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 명상

불교 명상

(일상의 스트레스와 번뇌에서 벗어나는 정신 수련법)

란메이 (지은이), 김진무 (옮긴이)
  |  
일빛
2011-06-27
  |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 명상

책 정보

· 제목 : 불교 명상 (일상의 스트레스와 번뇌에서 벗어나는 정신 수련법)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56451558
· 쪽수 : 456쪽

책 소개

현대인에게서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상의 문제는 생활 속에서 발생하여 형성되는 거대한 스트레스이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인간의 정서를 불안정하게 만들며, 각종 질병을 낳고 있는데, 명상은 이러한 스트레스 해소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정신 수련법 가운데 하나다. 이 책에서 소개되고 있는 명상법은 불교 명상 수련법의 정화 가운데 가장 실천적인 방법만 가려낸 것들이다.

목차

불교에서 비롯된 수행 방식 : 명상의 네 가지 단계
명상의 네 가지 정신적 특징
글머리에_ 명상 : 몸과 마음을 펀안하게 내려놓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법문 · 6
이 책의 구성과 그림 해설 · 16

1장 각자의 관상(觀想)
생명의 심오함에 대한 추구 | 20

01 명상이란 무엇인가? : 내면의 정신세계에 대한 탐구 · 22
02 요가와 명상 : 고대의 철학이 도시 지역으로 전파되는 현상 · 25
03 명상의 기원 : 가부좌(跏趺坐)에 대한 독특한 사고방식 · 28
04 명상과 불교의 선수 : 선종에 있어서의 명상의 연원 · 31
05 명상과 티베트의 밀종 : 종교 의식에 있어서의 환상 · 34
06 중국 전통 문화의 각도에서 바라본 명상 : 공적 가운데 깃든 관조의 세계 · 37
07 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명상 : 억지로 꾸밀 수 없는 자성 · 40
08 역학(易學)적 관점에서 본 명상 : 심령의 우주 질서를 건립하는 힘 · 43
09 명상의 기본 방법 : 내재하는 영혼의 빛을 총체적으로 계발 · 48
10 명상을 할 때의 정신 상태 : 심령의 영도 의식 · 51
11 각종 의상에 대한 명상의 결과 : 신비한 사원인 미궁으로의 진입 · 54
12 명상을 통해 도달하는 경지 : 깨달음의 인생 · 57
13 명상 속의 지혜 : 순수한 평정 · 60
14 명상의 최종 목적 : 신(身), 심(心), 영(靈)의 합일 · 63

2장 현대 과학에서 해석한 명상
직각을 통한 진리와의 접촉 | 68

01 진실한 명상 (1) : 초령의 가면을 벗기기 · 70
02 진실한 명상 (2) : 자유무위(自由無爲)의 도(道)에 도달하는 수단 · 73
03 명상의 본질 (1) : 일종의 정수 방법 · 76
04 명상의 본질 (2) : 일종의 정신 훈련 · 79
05 명상의 본질 (3) : 일종의 의경 예술 · 82
06 대뇌의 잠재 능력을 개발하는 명상 : 풍부한 창조적 영감의 형성 · 85
07 잠재의식과 무의식의 능력의 운용 : 명상의 ‘암상(暗箱)’의 계발 · 88
08 명상은 도상에 대한 기억을 강화시킨다 : 시각도상(視覺圖像)의 자극 · 91
09 명상을 할 때 염송의 반복 : 특수 음파의 효능 · 94
10 인체에 대한 명상의 적극적 효과 : 질병을 치료하는 명상의 정신적인 요소 · 97
11 명상과 최면술 : 수면 상태에서 나타나는 환각 · 100
12 명상과 제6감 : 심층의 의식 활동 · 103
13 고급 단계의 명상 : 깨달음을 얻은 자의 심리 검사에 대하여 · 109

3장 명상 정심술(靜心術)
자기 정신의 관찰과 인도 | 112

01 정좌 : 명상에 가장 적합한 체위 · 114
02 선정 : 정심으로부터 나오는 내면적 지혜 · 117
03 정념과 각지 : 명상 진행에 필요한 두 종류의 단계 · 120
04 전주 : 마음을 고정된 대상에 집중하는 것 · 126
05 관상(觀想)과 심상(心像) : 내재 시상(內在視像) 능력의 발전과 운용 · 129
06 내관 : 심령 예술의 조직과 관리 · 135
07 전관(全觀) : 명상의 불가사의한 특징의 일종 · 138
08 옴 주문 : 요가의 성스러운 소리와 명상 · 141
09 맥륜 : 신체 에너지원의 중심 · 144
10 삼마지 : 명상 삼매의 지극한 경지 · 147
11 심령감응(心靈感應) : 일종의 신비한 심리적 능력 · 150
12 암시법 : 암시와 자기 대화 · 153
13 평정 부호 : 심시(審視)와 소환 성질의 부호 · 156
14 밀법 치료(密法治療) : 신비술과 치료 · 159
15 남도(藍圖) : 자아 정신의 적극적 인도에 대하여 · 162

4장 명상의 제1단계
준비 공작 | 116

01 진정한 자아를 찾는 수련 : 모든 주의력의 집중 · 168
02 무가치한 환상의 배제 : 가어상상 · 171
03 명상 시간의 안배 : 매일 20분 정도 · 174
04 명상 환경의 선택 : 수련자에게 전속된 장소 찾기 · 177
05 명상 전의 준비 : 방송 연습 · 180
06 조신(調身) : 명상의 자세 · 183
07 손의 자세 : 인체 내의 힘의 흐름과 인도 · 189
08 조식(調息) : 생명의 기의 조절 · 192
09 조심(調心) : 정좌 명상의 관건 · 195
10 평정 기교(平靜技巧) : 긴장과 압력을 완화하는 운동 · 198
11 보조 도구 (1) : 초와 연꽃 등의 도구의 작용 · 201
12 보조 도구 (2) : 주문을 비롯한 최면 효과를 일으키는 소리 · 204
13 옷차림 : 편안한 복장 · 207
14 음식과 수면 : 음식과 수면이 두뇌에 미치는 영향 · 210
15 도덕과 규범 : 정신적인 생활의 추구 · 213

5장 명상의 제2단계
자아의 발견 | 216

01 조바심과 명상 : 성공적인 명상과 정심 · 218
02 정신적 마장(魔障) : 각종의 정서에 대한 새로운 명명 · 223
03 정서 바꾸기의 방법 : 어떤 화면이나 정경의 창조 · 226
04 분노는 생명의 본질에 대한 반동 : 분노의 정서 바꾸기 · 231
05 두려움은 확실한 신념이 없을 때 생겨난다 : 두려운 정서 바꾸기 · 234
06 고통은 인생에 대한 무력감이다 : 고통의 정서 바꾸기 · 237
07 번뇌는 욕망을 실현할 수 없을 때 일어난다 : 번뇌의 정서 바꾸기 · 240
08 교만은 자아 형상에 대한 집착이다 : 교만의 정서 바꾸기 · 243
09 제감(制感) 단계로의 진입 : 심념(心念)의 통제 · 246
10 정묵(靜默) 상태의 견지 : 주의력의 집중 · 249
11 내면적 지혜 풀어놓기 : 무욕(無欲)으로 그 현묘함을 보는 것 · 252
12 진정한 선정(禪定) : 본성(本性)의 회복 · 257
13 정신적 탈피 : 의식의 개방 · 260
14 개인적 깨달음 : 심령의 허상(虛相)에 대한 이해 · 263
15 최고 단계 선정의 심경(心境) : 충만한 자유와 평정 · 268

6장 명상의 제3단계
심리 치료 | 274

01 명상과 스트레스의 해소 : 심층 방송(深層放松) · 276
02 우울증과 명상치료 : 심령의 개방 · 281
03 강박증과 명상치료 : 자아의 제어 · 286
04 자폐증과 명상치료 : 사회 적응 · 289
05 조광증과 명상치료 : 조광증의 제어 · 292
06 정신불안과 명상치료 : 내심의 평형 · 295
07 공포증과 명상치료 : 긴장의 완화 · 300
08 편집증과 명상치료 : 사고방식의 개혁 · 303
09 망상증과 명상치료 : 망념의 해소 · 306
10 정신분열증과 명상치료 : 심신의 조화 · 309
11 억증과 명상치료 : 정서의 통제 · 314
12 의병증과 명상치료 : 우려의 다른 모습 · 317
13 억상증과 명상치료 : 상상 질병 · 320
14 신경쇠약과 명상치료 : 정심침사(靜心?思) · 326
15 불면증과 명상치료 : 복식호흡 · 329

7장 명상의 제4단계
생활 속으로의 걸음 | 332

01 인생을 제한하는 요소 (1) : 폐쇄적인 사고 · 334
02 인생을 제한하는 요소 (2) : 소아에 대한 인식 · 337
03 신체의 개방 : 심신(心身)의 정화 · 340
04 자신의 반응 처리 : 세 종류의 선택 · 343
05 내면의 자아 바꾸기 : 심지(心智)의 고양 · 346
06 자기가 처한 환경 즐기기 : 자아의 초청 · 349
07 ‘지금 이 자리[當下]’의 역량의 견증 : 영원한 현재 · 352
08 두려움의 극복 : 고요히 꽃이 피기를 기다린다 · 357
09 내면의 전쟁 : 당신은 바로 당신 자신 · 360
10 창조성의 주체 : 창의성의 계발 · 363
11 심공과 열정 : 생명의 본질 · 368
12 성숙한 심지의 배양 : 깨달음의 시작 · 371
13 원만의 특질 (1) : 잠재된 생명력의 계발 · 376
14 원만의 특질 (2) : 정신적인 성숙 · 379
15 원만의 특질 (3) : 심령의 원만과 개활(開闊) · 384
16 원만의 특질 (4) : 관용과 자비 · 387
17 각성의 길을 향하여 : 명상과 뗏목 · 390
18 해탈 : 정신적인 초월 · 393

8장 명상의 다양한 형식
자아 영성(靈性)의 고양 | 396

01 인도식(印度式) 명상 : 대자연과의 합일 · 398
02 요가 명상술 : 심령의 본능적 충동의 제어 · 401
03 촛불명상법 : 하나의 물체에 대한 전주 · 404
04 호흡명상법 : 주의력을 호흡상에 둔다 · 407
05 어음명상법 : 범문의 염송 · 410
06 음악명상법 : 우주 조화의 소리 · 413
07 색채명상법 : 일종의 건강회복요법 · 416
08 만주식 명상 : 신묘한 경지를 향한 걸음 · 419
09 운동식 명상 : 동(動)과 정(靜)을 결합한 명상법 · 422
10 매혹적인 수정구슬 : 무의식의 비밀을 푸는 유효한 도구 · 428
11 신비술과 명상 (1) : 연금술과 명상 · 433
12 신비술과 명상 (2) : 점성술과 명상 · 436
13 신비술과 명상 (3) : 타로카드와 명상 · 439

저자소개

란메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쓰촨성(사천성) 청두(成都)에서 태어나 청두대학(成都大學)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심리 전문가이자 불교 거사(居士)인 그는 대학시절에 불교를 접하면서 불법사상과 심리학이 인간의 정신의식 분야에 고도의 통일성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나중에 미국 미시간 대학에 유학하여 종교심리학을 종합적으로 연구했으며, 특히 불교와 현대 심리학을 치료에 응용하는 방법을 집중 연구했다. 현재는 불교의 전통적인 수행방법을 통한 현대인들의 도시형 심리질환 치료방법을 널리 보급하면서 여러 차례 전문강좌와 학습반을 개설하여 선수(禪修)와 정좌(靜坐), 관호흡(觀呼吸) 등 법문의 조절을 통한 심리 및 정신의 치료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김진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동산법문과 그 선사상 연구」로 석사 학위를, 중국 남경대학 철학과에서 「佛學與玄學關係硏究」(中文)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저서로 『중국불교사상사』, 『중국불교의 거사들』 등이 있으며, 공저로 『나, 버릴 것인가 찾을 것인가』, 『근대 동아시아의 불교학』, 『동아시아 불교, 근대와의 만남』, 『불교의 마음챙김과 사상의학』 등이 있고, 번역서로 『선학과 현학』, 『선과 노장』, 『분등선』, 『조사선』, 『지장』 Ⅰ·Ⅱ, 『혜능 육조단경』, 『불교명상』, 『도해 금강경』(공역) 『도해 운명을 바꾸는 법』(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장 각자의 관상(觀想)
생명의 심오함에 대한 추구


위대한 ‘각자(覺者)’ ――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은 인간을 가리키는 용어로 부처님께서 우리들에게 설명하신 바 있다. 어떠한 정신적인 깨달음, 극락, 지식, 신성한 희열은 결국 자기 자신의 심령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 그러한 정신적인 경지는 우리들 어리석은 범인들에게서 특별한 능력, 즉 과학계에서 말하는 ESP(Extrasensory Perception : 초감각적 지각, 초능력)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이것은 결코 신비하고 기이한 능력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내면에 본래 가지고 있는 심리적 역량을 총체적이고 궁극적인 영역까지 끌어내어 미지의 세계와 자신을 이해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방식 가운데 가장 전통적이며 가장 중요한 방식 가운데 하나가 바로 명상이다.

01 명상이란 무엇인가?
내면의 정신세계에 대한 탐구

≫≫≫ 고대 인도의 베다(Veda) 시기의 브라만 경전인 『우파니샤드(Upanishad : 奧義書)』에는 ‘감관(感官)과 의식의 주의력을 마음상의…… 바꾸어’라고 설명되어 있고, 또한 원시불교 시대의 『숫타니파타(Sutta-nipata : 경집經集』에는 “자기 자신의 의지를 억제하여 안으로 자신의 사유를 반성하며 내심을 지키고, 밖으로 흔들리지 않게 하며…… 홀로 정좌(靜坐)하여 수행해야 한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이 기록들이 명상의 의미와 그 방법에 대한 최초의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의 정의
명상은 인류의 유구한 역사와 더불어 이미 수천 년을 인류와 함께 해 온 것이다. 명상은 백일몽과 같은 신기루 또는 단순한 사유 형식이 아니라 심오한 사색과 상상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명상의 가장 근본적인 의미가 바로 선정을 통해 정신의 내면을 발현하고 성찰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리학자인 융(Carl Gustav Jung : 1875~1961년)은 동양의 심오한 정신문화 가운데 하나인 명상에 대해 인간의 내면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일체의 사물이나 인간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최고의 신적 능력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인식한 바가 있다. 그는 고대 인도의 사당(祠堂)을 예로 들면서 그들의 제단은 종종 땅바닥에 비하여 2~3척이 낮은데 이것은 마치 무엇인가를 그곳에 깊이 숨겨놓은 듯하며, 이 때문에 동양 철학은 필수적으로 내적인 깊은 성찰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내적 성찰의 목적은 정신적으로 가장 심오한 의식 상태인 최고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명상은 이러한 동양의 정신을 가장 특징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정사토납(靜思吐納 : 마음을 고요히 하여 들숨과 날숨을 관찰함)이나 타좌취기(打坐聚氣 : 정좌하여 기를 모음) 등의 방식을 통해 수련자의 의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수련자의 정신적 능력을 가장 높은 경지로 끌어 올린다. 또한 인간의 정신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의 자극을 감소시키고 심신을 안정되게 함으로써 정신적으로 조화와 중용의 경지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명상의 방법
명상은 본래 자기 자신 또는 세계의 진실한 모습을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관찰하여 진리의 실제적 면모를 성찰하는 일종의 깨달음의 방법이다. 인간이 어떤 사물이나 감각 또는 대상이나 행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직접 체험을 하거나 깊이 있는 사색을 해야 비로소 대상이나 자기 자신에 대하여 더욱 빠르고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세계와 자기 자신에 대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바로 명상의 독특한 효용이라고 할 수 있다.
명상의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무심(無心)’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하여 잠재의식을 각성시키거나 하나의 일에 전주(專注)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 속에서 우리는 명상의 특질을 엿볼 수 있다. 즉 명상은 굳은 심지(心智)와 의념(意念)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생각을 하나의 사물에 집중하여 일련의 시간 내에 세밀히 관찰하고 천천히 진입해야 한다. 명상은 어떤 사물에 대하여 감각 기관의 통찰 능력을 배양하며 자기 자신을 드러내는 ‘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명상은 결코 ‘초능력’이 아니다. 수련자는 명상을 통해 자아의식을 통제하고 직관 능력을 계발하며, 명상의 대상에 대한 집중을 통해 심령(心靈)에 대한 각종의 정보를 자연스럽게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실한 내면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02 요가와 명상
고대의 철학이 도시 지역으로 전파되는 현상

≫≫≫ 동양의 명상(冥想), 즉 정사(靜思)는 고대 인도의 요가(Yoga : 瑜伽)에서 기원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대 인도의 어떤 수행자가 히말라야 산에서 요가의 수련을 통해 성현이 되었으며, 후대에 그의 밀법(密法)을 전하였다고 한다.

의식을 통제하는 방법으로서의 요가
3천 년 전의 고대 인도의 철학 경전인 『우파니샤드』에는 명상 방법인 요가 수련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이 기록은 요가의 의미에 대한 최초의 심도 있는 언급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요가는 고대 인도의 선현들이 깊은 관상(觀想)과 정정(靜定) 상태 아래서 생명에 대해 직접적이고 즉각적으로 깨달음을 얻는 인식 방법이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칼 융은 요가에 대하여 ‘인도 정신의 가장 위대한 구현’이라고 말한 바 있다. 또한 『카타카 우파니샤드(Kathaka Upanisad : 石氏奧義書)』에는 요가에 대하여 ‘견정(堅定)하게 마음과 각종 신체 기관의 활동을 통제하는 것’이라고 기술되어 있으며, 『요가수트라(Yoga Sutra : 유가경瑜伽經)』에도 요가는 ‘마음과 의식의 활동을 통제하는 것’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이 기록들을 통해 우리는 요가는 인간의 의식을 통제하기 위하여 동양에서 계발된 매우 중요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요가의 수련 방법 두 종류
요가는 범문(梵文) Yoga의 음역으로 그 직접적인 의미는 ‘연결(連結)’이며, 이것은 한 개인(個人)과 우주(宇宙)를 연결하거나 신체(身體)와 심령(心靈)을 결합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요가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신체(또는 동작)의 수련이며, 두 번째는 사상(또는 의식)의 수련이다. 요가 수련자가 이들 가운데 어떠한 단계의 수련을 하든지 반드시 고요한 장소에 몸을 두고(신체), 마음을 안정되게 하며(심령), 의식을 비우는(정신) 상태가 되어야 비로소 올바른 명상에 들어갈 수 있다. 마치 깊은 수면에 든 것 같은 의식 상태 가운데서 자신의 잠재 능력을 계발하는 동시에 심령을 정화하는 과정을 통해 자비심이나 선량함, 또는 원만함 같은 고귀한 인격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속에서 인간 정신의 선천적인 능력과 후천적인 능력이 함께 계발되고, 내적인 지혜로써 사물의 진정한 면모를 통찰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내외가 통일되어 마음이 더없이 평온하고 안정적인 상태가 될 때 비로소 진리에 대하여 분명하게 깨달을 수 있는 경지에 도달하게 된다.

요가는 신체와 마음의 조화를 추구하는 수련의 길
요가는 인류의 역사에 있어서 비교적 빠른 시기에 유행했던 양생술(養生術)의 하나로서 고대의 요가 수련 환경은 매우 다양했다. 오늘날에도 히말라야 산의 수많은 동굴과 불교의 사찰, 그리고 밀림 등에서 요가 수련자의 흔적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현대인은 물질적으로 매우 풍부한 도시 가운데서 생활하고 있지만 빠르게 변화되는 현실과 끝없는 욕망의 추구로 심신이 황폐해지고 있으며, 만성적 피로에 시달리고 있다. 과중한 업무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활해야 하는 현대인에게 상술한 전원과 산림 형태의 요가 수련 환경은 이미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으며, 요가 수련과 명상 수련은 일종의 건강을 위한 신체 단련과 스트레스 해소의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대인은 요가를 자세와 호흡을 통해 신체와 호흡을 조절하고 마음을 다스리는 수련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정좌 명상(靜坐冥想)을 통해 번뇌와 스트레스, 공허함 등의 정신적인 질병을 치유하고 자신의 심신을 안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03 명상의 기원
가부좌(跏趺坐)에 대한 독특한 사고방식

≫≫≫ 요가는 후대에 이르러 불교의 수련 방식과 결합하게 되며, 명상 역시 불교의 좌선과 결합하게 된다. 요가의 수련법 가운데서 가장 유명한 자세의 하나인 일련화좌식(一連花坐式)은 불교의 중요한 수행 자세의 하나가 되었으며, 특히 선정에 들 때에 가장 기본적인 자세가 되었다.

명상은 본래 불교 고승의 정신적 깨달음에서 비롯되었다
일찍이 5천 년 전에 고대 인도의 고승들은 깊은 산림에 은거한 채 세속의 분규를 멀리하고 마음을 다스리며, 깊은 사색에 잠겨 정좌 명상(靜坐冥想)을 하였다. 그들은 이러한 정좌 명상을 통해 완전히 정적인 공간에 몰입하여 마음이 신성(神性)과 합일되는 최고의 경지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고대 베다의 신의 설명에 의하면 우주의 창조자 범천(梵天)은 대천신(大天神) 비쉬누(Vishnu : 毗濕奴)가 입정(入定)을 할 때 그의 배꼽에서 나온 연꽃에서 결가부좌를 하고 태어나 만물을 창조하였다고 한다. 또한 세상을 창조할 때에 천하가 온통 물로 차 아득하고 아득한데 한 송이 연꽃이 수면으로 솟아나왔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때문에 후세의 성현이나 승려들이 명상을 할 때 대부분 연꽃을 그 의자로 삼아 정좌하여 정(定 : 마음을 한 곳에 정하여 움직이지 않고 산란이 없는 정신 작용 및 그 상태)을 수련한다. 이것이 바로 태초로 돌아가려는 반귀초시(返歸初始)이며, 본래의 유일한 청정한 법문이다.
좌선(坐禪)은 ‘부좌이수선(趺坐而修禪)’에서 나온 용어로, 책상다리를 하고 앉는 자세의 일종이며 속칭 ‘타좌(打坐)’라고 알려져 있다. 불교가 전파되기 이전에 중국에서 양생법의 하나로서 유행했던 자세이며,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 자세는 경락과 혈액이 막힘없이 잘 소통되는 효용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좌선은 타좌와 명상이 결합된 것이다. 마음을 비우고 깊은 사색에 몰두하여 심성(心性) 등의 종교적인 과제를 수련하는 동시에, 신체를 단련하여 수명을 늘리고 지혜를 증장시키는 구체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좌선 등의 고대 요가 자세는 신체와 마음을 동시에 수련하여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명상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인생의 깨달음을 얻은 방법이다
명상은 일종의 직관적인 인식 방법 또는 그 과정이다. 인류의 정신사에 있어서 가장 위대한 스승 가운데 한 사람인 불교의 교조 석가모니 부처님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 보리수 아래서 정좌하여 득도를 한 후, 자아 각성을 이루고 깨달음에 대한 중요한 사유 방법을 얻게 된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석가모니 부처님은 불교를 창립한 초기에 늘 깊은 산에서 명상 수련을 하였으며, 최후에도 보리수 아래서 몸을 단정히 하고 결가부좌하여 묵상에 잠겼다고 한다. 즉 깨달음을 얻어 스스로 성불하여 정과(正果)를 이루시고, 이로부터 불광(佛光)이 세상을 밝게 비추니 중생을 고해(苦海)에서 구하겠다는 서원을 발하였다고 한다.
명상의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중요한 방법은 대부분 인도에서 비롯되었다. 인도 불교와 중국 불교 그리고 한국 불교에서는 대부분 ‘정(靜)’을 위주로 하고 있다. 즉 정려식심(靜慮息心)을 강조한다. 명상은 또한 최초의 양생법으로서 기운을 축적하여 일정한 사상적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련법이다. 자신의 정신세계에 대한 정관(靜觀)을 통해 외부 사물의 본성이나 본질을 경험적인 측면을 초월하여 바로 파악하고 깨닫는 것이다. 불교에 있어서 정관(靜觀), 입정(入定), 합일(合一), 희락(喜樂), 자재(自在), 자비(慈悲), 지혜(智慧), 완선(完善), 일체만유(一切萬有), 생명의 능력, 본체의 실상 등이 바로 ‘요가 명상’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