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57612750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09-05-10
목차
제 1 부 글로벌 시대 전략적 국제경영 1
Ⅰ 전략적 국제경영과 글로벌화 3
1.1. 국제경영의 개념 및 등장배경 3
1.2. 글로벌화의 개념 및 촉진요인 4
1.2.1. 글로벌화의 개념 4
1.2.2. 글로벌화의 촉진동인 4
1.3. 글로벌 시대의 문화 환경 6
1.3.1. 문화 환경의 의의 6
1.3.2. 국제기업에 관련된 문화요인 7
1.3.3. 문화적 차이의 기준 11
Ⅱ 기업의 국제화 15
2.1. 기업경영의 환경변화 15
2.1.1. 조직외부환경의 변화 15
2.1.2. 조직 내부 환경의 변화 16
2.2. 국제경영의 환경변화 17
2.2.1. 국제경영환경의 의의 17
2.2.2. 국제경영의 환경변화 17
2.2.3. 국제환경변화의 요인 18
2.3. 해외진출 시장 선택 및 진출단계 20
2.3.1. 해외진출 시장의 평가와 선택 20
2.3.2. 해외시장 진입의 단계 21
2.4. 국제화 방법 25
2.4.1. 국제화의 의의 25
2.4.2. 국제화의 방법 26
2.4.3. 국제화 순서의 결정 29
Ⅲ 국제 전략경영 31
3.1. 국제 전략경영의 의의 31
3.1.1. 전략의 개념 31
3.1.2. 국제 전략경영의 개념 31
3.2. 국제 전략경영의 중요성 및 과정 32
3.2.1. 국제 전략경영의 중요성 32
3.2.2. 국제 전략경영의 과정 33
3.3. 국제 전략경영의 채택 35
3.3.1. 직접적 시장진입 전략 35
3.3.2. 국제계약에 의한 진출전략 36
3.3.3. 전략적 제휴 39
3.3.4. 국제직접투자전략 40
3.3.5. 국제간접투자 41
Ⅳ 국제 환경문제와 국제경영 43
4.1. 국제환경문제의 의의 43
4.1.1. 국제 환경 문제의 내용 43
4.1.2. 우리나라의 환경현실과 개선수단 44
4.2. 환경문제와 무역정책 45
4.2.1. 무역과 환경문제의 대두 45
4.2.2. 국제 환경 문제의 개선을 위한 무역 규제 46
4.2.3. 국제 환경·무역 규제 46
4.3. 국제환경협력체제의 추진방향 및 전략 49
4.3.1. 환경지표의 개발과 보급 및 통합적 관리시스템 운영 49
4.3.2. 녹색소비패턴의 정착 50
4.3.3. 환경 친화적 산업 구조의 구축 50
Ⅴ 지역경제 블록과 경제기구 53
5.1. 지역경제 블록 53
5.1.1. 지역경제 블록의 대두와 역할 53
5.1.2. 경제블록의 형태 54
5.1.3. 주요 지역블록의 종류 56
5.1.4. 동아시아 지역블록의 현황과 전망 58
5.1.5. 지역블록의 향후 전망 61
5.2. 국제기구 62
5.2.1. WTO 62
5.2.2. IMF 65
5.2.3. 국제금융체제에 대한 개편논의와 전망 69
VI 국제금융시장 71
6.1. 국제금융시장의 의의 및 구조 71
6.1.1. 국제금융시장의 의의 71
6.1.2. 국제금융시장의 구조 72
6.1.3. 국제금융시장의 기능별 구분 72
6.2. 최근 국제금융 시장의 변화 74
6.2.1. 최근 국제금융시장의 동향 74
6.2.2. 금융위기 타개를 위한 국제공조 움직임 75
6.2.3. 국제금융개선 방향 76
VII 해외직접투자 79
7.1. 해외직접투자의 의의 및 중요성 79
7.1.1. 해외직접투자의 의의 79
7.1.2. 해외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 81
7.2. 해외직접투자이론 83
7.2.1. 독점적 우위론 83
7.2.2. 내부화이론 84
7.2.3. 절충설 86
7.2.4. 제품수명주기이론 86
7.2.5. 과점이론 87
7.2.6. 기타이론 88
7.3.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국제규범 88
7.3.1. 다자간 투자규범 88
7.3.2. 서비스분야 일반협정 89
7.3.3. 무역관련 투자조치 협정 91
7.3.4. 무역관련 지적재산권 협정 94
VIII 다국적 기업과 국제 인수합병 97
8.1. 다국적 기업 97
8.1.1. 다국적기업의 의의 97
8.1.2. 다국적기업의 다국화 단계 98
8.1.3. 다국적기업이 세계에 미치는 영향 100
8.1.4. 다국적기업의 규모의 경제 실현 101
8.1.5. 다국적기업의 자원 및 시장 통제에 대한 비판 103
8.2. 국제인수합병 104
8.2.1. 국제인수합병의 의의 104
8.2.2. 인수합병의 유형, 전략 및 절차 108
IX 국제무역이론과 환율이론 119
9.1. 국제무역의 이론 119
9.1.1. 국제무역의 의의 119
9.1.2 국제무역의 이익 120
9.2. 환율과 개방경제 하의 총수요-총공급 모형 125
9.2.1. 국제수지 125
9.2.2. 국제수지와 환율 127
9.2.3. 환율제도(exchange rate policy) 131
9.2.4. 개방경제 하의 총수요-총공급 모형 134
9.3. 자유무역주의와 보호무역주의 137
9.3.1. 양 이론의 주장근거 및 비판 137
9.3.2. 보호무역의 수단 138
9.3.3. 자유무역을 위한 국제협력 141
X 기술의 수출관련성 및 국제기술이전 143
10.1. 기술과 수출과의 관련성 143
10.1.1. 무역 발생의 이론적 근거 143
10.1.2. 수출의 기술 관련 함수 143
10.1.3. 연구개발 투자와 수출 144
10.2. 기술의 수출 및 성장 효과 145
10.2.1. 기술의 국제경쟁력 및 성장 효과 145
10.2.2. 타국의 기술진보에 의한 무역 및 소득 변화 147
10.3. 국제 기술이전 148
10.3.1. 국제기술이전의 개념 및 중요성 148
10.3.2. 국제기술 이전 방식 149
10.3.3. 기술이전의 경제적 효과 152
10.3.4. 정책 대안 153
XI 국제 인력자원 개발 155
11.1. 국제인력자원개발의 의의 155
11.1.1. 국제 인력자원개발의 개념 및 중요성 155
11.1.2. 국제인력의 교육훈련의 중요성 156
11.1.3. 국제교육훈련의 종류와 방법 157
11.2. 국제기업의 경력개발 159
11.2.1.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의의 및 목적 159
11.2.2. CDP의 주요형태 161
11.2.3. CDP 설계에서의 유의사항 163
11.3. 국제 인력자원의 유지 및 활용 164
11.3.1. 국제 인력자원의 유지 164
11.3.2. 인력의 활용 167
11.4. 국제 기술 인력자원의 중요성 및 특성 170
11.4.1. 기술 인력자원의 중요성 170
11.4.2. 기술 인력의 특성 170
11.4.3. 기술 인력자원의 기획 171
11.4.4. 기획의 과정 172
11.5. 국제 기술 인력의 특성과 동기부여 175
11.5.1. 국제 기술 인력의 특성 175
11.5.2. 동기부여 방안 177
XII 국제기업의 신제품개발 185
12.1. 국제기업의 신제품 개발의 의의 185
12.1.1. 국제기업의 신제품 개발 환경 185
12.1.2. 신제품 및 서비스 개발의 개념 및 분류 185
12.1.3. 신제품 개발에서의 기술지원과 신제품개발과정 187
12.2. 국제기업의 신제품 아이디어 발굴 190
12.2.1. 아이디어 수집 190
12.2.2. 아이디어 제안 192
12.3. 국제기업의 신제품개발 196
12.3.1. 신제품 개발의 신속화 196
12.3.2. 제품의 개념설계 및 생산 199
12.4. 신제품의 성공요인 200
12.4.1. 기술능력 200
12.4.2. 마케팅 능력 201
12.4.3. 내부 환경 201
12.4.4. 경쟁 환경 201
12.4.5. 신제품 개발 과정의 시장지향성 202
12.5. 신제품의 실패요인 202
12.6. 신제품과 수요자 203
12.6.1. 신제품개발의 원천 203
12.6.2. 신개념 제품개발 수요예측에의 한계 203
12.6.3. 신제품 수요의 원천 203
12.7. 대단절의 극복 204
12.7.1. 대단절의 개념 204
12.7.2. 각 시장 별 수요 집단의 수요반응 및 대단절의 원인 205
12.7.3. 대단절 극복 방안 206
XIII 국제마케팅 211
13.1. 국제마케팅 관리의 의의 211
13.1.1. 국제마케팅의 개념 및 중요성 211
13.1.2. 국제마케팅관리 211
13.1.3. 국제마케팅의 종류 212
13.1.4. 국제마케팅전략의 개발 213
13.2. 국제마케팅 단계 215
13.2.1. 국제시장기회 조사 216
13.2.2. 국제브랜드 자산 구축 216
13.2.3. 국제마케팅 믹스 217
13.3. 국제시장세분화 전략 221
13.3.1. 국제시장세분화의 의의 221
13.3.2. 시장세분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과정 221
XIV 국제제조물 책임 227
14.1. 국제제조물책임의 의의 227
14.1.1. 국제제조물책임의 개념 227
14.1.2. 책임원칙(무과실책임) 227
14.1.3. 국제제조물책임제도의 배경 228
14.2. 주요국의 제조물책임제도 229
14.2.1. 미국 229
14.2.2. EU 및 EFTA 229
14.2.3. 일본 230
14.2.4. 한국 231
14.2.5. 각국의 제조물책임제도 비교 231
14.3. 국제제조물책임제도의 영향 232
14.3.1. 긍정적인 영향 232
14.3.2. 부정적인 영향 232
14.3.3.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에 대한 고찰 233
14.4. 우리나라 제조물 책임제도의 주요내용 234
14.4.1. 손해배상 조건 234
14.4.2. 손해배상의 범위 235
14.4.3. 제조업자의 면책사유 236
14.4.4. 연대책임 237
14.4.5. 면책특약의 제한 238
14.4.6. 소멸시효 등 238
14.4.7. 민법의 적용 238
XV 기술진보, 특허 및 정보통신기술의 효과 239
15.1. 기술진보 239
15.1.1. 기술진보의 의의 및 효과 239
15.1.2. 기술진보와 총 요소생산성 242
15.1.3. 기술진보의 경제적 효과 243
15.2. 기술진보에 의한 특허 효과 248
15.2.1. 특허의 의의 및 배경 248
15.2.2. 독점의 경영 경제적 효과 248
15.2.3. 기술선진국의 특허제도 비교 251
15.2.4. 특허제도의 국제적 통일화 254
15.3. 정보통신기술과 국제기업경영의 혁신 255
15.3.1. 정보통신기술과 국제기업경영 255
15.3.2. 기술의 국제경영과정에서의 역할 255
15.3.3. 정보기술과 국제경영업무의 변화 257
15.3.4. 디지털 경영의 등장 257
15.3.5. 디지털 경영의 특성 259
15.3.5. 디지털 경영의 산업구조 및 후생 증대 261
15.3.6. 디지털 시대와 경영 262
제 2 부 글로벌 시대의 전략적 기술경영 265
XVI 기술경영의 기초 267
16.1. 기술의 개념 및 분류 267
16.1.1. 기술과 사회 267
16.1.2. 기술의 정의 269
16.1.3. 기술과 지식 269
16.1.4. 기술과 사업 270
16.1.5. 기술의 분류 272
16.2. 기술경영의 개념 및 도입배경 274
16.2.1. 경영의 개념 274
16.2.2. 기술경영의 개념 275
16.2.3. 기술경영의 역할 277
16.2.4. 기술경영론의 구조 278
16.2.5. 기술경영의 등장배경 279
16.3. 기술의 역할 282
16.3.1. 기술의 영향 282
16.3.2. 기술발전의 계기 283
16.3.3. 기술과 기업의 존속가능성 284
16.3.4. 우리나라의 기술, 경제 286
XVII 기술경영의 주요 요소 289
17.1. 창의성의 원천 289
17.1.1. 발명 289
17.1.2. 혁신 290
17.2. 과학과 기술의 연결 291
17.3. 기술혁신의 유형과 창조력 292
17.3.1 기술혁신의 유형 292
17.3.2. 기술혁신의 창조력 293
17.3.3. 창조적 환경 조성 294
17.3.4. 창의적 인간의 특성 296
17.4. 기술과 시장 300
16.4.1. 기술과 가격과의 관계 300
17.4.2. 시간 요소와 전환 전략 302
17.5. 변화의 관리 및 생산효과 302
17.5.1. 변화의 관리 302
17.5.2. 생산성, 효과성 및 경쟁력 303
XVIII 기술경영의 새로운 변화모형 307
18.1. 기술경영의 환경변화 307
18.2. 기술경영의 주요 논점 309
18.2.1. 기술적 자원 309
18.2.2. 사업 환경 311
18.2.3. 조직의 구조와 관리 312
18.2.4. 사업기획과 관리 313
18.2.5. 인력 관리 315
18.3. 향후 변화 양상 317
18.3.1. 기술, 사업 및 사회의 환경 변화 317
18.3.2. 새로운 변화에 대한 성공조건 319
18.3.3. 기술경영의 미래비전 321
XIX 연구개발과 기술진보 325
19.1. 연구개발 325
19.1.1. 연구개발의 의의 325
19.1.2. 연구개발투자의 특성 326
19.2. 기술진보 328
19.2.1. 기술진보의 의의 및 형태 328
19.2.2. 기술주기의 동태적 측면 330
19.3. 기술혁신 331
19.3.1. 기술혁신의 기원 331
19.3.2. 기술혁신의 비용 336
19.3.3. 기술혁신의 확산 339
19.4. 기술혁신의 과정 345
XX 기업경영의 환경변화와 전략적 기술경영의 대두 349
20.1. 기업경영의 환경변화 349
20.1.1. 조직외부환경의 변화 349
20.1.2. 조직 내부 환경의 변화 350
20.2. 전략적 경영의 발전 352
20.2.1. 전략, 경영전략의 정의 및 기술전략의 의의 352
20.2.2. 전략적 경영의 의의 355
20.2.3. 전략적 경영의 발전과정 355
20.3. 전략적 기술경영의 영역 359
20.3.1. 기술경영의 영역 359
20.3.2. 전략적 기술경영의 영역별 내용 359
20.4. 전략경영의 과정 361
20.4.1. 기업환경분석 362
20.4.2. 경영전략 수립 364
20.4.3. 전략집행 370
20.4.4. 전략집행을 위한 의사결정 371
20.4.5. 전략의 평가와 환류 373
20.5. 전략경영의 수준 374
20.5.1. 복합사업의 제 수준 374
XXI 기술 예측 377
21.1.기술예측의 의의 377
21.1.1. 기술예측의 개념 및 중요성 377
21.1.2. 기술예측의 방향 378
21.1.3. 우리나라의 기술 예측환경과 기술예측의 필요성 380
21.1.4. 기술예측의 최근동향과 한계 381
21.2. 기술예측의 과정 382
21.2.1. 기술예측의 요인 및 과정 382
21.2.2. 기술예측의 방법 383
21.2.3. 기술예측 방법의 선택 및 조합 391
21.3. 미래의 예상기술 392
21.3.1. 2030년대의 기술상황 392
21.3.2. 기술 통제 393
XXII 기술 기획 395
22.1. 기술기획의 의의 395
22.2. 기술기획의 기능 396
22.2.1. 기술기획과 경영전략의 연계 396
22.2.2. 본사 기술기획과 사업부 기술기획의 연계 397
22.2.3. 기술기획과 사업기획의 통합 398
22.2.4. 기술기획 수립 399
22.3. 기술기획 과정 400
22.3.1. 기술내용 파악 400
22.3.2. 핵심기술의 기술요소 파악 401
22.3.3. 기업의 자사기술력 파악 402
22.3.4. 기술개발계획의 문서화 402
22.3.5. 기술계획의 평가 403
22.3.6. 기술지도 작성 405
XXIII 연구개발 성과제고 413
23.1. 연구개발의 의의 413
23.1.1. 연구개발의 개념 413
23.1.2. 연구개발의 역할 413
23.2. 연구개발 관리 415
23.2.1. 연구개발 관리의 목표 415
23.2.2. 연구개발에서 최고기술경영자의 중요성 416
23.2.3. 연구개발 포트폴리오 구성 및 운영 417
23.2.4. 연구개발 진행단계 422
23.2.5. 연구개발과정에의 영향요소 426
23.3. 연구개발 성과제고를 위한 전략 430
23.3.1. 연구개발 성공률의 제고 방안 430
XXIV 기술과 조직 439
24.1. 조직 개관 439
24.1.1. 조직의 의의 및 일반형태 439
24.1.2. 기술경영과 조직 439
24.1.3. 기업전략과 조직 440
24.1.4. 환경여건과 조직 440
24.1.5. 환경의 불확실성과 조직 444
24.1.6. 환경변화와 네트워크 조직 446
24.2. 연구개발과 조직 448
24.2.1.연구개발조직의 요건 448
24.2.2. 연구개발 조직의 형태 449
XXV 전략적 기술투자 및 평가관리 457
25.1. 기술투자 평가관리의 의의 457
25.2. 기술투자안의 경제성 분석평가 457
25.2.1. 경제성지표 방식 457
25.2.2. 투자 결정론적 방식 459
25.2.3. 위험분석 방식(RAM : Risk Analysis Method) 461
25.2.4. 가치공헌 방식(VCM : Value Contribution Method) 462
25.2.5. 의사결정 이론 방식(DTM : Decision Theory Method) 463
25.3. 기술투자 위험 464
25.3.1. 위험의 의의 464
25.3.2. 위험의 측정 464
25.3.3. 체계적 및 비체계적 위험과 포트폴리오 466
25.3.4. 위험대책 467
25.4. 기술투자 자금의 조달 468
25.4.1. 기술투자의 양상 468
25.4.2. 기술투자 자금조달 469
XXVI 연구개발 글로벌화 471
26.1. 연구개발의 국제화 471
26.1.1. 연구개발 국제화의 의의 471
26.1.2. 연구개발 국제화의 경제적 효과 473
26.1.3. 연구개발 국제화의 사유 및 찬반논리 475
26.1.4. 국제 연구개발 유형 478
26.2. 연구개발 글로벌화 482
26.2.1 주요선진국의 연구개발 국제화 추이 482
26.2.2. 한국에 진출한 외국기업 연구개발투자 483
26.2.3. 한국의 해외연구개발투자 485
26.2.4. 한국의 과학기술인력 교류 487
26.3. 한국의 국제공동연구 방향 488
26.4. 세계 주요국의 과학기술 정책방향 489
26.4.1. 미국 489
26.4.2. EU 490
26.4.3. 일본 491
26.4.4. 중국 492
26.4.5. 주요국의 과학기술연구개발 투자 493
26.4.6.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국제화 수준 497
참고자료 501
찾아보기 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