가 양식을 창출하다
드 브로스의 생제르베: ‘이탈리아주의’와 ‘프랑스주의’를 함께 제시하다
르메르시에의 소르본 교회 가로 입면: 이탈리아주의의 표본
망사르의 성모마리아 방문교회: 프랑스주의의 표본
25장. 발 드 그라스 수도원 본당 교회: 이탈리아주의의 강화
발 드 그라스 수도원: 안 도트리슈의 왕립 수도원
본당 교회 1: 첫 번째 건축가 망사르의 원안
루이 14세: 수도원 규모는 줄이고 본당 교회는 라틴 크로스로 확장해서 준공하다
본당 교회 2: 이탈리아 선례를 종합한 이탈리아주의의 대표작
26장. 루이 14세와 앵발리드 보훈병원: 애국주의로 완성한 국가 양식
앵발리드 교회: 프랑스 국가 양식의 최종 완성
앵발리드 복합단지 1: 참전용사를 위한 보훈병원
앵발리드 복합단지 2: 생루이 교회와 앵발리드 교회를 증축하다
교회를 통한 국가 양식의 완성 1: 정면 외관의 웅장함, 위엄, 품격
교회를 통한 국가 양식의 완성 2: 세 가지 방향성으로 강조한 그랜드 매너
보훈병원 부분: 국가 양식의 사회적 토대로서의 애국주의

에필로그
도판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임석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사학자이자 건축가인 임석재 교수는 1961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학위를,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건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1호 교수로 부임하여 현재에 이른다. 대학 강의뿐 아니라 JTBC <차이나는 클라스>와 tvN <벌거벗은 세계사> 등 TV 강연을 비롯한 다수의 교양 특강을 통해 건축학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으며, 2019년에는 ‛건축으로 읽는 사회문화사’ 강의로 K-MOOC 블루리본(최우수강좌)과 우수강좌에도 선정된 바 있다. 그는 특유의 사고력과 통찰력으로 동양과 서양, 고대와 현대, 분야와 소재를 아우르고 넘나들며 건축을 주제로 한 폭넓고 깊이 있는 연구 및 설계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60여 권의 단독 저작 속에 이러한 그의 독특한 학문 세계가 망라되어 있으며, 주 전공은 건축 역사와 건축 이론이고 현실 문제에 대한 문명 비판도 병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 『파리 도시건축의 역사: 중세와 고전의 시대』(2023) 『서울 건축사: 건축으로 읽는 629년의 사회문화사』(2022) 『아방가르드 회화의 도시 미학』(2021) 『피라미드의 문: 피라미드 공간을 보는 새로운 눈』(2021) 『모든 도시에는 그리스 신전이 있다』(2020) 『집의 정신적 가치, 정주: 집에서 실존을 확보하다』(2019) 『극장의 역사: 건축과 연극의 사회문화사』(2018) 『광야와 도시: 건축가가 본 기독교 미술』(2017) 『시간의 힘: 오래된 건물을 따뜻하게 만나다』(2017) 『한국 건축과 도덕 정신』(2016) 『예(禮)로 지은 경복궁: 동양 미학으로 읽다』(2015) 『건축의 지역성을 다시 생각한다』(2015) 『유럽의 주택: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 교수의 건축문화사』(2014) 『지혜롭고 행복한 집 한옥: 한옥의 과학과 미학』(2013) 『한국 현대건축의 지평』(전 2권, 2013) 『기계가 된 몸과 현대 건축의 탄생』(2012) 『사회미학으로 읽는 개화기-일제강점기 서울 건축』(2011) 『임석재의 생태 건축: 일곱 번의 위기와 일곱 개의 자연』(2011) 『한 권으로 읽는 임석재의 서양건축사』(2011) 『우리 건축 서양 건축 함께 읽기』(2011) 『서울, 건축의 도시를 걷다』(전 2권, 2010) 『계단, 문명을 오르다』(전 2권, 2009) 『건축과 미술이 만나다』(전 2권, 2008)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