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8895794470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1-03-25
목차
□머리말
제1부 시와 시인 읽기
1. 자유를 갈망했던 사랑과 우수의 시인-정공채론
2. 실향시인의 자작나무 고독-함동선의 시집 『연백延白』
3. 식민지 시대 민중서사시의 전형-고은의 『백두산
4. 식민지 시대 문학과 정치-임화 시인론
5. 잊혀진 목숨의 시인-권웅론
6. 시여詩餘와 화의畵意의 만남-황재종의 시화집 『개뿔』
제2부 소설과 작가 읽기
1. 이청준의 ‘고향’과 발견으로서의 의미 층위-소설집 『눈길』, 『서편제』
2. 자이니치 잠수들의 비장미-오성찬의 <떠돌이 잠수들의 마지막 노래>
3. 판소리 문학 탐구 1-이청준의 <서편제>, <소리의 빛>
4. 판소리 문학 탐구 2-윤영근의 <국창 송만갑>, 『동편제』
5. 산업화 시대 인간성 회복을 위한 비판-이광복의 소설집 『동행同行』
6. 분단 시대의 비극과 이데올로기-이동희의 『흙에서 만나다』
7. 비극적 현실과 신앙적 극복-김학진의 소설집 『아침노래』
8. 최인욱 소설의 시대와 역사의식-『최인욱 소설 선집』
제3부 농민문학의 역사적 전개와 작품론
1. 농민문학론의 단초와 전개
2. 조선조 말기의 농민
3. 동학농민운동과 농민
4. 카프 시대의 농민문학
5. 혁명가가 된 농민
6. 유·이민문학의 제양상
7. 식민지 시대의 농민문학
8. 해방 공간과 농민
9. 6·25와 이데올로기
10. 1970년대의 농민문학
11. 1980년대의 농민문학
12. 농민과 농지 개혁
13. 밀레니엄 시대의 농민문학
14. 전개와 요약
제4부 농민과 디아스포라문학
1. 한흑구의 디아스포라문학-<이민일기>
2. 이미륵의 디아스포라문학-『압록강은 흐른다』, 『그래도 압록강은 흐른다』
3. 이민진의 디아스포라문학-『파친코』
4. 자이니치의 시세계-『재일디아스포라 문학선집 1(시)』
5. 김숨의 디아스포라문학-『떠도는 땅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본고의 일차적 관심은 한국 농민문학의 역사적 전개와 당대의 작품을 결부시킴으로써 그것이 문학의 위기와 어떻게 접맥되고 ‘모험적인 영토’로서 비극성을 공유하고 있는가를 탐색하려 하였다. 그러한 의도에서 제3~4부는 ‘동학농민문학에서 디아스포라문학’까지를 포괄한다.
한국 역사는 한반도라는 지형적 조건과 근대화 과정에서의 실패한 정치·경제적 후진성, 양반 계층의 부조리 등 인위적 조건에 의해 외세 침략과 외세 지배를 받아 온 수난사이고, 문학은 그러한 ‘억압과 결핍의 시대’를 증언하고 상상하는 비극적인 경험의 언어 영토임을 부인치 않는다.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