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88957466926
· 쪽수 : 223쪽
· 출판일 : 2022-05-30
책 소개
목차
서문∙5
제1부: 문명전환기, 사회를 관찰하다 15
Ⅰ. 문명전환기, 사회의 재구조화 가능성 탐색하기 17
- 연기적 사회이론에 근거하여
1. 들어가는 말∙19
2. 이론적 논의: 연기적 사회이론∙23
3. 코로나19 이후의 사회적 체계 관찰∙32
4. 맺음말∙41
Ⅱ. 문명전환기, 사회적 삼재팔난의 시기 불교의 역할 찾기 45
- 공공불교를 제안하며
1. 들어가는 말∙46
2. 이론적 논의∙51
3.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의 불교∙55
4. 문명전환기 사회 전망, 사회적 삼재팔난의 시기∙58
5. 사회적 삼재팔난의 시기, 공공불교의 필요성∙65
6. 맺음말∙73
제2부: 문명전환기, 불교 응답하다 77
Ⅲ. 문명전환기, 불교의 관점에서 기본소득 이해하기 79
- 초기 승가공동체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80
2. 이론적 검토∙83
3. 기본소득의 목적 실현으로서 승가의 경험∙95
4. 맺음말∙107
Ⅳ. 문명전환기, 불교 기반 인권의 필요성과 그 의미 111
- 플랫폼 노동을 둘러싼 새로운 갈등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112
2. 디지털 플랫폼과 플랫폼 노동∙115
3. 불교 기반 인권론의 필요성∙130
4. 결론 및 논의∙143
Ⅴ. 문명전환기, 한국사회의 ‘관계윤리’ 다시 생각하기 147
1. 들어가는 말∙149
2. 이론적 논의∙150
3. 한국사회에서의 관계윤리∙153
4. 한국사회에서 관찰되는 관계의 양상∙157
5. 한국사회에서의 ‘좋은 관계’∙165
6. 맺음말∙173
보론: 한국사회의 공정과 능력주의 담론 다시 보기 177
- 사회정의(사회복지 가치)의 관점에서
1. 들어가는 말∙179
2. 간략한 이론적 검토∙180
3. 공정과 능력주의 담론 분석∙186
4. 공정과 능력주의 담론의 영향∙195
5. 맺음말∙201
참고문헌∙205
찾아보기∙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