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57820971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1-02-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HRD란 무엇인가
01 HRD 담당자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
02 HRD 담당자, 이런 점이 힘들다
03 HR 구조 이해하기
2장 효과적인 HRD 체계 구축하기
01 HRD 업무의 시작
_ 인재상, HRD전략, 직무, 역량 모델
02 인재개발의 방향을 세워라
_ 핵심 인재, 글로벌 인재, 경력개발 체계
03 전사전략과 연계하여 교육 체계를 수립하라
_ 교육 체계
04 기업에 특화된 교육 과정을 개발하라
_ 교육 과정개발
05 성과 중심으로 운영하라
_ 운영 계획, 교육 평가, 성과 관리, 입문 교육, OJT
06 역량을 갖춘 인력을 배치하라
_ 필요 인력
07 e-HRD 시스템을 구축하라
_ e-HRD 시스템, 사이버 연수원, LMS, LCMS, 교육 포털
3장 전략적 HRD 실행 방안
01 인재개발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라
02 HRD와 HRM의 연계를 강화하라
4장 HRD 성공 로드맵
01 HRD의 미션은 무엇인가
02 HRD, 이것만은 반드시 기억하라
나가는 글
참고문헌 및 인용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직 내에서 당신은 HRD 담당자인가? 아니면 교육 담당자인가?”
이 질문의 답변에 따라 당신의 업무 역할과 내용, 업무 결과, 조직 내에서의 중요도는 크게 달라진다. (중략) HRD 담당자라면 기업의 경영 성과 달성을 위한 인적자원 역량 향상이 최고의 관심사이고 업무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당신은 기업의 변화를 이끄는 장본인이어야 한다.
온라인 교육 과정개발에서 아쉬운 점은 화려한 UI, 목적 없는 흥미 요소 등을 부각하고, 정작 교육 내용과 적절한 전달 방법(교수 전략)에 대한 노력은 미약한 경우가 많다. 즉, 시각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명확한 교육 대상자 및 특성, 학습 목표, 해당 기업의 특수성과 노하우가 반영된 교육 내용이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HRD는 독단적으로 실행될 수도 없을뿐더러 그렇게 될 경우 효과가 크게 떨어져 HR이라는 큰 틀에서 벗어나는 잘못된 HRD가 된다. HRD는 HRM과의 연계를 통해 개인의 지속적인 역량개발을 유도하고, HR이라는 큰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일을 수행하여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