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57466957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2-06-15
책 소개
목차
발간사∙5
서문∙7
Ⅰ. 불교전래와 발전의 시대 19
1. 고대 불교전래와 수용 양상∙19
1) 고구려의 불교전래와 수용∙19
2) 백제의 적극적인 수용∙22
3) 신라의 불교전래와 순교∙24
4) 가야의 불교전래와 발전∙27
2. 고대 불교발전과 전교활동∙29
1) 고구려불교의 구법승∙29
2) 고구려불교의 전교활동∙31
3) 백제불교의 구법승∙34
4) 백제불교의 전교활동∙35
5) 신라불교의 발전과 특색∙37
6) 신라불교의 구법승 활동∙40
Ⅱ. 민족불교의 정착 시대 45
1. 신라의 삼국통일과 불교∙45
1) 통일에 기여한 불교사상∙45
2) 신라 지도자의 불교관∙47
3) 통일에 기여한 신라의 고승∙50
2. 통일신라의 불교교단과 문화∙53
1) 통일신라의 불교학 발전∙53
2) 교단의 정립과 승직제도∙56
3) 대중적 불교신앙의 발전∙58
4) 통일신라의 불교문화∙63
3. 통일신라불교의 교류 활동∙66
1) 신라불교와 인도불교의 교류∙66
2) 신라불교와 중국불교의 교류∙68
3) 신라불교의 일본 전래∙72
4. 신라 후기 선의 전래와 구산선문∙75
1) 신라 하대 선사상의 전래∙75
2) 도의국사의 남종선 도입∙77
3) 구산선문의 시작과 지역∙80
Ⅲ. 사회적 지평의 확대 시대 87
1. 고려의 건국과 불교정책∙87
1) 태조 왕건의 불교정책∙87
2) 고려 초기의 불교제도∙89
3) 고려 초기의 교학 경향∙91
4) 불교정책 기조의 변화∙94
2. 고려불교의 의례와 문화∙96
1) 고려불교의 신앙의례∙96
2) 불교발전을 위한 경제제도∙99
3) 초조대장경과 고려교장의 간행∙102
3. 고려불교의 변화와 결사운동의 대두∙104
1) 천태종과 조계종의 설립∙104
2) 불교의 귀족화와 묘청의 개혁∙107
3) 무신武臣과 불교계의 갈등∙112
4) 지눌의 정혜결사와 의의∙114
5) 혜심慧諶과 수선사 사주社主∙117
6) 요세了世의 백련결사와 의의∙120
4. 원나라 간섭과 불교교류∙123
1) 원의 침략과 재조대장경 조성∙123
2) 일연의 불교통합과 『삼국유사』 저술∙124
3) 원의 간섭과 고려불교의 변화∙126
4) 고려불교의 원나라 진출∙129
5) 고려와 원나라의 불교문화 교류∙131
5. 고려 말 선풍진작과 벽이론의 대두∙134
1) 고려 말 불교계의 선풍진작∙134
2) 신돈의 등용과 불교계의 갈등∙139
3) 유교의 확산과 벽이론의 대두∙142
Ⅳ. 민중신앙의 확대 시대 147
1. 조선의 건국과 불교정책∙147
1) 태조의 배불과 흥불∙147
2) 정도전의 불교관과 『불씨잡변』∙151
3) 태종의 배불정책과 국행불사∙153
4) 세종의 배불정책∙159
5) 승니도성출입금지의 실시와 추이∙161
6) 세종의 불교숭신∙163
7) 배불정책 속에서 활동한 고승∙165
2. 숭불과 억불의 교차∙167
1) 숭불군주 세조의 불교중흥∙167
2) 성종의 억불정책∙170
3) 『경국대전』 완성과 배불조항∙172
4) 연산군의 불교탄압∙175
5) 중종의 강력한 배불정책∙178
6) 흥불과 배불 속에서 활동한 고승∙180
3. 불교교단의 중흥과 의승군 활동∙183
1) 문정왕후의 불교중흥∙183
2) 임진왜란과 팔도도총섭 서산 휴정∙186
3) 의승도대장 사명당 유정∙188
4)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승군∙190
5) 임진왜란 이후의 불교정책∙193
4. 조선 후기 선문 계승과 신앙활동∙197
1) 임란 이후 선문 계승과 교학 연찬∙197
2) 조선 후기 선학논쟁과 결사운동∙200
3) 조선 후기 승가교육의 체계∙202
4) 조선 후기 대중신앙의 양상∙205
5) 불서의 편찬과 시대 인식∙207
Ⅴ. 개혁과 통제의 혼재 시대 211
1. 근대 사회와 불교계의 변화∙211
1) 불교에 대한 인식의 변화∙211
2) 개항과 일본불교의 침투∙214
3) 개화승의 등장과 활동∙216
2. 대한제국의 불교정책∙219
1) 승려의 도성출입금지 해제∙219
2) 대법산 원흥사의 창건과 역할∙221
3) 사사관리서 설치와 현행세칙∙223
3. 근대 불교계의 변화와 종단건립∙226
1) 경허와 근대 선풍의 진작∙226
2) 만공과 한암의 결사정신 계승∙228
3) 명진학교의 설립과 불교교육∙231
4) 승가교육의 근대적 변화∙235
5) 원종의 설립 과정과 활동∙237
6) 임제종의 설립과 활동양상∙239
7) 불교개혁론의 대두와 혁신 내용∙244
4. 일제의 조선불교 통제와 저항∙247
1) 통제법령의 제정과 30본산∙247
2) 조선불교의 3.1운동 참여∙253
3) 임시정부 참여와 독립운동∙255
4) 불교청년회의 결성과 활동∙257
5) 한국불교의 전통수호 운동∙260
5. 식민지 체제 속의 한국불교∙264
1) 일제하 교단체제의 변화∙264
2) 일제의 침략전쟁과 불교정책∙266
3) 총본사 건설의 의의와 한계∙271
Ⅵ. 대중화와 사회화의 시대 277
1. 광복 후 종단정립과 승풍진작∙277
1) 중앙총무원의 설립과 활동∙277
2) 미군정의 편향된 종교정책∙282
3) 모범총림의 설립과 도제양성∙286
4) 봉암사 결사와 의의∙288
2. 정화운동과 통합종단의 출범∙291
1) 정화운동의 시작과 추이∙291
2) 정부의 중재와 비구승의 활동∙294
3) 정화의 완결과 통합종단의 출범∙298
4) 통합종단의 와해와 분종∙302
3. 대한불교조계종의 출범과 활동∙306
1) 대한불교조계종의 설립과 활동∙306
2) 포교진작과 신행의식의 제고∙308
3) 불교학과 출판문화의 발전∙311
4) 한국불교의 해외 포교∙314
5) 역경사업의 전개와 성과∙316
4. 10.27법난과 불교계의 변화∙319
1) 70년대 종단동향과 신군부와의 갈등∙319
2) 10.27법난과 명예회복∙321
3) 비상종단의 개혁방향과 한계∙325
4) 한국불교의 사회화 운동∙328
5. 종단의 개혁 과정과 성과∙332
1) 1994년 종단개혁의 원인∙332
2) 범종추의 결성과 개혁 과정∙336
3) 개혁불사의 성과와 의의∙341
4) 개혁종단의 활동과 분규의 재현∙344
참고문헌∙351
찾아보기∙3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