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건강/미용
· ISBN : 9788956169460
· 쪽수 : 485쪽
· 출판일 : 2025-08-30
목차
제1장. 미용교육의 이해(이상원, 이희빈) / 11
1절. 미용교육의 정의 14
2절. 미용교육의 범위 15
3절. 미용교육 관련 자격 16
제2장. 미용교육의 역사(이희빈, 황미경) / 19
1절. 제1차 교육과정(1955년~1963년) 23
2절. 제2차 교육과정(1964년~1973년) 26
3절. 제3차 교육과정(1974년~1981년) 30
4절. 제7차 교육과정(2001년~2008년) 32
5절. 2007 개정 교육과정(2009년~2010년) 39
6절. 2009 개정 교육과정(2011년~2017년) 47
7절. 2015 개정 교육과정(2018년~2024년) 55
제3장.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의 이해(김성은, 이상원) / 69
1절. 2022 개정 교육과정 73
2절. 2022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 76
3절. 고교학점제 96
4절. 직업계고 학점제 103
5절. 2022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 적용 교육과정 편성의 실제 114
6절. 2022 개정 미용과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의 실제 144
제4장. 교수-학습 및 교수설계 이론(권현진, 정숙희) / 161
1절. 교수-학습의 심리학적 기초 165
1) 행동주의 / 165
2) 인지주의 / 172
3) 구성주의 / 179
2절. 교수체제 개발 185
1) ADDIE 모형 / 186
2) Dick & Carey 모형 / 188
3절. 교수설계 이론 191
1) 글레이저의 수업모형 / 192
2) 가네의 9가지 수업사태 / 193
3) 켈러의 학습동기(ARCS) 이론 / 196
4절. 교수-학습지도안의 실제 200
1) 수업목표 진술 / 200
2)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 204
제5장. 미용교육과 교수-학습 방법 및 모형(이상원, 이정현) / 223
1절. 강의법 227
2절. 문답법 229
3절. 토의법 232
1) 자유토의 / 232
2) 배심토의 / 232
3) 공개토의 / 233
4) 단상토의 / 233
5) 세미나 / 233
6) 대담토의 / 233
7) 원탁토의 / 234
8) 버즈토의 / 234
4절. 실습 중심 학습 236
1) 시범-실습(실연)법 / 237
2) 개별 확인식 수업 / 241
3) 직접교수법 / 244
4) 실습 중심 학습의 응용 / 248
5절. 문제해결법 252
6절. 프로젝트 학습 254
7절. 협동학습 259
1) Jigsaw(직소)Ⅰ-Ⅳ / 262
2) STAD(성취과제 분담모형) / 267
3) TGT(팀 경쟁학습) / 270
4) TAI(팀 보조 개별학습) / 273
5) LT(함께 학습하기) / 275
6) GI(집단 탐구) / 276
7) co-op co-op(자율적 협동학습) / 278
8절. 역할놀이 284
9절. 인지적 도제 이론 289
10절. 상황학습 295
11절. PBL(문제중심학습) 297
제6장. 미용교육과 교수매체 선정 및 에듀테크(안정민, 리순화) / 311
1절. 교수매체 315
1) 교수매체의 정의 / 315
2) 교수매체의 특성 및 교육적 기능 / 315
3) 교수매체의 분류 / 316
4) 교수매체 선정 모형 / 320
2절. ICT 및 디지털 교육 334
1) 디지털 기술 활용 교육의 동향 / 336
2) 디지털 기반 학습의 종류 / 338 3) 디지털 교육 / 343
3절. 에듀테크의 활용 352
1) 에듀테크의 개념과 정의 / 352
2) 에듀테크의 활용 / 353
3) 에듀테크의 필요성 / 354
4) 에듀테크의 유형 구분 / 355
5) 교육과정 내 에듀테크 활용 범주 / 359
6) 직업계고 교육과정과 에듀테크 / 364
7) 실제 교과수업 및 행정 적용 사례 / 365
8) 에듀테크 활용 교수-학습 전략 / 366
제7장. 미용교육과 교육평가(김슬기, 이상원, 이종숙) / 373
1절. 평가의 유형 377
1) 양적평가와 질적평가 / 377
2) 준거참조평가와 규준참조평가 / 379
3)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 383
4)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 / 387
5) 정적평가와 역동적평가 / 388
6) 성취평가제 / 389
2절. 교수-학습 및 평가 운영 392
1) 교수-학습 및 평가 운영의 이해 / 392
2) 2022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 운영 계획 작성의 실제 / 396
3) 2022 개정 교육과정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 401
3절. 평가도구 개발 405
1) 평가도구 개발의 이해 / 405
2) 평가의 오류 / 406
3) 평가도구의 양호도 / 408
4) 지필평가의 이해 / 412
5) 지필평가의 제작 / 415
6) 수행평가의 이해 / 433
7) 수행평가의 도구 / 443
제8장. 미용교육과 교육실습(이상원) / 449
1절. 교육실습의 의의와 목적 453
2절. 교육실습의 주요 과정 및 절차 456
3절. 교육실습의 내용 459
4절. 교육실습 시 유의사항 465
5절. 교육실습 대상 미용교과 운영 학교 467
ㆍ 참고문헌 471
ㆍ 부록 475
-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이해 / 475
- 미용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경향 / 478
ㆍ 찾아보기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