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7468975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5-09-08
책 소개
목차
발간사·5
서문·7
I. 광복 이전 한국불교의 동향과 이해 15
1. 대한제국의 불교정책과 불교계 활동·15
1) 대한제국 설립과 교단 변화·15
2) 대한제국 시대 한국불교의 활동·26
2. 일제의 한국불교 통제와 친일화 과정·31
1) 일제의 사찰령(寺刹令) 제정·31
2) 일제의 포교규칙(布敎規則) 제정·35
3) 30본산과 중앙교무원 체제·38
4) 일제강점기 한국불교의 친일화 과정·45
3. 일제강점기 한국불교의 응전·51
1) 불교계의 3.1 운동 참여·51
2) 일제강점기 한국불교의 독립운동·55
3) 일제강점기 불교청년운동·81
4) 일제강점기 한국불교의 종단 건설 운동·86
II. 광복 직후 한국불교의 도전과 응전 101
1. 미군정(美軍政)의 종교적 편향·101
2. 조선불교의 출범과 모범총림 운영·108
1) 광복 후 조선불교의 출범·108
2) 조선불교의 모범총림 운영·111
3. 불교계 혁신단체의 설립과 활동·116
1) 혁명불교도동맹의 설립과 활동·116
2) 불교청년당의 조직과 활동·119
3) 불교혁신총연맹과 전국불교도총연맹의 활동·121
4. 봉암사 결사의 실행과 의의·127
III. 한국불교의 갈등과 불교계 재편 135
1. 정화운동 과정과 통합종단 설립·135
1) 정화운동의 계기와 흐름·135
2) 정부의 중재와 통합종단 설립·140
3) 통합종단 출범과 시대적 의의·149
2. 통합종단 와해와 조계종·태고종 분종·154
3. 새로운 불교 종단의 등장과 활동·163
1) 회당의 진각종 창종과 생활불교·163
2) 태허의 수행과 관음종 창종·168
3) 상월의 천태종 창종과 삼대 지표·173
IV. 한국불교의 사회·문화적 지평 확대 179
1. 불교학과 출판문화의 발전·179
1) 광복 후~1950년대 불교학과 출판문화·179
2) 1960년대 불교학과 출판문화·185
3) 1970년대 불교학과 출판문화·193
2. 역경 불사의 과정과 성과·201
1) 광복 후 역경 사업·201
2) 통합종단 이후의 역경 사업·205
3. 불교 청년단체의 설립과 활동·208
1) 대한불교청년회 조직 과정과 활동·209
2)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의 조직 과정과 활동·214
3) 불교 청년단체의 침체와 대책·219
4. 군포교의 시작과 의의·221
1) 군법사 파견 과정·221
2) 군법사의 활동과 성장·224
3) 군포교의 현실적 과제·227
5. 해외 포교의 시작과 성과·230
1) 미국 포교의 시작·230
2) 미국 내 한국불교의 발전·234
3) 1980년대 해외 포교·239
6. 대중불교운동의 시작과 확산·242
1) 장경호의 대중불교운동·243
2) 이한상의 불교현대화 운동·247
3) 현대 대중불교 확산을 이끈 인물·251
V. 한국불교의 수난과 자주화 운동 253
1. 60~70년대 종단 동향과 10.27 법난·253
1) 60~70년대 종단 동향·253
2) 10.27 법난과 명예 회복 과정·262
2. 비상 종단의 등장과 한계·268
3. 불교계 자주화 운동과 의의·276
4. 재가불자 신행 지평의 확대·283
VI. 90년대 종권 갈등과 개혁종단 289
1. 1994년 종권 갈등과 범종추·289
1) 의현 총무원장의 종권 연장·289
2) 범종추 결성과 활동·293
2. 개혁종단의 성과와 의의·298
1) 개혁회의 구성과 활동 방향·298
2) 개혁종단 출범과 불교계 변화·304
3) 승가 교육체계의 정립·306
3. 1998년 종권 갈등의 재현·312
VII. 21세기 한국불교의 동향과 과제 319
1. 21세기 한국불교의 동향·319
1) 현대 한국불교 승가의 동향·320
2) 현대 한국불교 재가의 동향·325
2. 21세기 한국불교의 과제·328
참고문헌·335
찾아보기·3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