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물질세계

물질세계

불교 과학 철학 총서 편집위원회 (엮은이), 게쎼 텐진 남카 (옮긴이), 달라이 라마 (기획)
불광출판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물질세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물질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74796310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2-05-30

책 소개

논장, 특히 아비달마에서 다루고 있는 ‘물질세계’에 대한 분류와 분석 그리고 해설이 담겨 있다. 여기서 다루고 있는 물질세계는 극미의 세계에서 천체까지, 그러니깐 마음을 제외한 외부 세계 모두를 가리킨다. 세상을 이루고 있는 물질, 시간과 공간, 뇌를 비롯한 인간의 신체가 주 대상이다.

목차

달라이 라마 성하의 서문
편집자의 설명
총괄편집위원 툽땐진빠의 서문

1장 경론의 총설
1. 제법諸法의 체계를 확립하는 다양한 분류 방식
2. 제법의 체계를 확립하는 방법과 분석하는 방식
1) 논리적 분석의 중요성과 사의四依의 체계
2) 삼소량三所量에 따른 분석 방식
3) 사종도리四種道理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방식
4) 인과연기因果緣起
5) 모순과 관계에 의거한 논리적 부정과 정립
3. 『 섭류학攝類學』의 논리 방식에 대한 약설
1) 총설
2) 논리를 학습하는 방식

2장 소지所知인 대상의 체계
1. 대상의 체계에 대한 총설
2. 유색有色의 본질을 주장하는 방식
3. 색 등 오경
1) 색처色處
2) 성처聲處
3) 향처香處
4) 미처味處
5) 촉처觸處
4. 안眼 등 오근五根
5. 법처색法處色
6. 원인인 사대종四大種
7.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
8. 원인과 결과의 체계
1) 원인
2) 결과
9. 무위법無爲法
10. 소량所量의 기타 체계
1) 정의[性相]·정의 대상[名相]·사례[例]
2) 하나와 여럿
3) 보편과 개체
4) 실법實法과 반법反法
5) 모순과 관계
6) 부정과 정립의 체계
7) 삼소량三所量

3장 유색을 형성하는 극미의 체계
1. 총설
2. 색色의 최소 단위 극미極微
3. 극미가 쌓여서 거친 색이 성립되는 방식
4. 무방분 극미의 유무에 대한 분석

4장 시時의 체계
1. 시의 본질
2. 의존하여 성립하는 시와 가유의 법으로 성립하는 시
3. 삼세를 건립하는 방식
4. 최단 시간에 관한 분석
5. 미세한 무상

5장 기세간器世間과 유정세간有情世間의 생성과 소멸 과정
1. 아비달마 논서에서 설명하는 기세간과 유정세간의 생성 과정
2. 『깔라짜끄라 딴뜨라』에서 설명하는 기세간의 형성 과정
3. 유정세간과 기세간의 소멸 과정
4. 『깔라짜끄라 딴뜨라』에서 설명하는 허공미진과 천체의 운행
5. 아리야바따의 천문학서에서 설명하는 천체의 운행
6. 측량의 단위와 수의 체계
1) 총설
2) 색법의 단위
3) 시의 단위
4) 수의 단위

6장 자궁에서 태아가 형성되는 과정과 맥脈・풍風・명점明點의 체계
1. 총설
2. 탄생처誕生處
3. 경에서 설하는 태아의 형성 과정
4.『깔라짜끄라 딴뜨라』에서 설하는 태아의 형성 과정
5. 불교 의학문헌에서 설명하는 태아의 형성 과정
6. 미세한 몸의 맥脈・풍風・명점明點의 체계
1) 무상요가 딴뜨라에서 설하는 방식
2) 불교 의학문헌에서 설명하는 맥과 풍의 체계
7. 불교 의학문헌에서 설하는 뇌의 체계 540
1) 총설
2) 자궁 속에서 뇌가 형성되는 과정
3) 뇌의 분류
4) 뇌맥의 체계
5) 뇌의 구성 요소인 척수·뇌막·범라륜梵螺輪
6)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분석

옮긴이 후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불교 과학 철학 총서 편집위원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달라이 라마 성하의 지시로 불교의 경론에서 과학과 철학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고 편찬하기 위해 2011년 구성되었다. 남걜 사원 방장 톰톡 린뽀체Thromthog Rinpoche가 편집위원장을 맡았고, 삼대본사의 게쎼스님 70여 명으로 이루어진 소小 편집위원회가 경론의 전거를 모았으며, 총괄편집위원인 랑리와 툽뗀진빠Thupten Jinpa와 네 명의 편집위원들이 방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총서를 편집하였다.
펼치기
게쎼 텐진 남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8세에 간댄사원으로 출가, 12세부터 34세까지 『반야경』, 『중론』, 『구사론』, 『계율』 등 오대경五大經을 수학하고 강의하였다. 2000년에 ‘게쎼 하람빠’가 되었으며, 2001년에는 규메 밀교사원에서 1년 동안 밀교를 수학하며 현교를 강의하였다. 2002년 규메 밀교사원에서 삼대본사의 게ㅤㅆㅖㅤ 하람빠 스님들과 함께 치른 게쎼 최종 시험을 수석으로 통과하였으며, 겔룩빠 본사인 간댄사원의 교수로 임명되었다. 2004년부터 한국에서 티베트불교를 전파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 2019년 4월까지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티벳대장경역경원 연구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티벳하우스코리아 원장, 삼학사 주지, 사단법인 랍숨섀둡링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국내에 출간된 저서로는 『논리에 이르는 신비로운 열쇠』(티벳대장경역경원), 『심오한 중도의 새로운 문을 여는 지혜의 등불』(2015, 운주사), 『마음을 다스리는 보살의 수행법』(2018, 효림)이 있다.
펼치기
달라이 라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14 대 달라이 라마, 텐진 갸초 티베트 국민과 티베트 불교의 정신적 지도자이다. 1989년에 노벨 평화상을, 2007년에는 미국 의회에서 수여하는 황금 메달을 받았다. 달라이 라마는 서로를 더 세심하게 보살피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전 세계를 방문하고 있다. 사람들이 서로에게 다정함과 자비를 건네고 종교를 넘어 서로를 이해하고 환경을 지키도록 격려하고, 평화를 존중하는 티베트 문화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무엇보다도 인류는 하나라는 생각을 널리 전하고, 인간이 소중하다는 것을 일깨우기 위해 헌신하고 있다. 1959년에 인도로 망명하여 현재 다람살라에서 살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혹자들은 “불교의 가르침은 주로 내생의 안락을 얻는 방법을 설명하는 종교적 가르침이다. 따라서 불교와 과학 사이에는 뚜렷한 연관성이 없으므로 종교는 종교의 위치에, 과학은 과학의 위치에 두는 것이 더 낫지 않은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나는 이 질문에 대해 의문을 가져야 하며 그에 대한 답도 다방면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먼저 불교에서는 최초의 설시자인 석가 세존께서 말씀하시길, “원치 않는 고통의 뿌리는 대상의 본질을 알지 못하는 무명無明 때문이며, 이 무명의 어리석음은 기도나 종교의식으로 없애지 못한다. 반드시 무명을 물리칠 수 있는 지혜를 일으켜서 제거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지혜는 대상의 본질을 전도되지 않게 아는 것으로부터 생긴다.”라고 하셨다. 따라서 불교에서의 윤회와 해탈, 고통과 안락은 대상의 궁극적 본질을 알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른다고 할 수 있다. 불교의 근본적 동기와 주된 목적은 고통에서 완전히 벗어난 구경의 안락이며, 대상의 본질을 있는 그대로 아는 지혜는 필수불가결의 조건이란 것이 처음부터 명백하게 밝혀져 있다.
「총괄편집위원 툽뗀진빠의 서문」 중


5세기 날란다의 천문학자 아리야바따(Āryabhaṭa, 476~550)는 아비달마와 깔라짜끄라 문헌에서 설한 내용과는 다르게 원형의 별무리들 가운데 별과 행성들의 궤도로 둘러싸인 허공이 있고, 그 중심에 사대의 본질인 지구가 존재하며, 그 모양은 둥글다고 주장한다. 아리야바따 논사가 저술한 천문학서인 『아리야바띠얌 Āryabhatiyam』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원형의 별들 가운데
행성의 궤도로 둘러싸인 하늘 중심에
지수화풍의 본질을 가진
완전한 원형의 지구가 있다.

또한 마치 배를 타고 앞으로 나아갈 때 고정되어 있는 산들이 반대 방향으로 가는 것처럼 보이듯이 지구가 서에서 동으로 자전하는 까닭에 항성들이 허공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항성이 이동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이에 대해 같은 논서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배를 타고 앞으로 나아갈 때
산들이 뒤로 가는 듯 보이는 것처럼
항성들이 능가(楞伽, laṅka)의 중심선에서
서쪽으로 가는 것도 그와 같다.

만약 이 별들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면 왜 떠오르고 지는 것처럼 보이는가? 논서에서 다음과 같이 답한다.

떠오르고 지는 이유는
항상 타는 풍에 의지해서
지구가 별들과 함께
능가범선楞伽梵線을 돌기 때문이다.

이렇듯 항성들이 떠오르고 지는 이유는 지구와 별들이 바람에 의지해 남북의 양극을 중심축으로 하여 자전하기 때문이다. 또한 월식과 일식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도 이 논서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달이 태양을 가리는 것으로
지구의 큰 그림자에 의해 달 또한

이와 같이 신월新月(朔)에는 달이 태양을 가리며, 만월滿月(望)에는 지구의 큰 그림자가 달을 가린다고 설명한다.
요컨대 이 논서에서는 천체의 운행, 낮과 밤의 길이, 일식과 월식 등 천문학과 관련된 많은 핵심들을 수학적으로도 명확하게 확립하였으며, 이는 현대 천문학의 관점과 매우 유사하다.

「제5장 기세간器世間과 유정세간有情世間의 생성과 소멸 과정」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