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57044919
· 쪽수 : 221쪽
· 출판일 : 2013-12-3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행정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도전
제2절 연구필요성 및 연구목적
제3절 연구내용 및 방법
제4절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정부3.0의 이론적 고찰
1.IT패러다임의 변화와 영향
2.정부3.0의 개념과 특징
3.정부3.0을 통한 정부 모형
제2절 빅데이터의 발전
1.빅데이터의 부상
2.빅데이터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3.빅데이터의 기회와 과제
4.공공부문의 빅데이터 범위와 의의
제3절 선행연구
1.국내 관련 선행연구
2.국외 관련 선행연구
3.시사점
제4절 정부3.0과 빅데이터
1.정부3.0과 빅데이터와의 관계
2.국내외 빅데이터 활용 사례
제5절 연구분석틀
제3장 빅데이터 현황 분석
제1절 시스템 구축 현황
1.기술개발 현황
2.법제도 현황
제2절 조직운영 현황
1.빅데이터마스터플랜 수립 배경 및 현황
2.빅데이터마스터플랜과 정부3.0
3.정부3.0과제 중 빅데이터 세부이행과제
제3절 조직구조 현황
1.정부3.0 추진체계
2.중앙 및 지방정부의 빅데이터 조직구조
제4절 국외 빅데이터 추진 현황
1.미국
2.일본
3.영국
4.호주
5.유럽연합
6.소결
제4장 빅데이터 활성화 관련 실태조사
제1절 공무원 및 전문가 대상 심층조서 분석결과
1.공무원 및 전문가 조사설계
2.분석결과
제2절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AHP 조사
1.AHP 조사개요
2분석 결과
제3절 정책적 함의
제5장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제1절 빅데이터 활성화 방향
1.방향
2.원칙
제2절 분야별 정책 제언
1.인프라구축
2.조직운영
3.조직구조
제3절 세부대안:빅데이터 조직관리 메뉴얼
1.목표의 정의
2.빅데이터 조직구축
3.빅데이터 핵심규범 정립
4.기술지원
제6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향후 연구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