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7464212
· 쪽수 : 483쪽
· 출판일 : 2015-04-10
책 소개
목차
반야심경 · 9
연기 찬탄문 · 12
방장 스님 추천사 · 27
추천사_ 지혜의 등불 · 28
서문 · 39
I. 귀경게 · 53
II. 대승학파의 성립에 대하여 · 57
III. 『입중론』의 석명釋名 · 71
IV. 공성을 이해해야 하는 필요성 · 74
V.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구별함 · 84
1. 부처님 말씀을 요의경과 불요의경으로 구분해야 하는 이유 · 84
2.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구분함 · 86
1) 소승학파의 주장 · 86
2)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실제로 구분함 · 86
(1) 『해심밀경』에 의지하여 요의경과 불요의경으로 구분하는 방식 · 87
가. 유식학 논서들의 유래 · 87
나. 유식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분류하는 근거 · 88
다. 유식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 각각의 정의 · 93
라. 유식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구분하는 방법 · 93
마. 결론 · 103
(2) 『무진혜경』에 의지하여 요의경과 불요의경으로 구분하는 방식 · 104
가. 중관학 논서들의 유래 · 104
나. 중관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분류하는 근거 · 106
다. 중관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 각각의 정의 · 106
라. 중관학에서 요의경과 불요의경을 구분하는 방법 · 108
VI. 귀류논증학파의 여덟 가지 특징 · 111
첫째, 여덟 가지 특징을 요약해서 소개함 · 111
둘째, 각각의 의미를 광대하게 설함 · 113
1. 유식학파와 공통되지 않는 특징 다섯 가지 · 114
1) 외경外境을 인정함 · 114
(1) 유식학파의 주장 · 114
가. 유식의 의미 · 114
나. 유식학의 두 가지 법무아 · 115
다. 두 가지 법무아를 설한 경의 근거 · 117
라. 두 가지 법무아를 설한 논서의 근거 · 120
마. 두 가지 법무아를 확립하는 논리 · 121
①의타기성이 변계소집성으로 공한 법공(법무아)을 확립하는 논리 · 122
ㄱ. 첫째 귀류 · 124
ㄴ. 둘째 귀류 · 125
ㄷ. 셋째 귀류 · 126
②능취와 소취가 다른 실체로서 공한 법무아를 확립하는 논리 · 127
ㄱ. 유부와 경량부가 주장한 외경 · 127
ㄴ. 유식학파의 외경을 부정하는 논리 · 129
(2) 귀류논증학파의 주장 · 144
가. 귀류논증학파의 외경의 의미 · 145
나. 외경이 없으면 과실이 있다 · 145
다. 무경의 예시가 타당하지 않음 · 148
라. 외경을 확립하는 논리 · 149
마. 무경을 설한 경전의 의도 · 153
2) 자증自證을 인정하지 않음 · 169
(1) 유식학파의 주장 · 169
가. 자증의 의미 · 169
나. 자증을 확립하는 논리 · 170
(2) 귀류논증학파의 주장 · 173
가. 자증을 부정함 · 173
나. 자증이 없어도 기억이 생기는 방식 · 177
3) 아뢰야식을 인정하지 않음 · 183
(1) 유식학파의 주장 · 183
가. 아뢰야식의 정의 · 183
나. 아뢰야식이 인과의 토대임 · 185
다. 아뢰야식이 있다는 경전의 근거 · 187
라. 아뢰야식이 있다는 논리의 여덟 가지 근거 · 189
(2) 귀류논증학파의 주장 · 196
가. 경론에서 아뢰야식을 설하고 설하지 않는 두 가지 방식 · 196
나. 아뢰야식을 부정하는 논리 · 197
다. 아뢰야식을 설한 경전의 의도 · 200
4) 괴멸壞滅을 사물로 인정함 · 203
(1) 괴멸을 사물로 인정하지 않는 학파의 주장 · 203
(2) 귀류논증학파가 주장하는 괴멸의 의미 · 204
5) 삼세三世에 대한 특별한 주장 · 209
2. 자립논증학파와 공통되지 않는 특징 세 가지 · 213
6) 삼승의 성자이면 법무아를 깨닫는 것으로 충족됨 · 213
(1) 공성의 부정대상을 파악함 · 213
가. 부정대상을 파악하는 이유 · 213
나. 부정대상을 파악하지 못하는 허물 · 214
다. 자립논증학파의 부정대상을 파악함 · 217
①자립논증학파의 부정대상을 파악하는 경전의 근거 · 217
②이 학파의 부정대상은 무엇인가 · 220
③부정대상의 승의와 승의의 구분 · 220
④이 학파의 부정대상의 예 · 222
⑤이 학파가 제법을 환과 같이 확립하는 방식 · 227
라. 귀류논증학파의 부정대상을 파악함 · 229
①이 학파의 궁극적 부정대상은 무엇인가 · 229
②이 학파의 부정대상을 설한 근거 · 231
③부정대상인 ‘아我’의 두 가지 분류 · 239
④부정대상의 예 · 243
⑤찾아서 발견되지 않는 방식 · 244
⑥부정대상인 ‘아’와 ‘아’의 구분 · 247
(2) 공성의 의미 · 249
가. 일반적으로 설함 · 249
나. 잘못된 주장 · 251
다. 그것을 부정함 · 258
①성불하기 위해 두 가지 자량이 필요함 · 258
②보리심은 성불의 주된 원인임 · 262
③대승학파에서 자성을 유와 무로 말한 두 가지 · 268
④실유론자와 중관학자의 자성에 대한 유무 논쟁 · 269
⑤상견과 단견을 파악함 · 270
⑥중관학은 없음(단견)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 274
⑦유무 둘 다에 머물지 말아야 한다고 설한 경의 의미 · 278
⑧성자의 등인지等引智가 공성을 보는 방식 · 280
⑨무엇이든 파악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부정함 · 283
⑩네 가지 신뢰 · 285
⑪공성과 연기가 모순임을 보면 해탈이 불가능함 · 289
⑫찾는 식과 찾는 방식 · 292
⑬자성을 두 가지로 구분함 · 296
⑭모순(상위相違) · 298
ㄱ. 모순의 자성과 분류 · 298
ㄴ. 모순의 예시와 의미 · 300
ㄷ. 모순의 체계를 알아야 하는 이유 · 300
ㄹ. 두 가지 모순이 없다면 과실이 있음 · 302
ⅰ. 경험과 모순되는 문제 · 302
ⅱ. 멸제와 해탈을 성취할 수 없는 문제 · 303
ⅲ. 무아를 결택할 수 없는 문제 · 304
ⅳ. 도를 수행하는 주장과도 모순인 문제 · 307
ⅴ. 경론과 모순됨 · 309
⑮부정과 성립 · 312
ㄱ. 부정과 성립을 일반적으로 설함 · 313
ㄴ. 공성이 무차임을 별도로 능립함 · 314
ⅰ. 공성이 무차임을 예시로 설함 · 314
ⅱ. 공성이 무차라는 경의 근거 · 316
ⅲ. 공성이 무차라는 논리의 근거 · 320
?결론 · 322
(3) 공성의 의미를 잘못 파악하면 과실이 큼 · 324
(4) 공성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면 공덕이 큼 · 330
(5) 공성은 연기와 같은 의미 · 335
(6) 일체법은 마음으로 가립된 것일 뿐임 · 340
(7) 두 가지 무아는 부정대상의 측면에서 거칠고 미세한 차이가 없음 · 351
(8) 두 가지 무아를 확립하는 논리 · 357
가. 인무아를 확립하는 논리 · 357
나. 법무아를 확립하는 논리 · 363
(9) 성자이면 법무아를 깨닫는 것으로 충족된다는 경전의 근거 · 368
(10) 성자이면 법무아를 깨닫는 것으로 충족된다는 논리의 근거 · 373
(11) 소승경전에서 공성을 설함 · 385
7) 실집實執은 번뇌煩惱임을 인정함 · 390
(1) 번뇌장과 소지장의 파악 · 390
가. 두 가지 장애의 정의와 분류 · 390
나. 이 학파의 특별한 번뇌의 파악 · 392
다. 아비달마에서 설한 멸제는 원만한 멸제가 아님 · 394
라. 이 학파의 특별한 소지장의 파악 · 396
마. 이 학파의 유루, 무루의 의미 · 399
바. 두 가지 장애를 멸하는 범위 · 400
사. 하지下地에서 상지上地로 가는 방식 · 402
(2) 실집은 윤회의 뿌리 · 404
(3) 사대학파의 종성種姓에 대한 주장 · 411
(4) 구경삼승과 일승 · 417
가. 구경삼승을 주장하는 방식 · 417
①구경삼승임을 경으로 확립함 · 417
②구경삼승임을 논리로 확립함 · 422
③반론을 논파함 · 426
나. 구경일승을 주장하는 방식 · 429
①구경일승임을 경으로 확립함 · 429
②구경일승을 논리로 확립함 · 432
ㄱ. 일체중생이 불성을 가짐. · 432
ㄴ. 중생 마음의 장애는 일시적임 · 435
ㄷ. 마음의 본성은 밝음 · 438
ㄹ. 자성주불성自性住佛性은 법성임을 확립함 · 440
ㅁ. 구경삼승을 설한 경의 의도. · 445
ㅂ. 결론 · 446
(5) 번뇌를 멸하려면 공성을 깨달아야 함 · 449
8) 자립인自立因을 인정하지 않음 · 461
(1) 자립인 논증의 유래 · 462
(2) 자립인의 의미 · 463
(3) 청변靑辨 논사가 자립인을 어떻게 인정하는가 · 464
(4) 월칭月稱 논사가 자립인을 부정하는 방식 · 465
가. 유법有法이 성립하지 않는 측면의 허물을 가리키는 것 · 466
①승의勝義라는 특성을 적용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것 · 466
②보편적 유법에 적용한다는 응답에 대해 반박함 · 467
ㄱ. 답변을 말함 · 468
ㄴ. 그것을 부정함 · 469
나. 허물로 인해 자립인도 성립되지 않음을 가리키는 것 · 473
(5) 결론 · 473
VII. 마무리 글 · 475
회향문 · 477
감사의 글 · 480
참고문헌 ·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