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57338544
· 쪽수 : 676쪽
· 출판일 : 2023-07-21
책 소개
목차
1권
옮긴이 해제
서문
1장 관점
2장 방법
I. 존 로크
1. 관념
2. 가치
3. 관습
II. 거래와 활동체
1. 법인체에서 지속 활동체로
2. 교환에서 거래로
(1) 교섭 거래
(2) 관리 거래
(3) 배당 거래
(4) 제도
(5) 자산 대 부
(6) 자유와 노출
(7) 시간
(8) 가치의 거래적 의미
(9) 이행, 자제, 회피
(10) 전략적 거래와 일상적 거래
(11) 협상심리학
III. 관념
IV. 이해충돌
V. 역사의 경제적 중추
3장 케네
I. 자연 질서
II. 도덕 질서
4장 흄과 퍼스
I. 희소
II. 습관에서 관습으로
III. 실용주의
IV. 자연에서 지속 활동체로
5장 아담 스미스
I. 자기이익과 상호성
II. 자유, 안전, 평등, 재산
III. 노동-고통, 노동력, 노동 절약
1. 가치의 원인
(1) 사용-가치의 원인
(2) 희소-가치의 원인
a. 심리적 희소와 소유적 희소
b. 자유와 풍요
2. 가치의 조절자
3. 가치 척도
IV. 사회적 유용성
6장 벤담 대 블랙스톤
7장 맬서스
8장 효율과 희소
I. 물질과 소유
II. 실질 가치와 명목 가치
III. 평균
IV. 투입과 산출, 지출과 소득
V. 순환에서 반복으로
VI. 능력과 기회
1. 물질적 소유와 법적 소유
2. 선택
3. 기회
(1) 서비스 비용과 생산물 비용
(2) 서비스 가치와 생산물 가치
(3) 접근할 수 없는 대안들-자유의지와 자유선택
(4) 노동의 분업에서 노동의 조직화와 공적 목적으로
(5) 대체의 법칙
(6) 압박의 한계
(7) 로빈슨 크루소에서 지속 활동체로
(8) 교섭력
VII. 리카도와 맬서스
VIII. 맑스와 프루동
IX. 멩거, 비이저, 피셔, 페터
X. 절대주의에서 상대성으로
책속에서
제도학파는 경제에서 행위의 반복된 유형으로서 제도를 중시한다. 그리고 이런 의미의 제도는 습관, 규칙, 관습, 법 등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경제 이외의 영역, 즉 정치, 사회, 문화, 법 등의 정체성을 인정하고, 경제와 이런 영역들의 결합이나 상호연관을 강조하게 된다.
희소는 또한 경제학의 기본개념이다. 노동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자연의 한정된 물적 자원을 다루는 데서 얻어진 만족이라는 점에서 리카도의 노동가치설과 멩거의 효용체감 가치설은 희소의 의인화였다.
경제학 연구에서 서로 다른 결론에 도달해 상충하고 있는 학파와 견해의 미로 한가운데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가정에서 출발해 연역적으로 추론해 내려가서 우리 앞에 놓인 문제에 이 가정을 실제 적용할 수 없다. 오히려 혼란, 불관용, 내전으로 초래했던 17세기의 신학적, 정치적 교조주의라는 유사한 미로 한가운데서 존 로크가 그랬듯이, 처음부터 시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