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언약신학과 계시발전

언약신학과 계시발전

김의원 (지은이)
그리심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400원 -10% 0원
0원
32,4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2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언약신학과 계시발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언약신학과 계시발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57995020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4-04-10

책 소개

독자들이 이 책을 읽을 때 주석이 없는 성경과 7가지 색상의 색연필을 준비하여 본서에서 언급되는 각 언약과 약속들이 언급된 구절을 표시하면서 읽기를 제안한다. 이런 방법으로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읽으면 성경 전체에 면면히 흐르는 하나님의 언약을 일목 요원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 11
제1장서론 ․․․․․․․․․․․․․․․․․․․․․․․․․․․․․․․․․․․․․․․․․․․․․․․․․․․․․ 15
제1절. 구약성경과 구약신학의 통일성․․․․․․․․․․․․․․․․․․․․․․17
1. 계시의 산물로서의 성경 17
2. 구약성경의 기록 원리 19
3. 성경과 성경신학 23
4. 신구약 성경의 연속성에 관한 견해들 30
5. 세대주의 신학 32
제2절. 언약신학의 정의와 종류․․․․․․․․․․․․․․․․․․․․․․․․․․․39
1. 언약의 개념 39
2. 창조 언약과 그 정당성 46
3. 창조 언약과 구속 언약 61
제2장창조언약:타락전아담언약 ․․․․․․․․․․․․․․․․․ 65
제1절. 창조 언약의 의미․․․․․․․․․․․․․․․․․․․․․․․․․․․․․․․․67
제2절. 종주와 봉신으로서의 창조주와 인간․․․․․․․․․․․․․․․․․68
제3절. 창조 언약의 내용․․․․․․․․․․․․․․․․․․․․․․․․․․․․․․․․71
1. 창조 언약의 일반 규정 71
2. 창조 언약의 특수 규정 77
1. 처음 세워진 할례 205
2. 구약과 할례 2083. 신약과 할례 210
4. 할례와 세례의 관계 213
제6장모세언약1:율법약속 ․․․․․․․․․․․․․․․․․․․․․․․․․․․․․․․․․․․․․․․․․․․ 217
제1절. 모세 언약의 배경․․․․․․․․․․․․․․․․․․․․․․․․․․․․․․․219
1. 아브라함 언약과 모세 언약 219
2. 모세 언약의 핵심은 율법인가 언약인가? 220
제2절. 모세 언약의 내용․․․․․․․․․․․․․․․․․․․․․․․․․․․․․․․227
1. 모세 언약과 이스라엘의 소명 228
2. 모세 언약의 핵심인 율법과 장막 231
3. 언약 체결 예식 235
제3절. 계시 역사와 율법 약속․․․․․․․․․․․․․․․․․․․․․․․․․․․237
1. 십계명과 언약서 237
2. 율법의 기능과 하나님의 뜻 241
3. 계시 발전과 율법 약속 247
4. 새 언약과 법 259
제4절. 율법의 의의․․․․․․․․․․․․․․․․․․․․․․․․․․․․․․․․․․․․264
제7장모세언약2:장막약속 ․․․․․․․․․․․․․․․․․․․․․․․․․․․․․․․․․․․․․․․․․․․․ 267
제1절. 장막 기사의 배경과 구도․․․․․․․․․․․․․․․․․․․․․․․․․269
1. 시내 산 성소와 장막 성소의 병행 269
2. 창조 기사와 장막 기사의 병행 270
3. 금송아지 사건과 장막 건축의 병행 270
제2절. 장막의 의미와 건설 지침․․․․․․․․․․․․․․․․․․․․․․․․․271
1. 장막에 대한 여러 단어 271
2. 장막 설계와 건축 272
3. 장막 구조와 의미 276
제3절. 계시 역사와 성소 신학․․․․․․․․․․․․․․․․․․․․․․․․․․․281
1. 창조 언약 시대 282
2. 아브라함 언약 시대 285
3. 모세 언약 시대 287
4. 다윗 언약 시대 289
5. 새 언약 시대 298
6. 신약시대의 교회공동체 304
제4절. 계시 발전과 모세 언약․․․․․․․․․․․․․․․․․․․․․․․․․․․310
제8장다윗언약:통치와예배 ․․․․․․․․․․․․․․․․․․․․․․․․․․․․․․․․․․․․․․․․․․․․․․ 315
제1절. 다윗 언약의 배경․․․․․․․․․․․․․․․․․․․․․․․․․․․․․․․317
1. 다윗 언약의 역사적 배경 318
2. 다윗 언약의 문학적 구도 319
3. 다윗 언약의 신학적 배경 321
제2절. 다윗 언약의 체결․․․․․․․․․․․․․․․․․․․․․․․․․․․․․․․327
1. 성전 건축과 다윗 왕국 327
2. 계시 발전과 예루살렘 330
제3절. 계시 역사와 다윗 왕권의 최종 실현․․․․․․․․․․․․․․․․334
1. 다윗에게 주어진 약속과 다윗의 행함 334
2. 열왕기에 나타난 다윗의 모범 336
3. 멸망 이후의 통치와 예배 341
4. 예수 그리스도와 다윗 언약 345
5. 다윗의 약속과 성취 348
제4절. 다윗 언약의 발전․․․․․․․․․․․․․․․․․․․․․․․․․․․․․․․355
1. 이전 언약과 다윗 언약 355
2. 다윗 언약과 다윗 보좌 357
제9장새언약:완성의언약 359
제1절. 예레미야와 에스겔이 선포한 새 언약․․․․․․․․․․․․․․․361
제2절. 새 언약의 배경 ․․․․․․․․․․․․․․․․․․․․․․․․․․․․․․․․363
1. 선지자들의 언약 메시지 363
2. 예레미야와 에스겔의 초기 사역 367
제3절. 예레미야의 새 언약․․․․․․․․․․․․․․․․․․․․․․․․․․․․․․370
1. 예레미야의 새 언약 배경 371
2. 예레미야의 새 언약 372
제4절. 에스겔의 새 언약․․․․․․․․․․․․․․․․․․․․․․․․․․․․․․․380
제5절. 예레미야와 에스겔의 새 언약․․․․․․․․․․․․․․․․․․․․․382
제6절. 계시 역사와 새 언약․․․․․․․․․․․․․․․․․․․․․․․․․․․․․383
1. 새 언약의 예언과 신약의 성취 383
2. 계시 발전과 율법의 내면화 387
3. 계시 발전과 선지자 제도 390
4. 계시 발전에 따른 제사와 속죄 395
제7절. 새 언약의 의미․․․․․․․․․․․․․․․․․․․․․․․․․․․․․․․․․402
1. 이전 약속의 성취와 새 언약 402
2. 성령을 통한 마음의 변혁 402
3. 죄에 대한 완전한 속죄 403
4. 만인 선지자와 만인 제사장 403
제10장신약성경과언약성취 ․․․․․․․․․․․․․․․․․․․․․․․․․․․․․․․․․․․․․․․․․․․ 405
제1절. 언약과 예수 그리스도․․․․․․․․․․․․․․․․․․․․․․․․․․․․407
제2절. 예수와 자손 약속․․․․․․․․․․․․․․․․․․․․․․․․․․․․․․․408
1. 마태복음 1장과 자손 약속 408
2. 갈라디아서 3장과 자손 약속 411
제3절. 신약성경과 다윗 왕권 약속․․․․․․․․․․․․․․․․․․․․․․․411
1. 다윗 혈통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412
2. 다윗의 자손이자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 413
3. 다윗 왕권과 성전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 414
4. 성취된 다윗 왕권의 보좌 415
5.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보좌 우편 418
제4절. 신약성경과 자손 약속․․․․․․․․․․․․․․․․․․․․․․․․․․․․422
1. 남은 자 사상과 신앙공동체 422
2. 신약성경과 아브라함 자손 423
3. 누가 이스라엘인가? 425
4. 새 이스라엘 백성의 정체성 427
제5절. 신약성경과 성전 약속․․․․․․․․․․․․․․․․․․․․․․․․․․․․429
1. 구약과 성전 429
2. 신약과 성전 430
3. 종말론적인 성전 435
제6절. 예수와 땅 약속․․․․․․․․․․․․․․․․․․․․․․․․․․․․․․․․․436
1. 땅의 약속과 상실 437
2. 신약과 땅 438
3 교회공동체와 새 예루살렘 440
4. 새 땅, 새 예루살렘 442
제7절. 마지막 시대․․․․․․․․․․․․․․․․․․․․․․․․․․․․․․․․․․․․443
1. 새 예루살렘과 우주적 통치 443
2. 종말론적 성전 445
3. 계시 발전과 하나님 백성의 언약 소명 448
참고문헌 ․․․․․․․․․․․․․․․․․․․․․․․․․․․․․․․․․․․․․․․․․․․․․․․․․․․ 453

저자소개

김의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숭실대학교 철학과 문학사(B.A.)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 신학 석사(M.Div.)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 구약학 석사(Th.M.) 미국 뉴욕대학교 고대근동어과 철학박사(Ph.D.) 경력 뉴욕센트럴장로교회 설립 및 시무 총신대학교 교수 총신대학교 총장 개혁주의신학회 회장 기독교학문연구소 소장 복음주의신학회 회장 백석대학교 대학원 학사부총장 대한민국 녹조 근정훈장 수훈 AETA 대표(현) (Association of Educators and Trainers in All-tribes) 저서 구약 역사(개혁주의신행협회, 1995) 사사기 연구(성서공회, 2007) 레위기 연구(CLC, 2013) 성경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바이블리더스, 2007) 하늘과 땅의 톨레돗: 창세기 연구(CLC, 2013) 역서 계약신학과 그리스도(P. Robertson,CLC, 1983) 신구약 중간사(R. Surburg, CLC, 1984) 이스라엘의 역사(L.Wood, CLC, 1985) 계약신학과 약속(T. McKomiskey, CLC. 1987) 성경해석 방법론(D. Staurt &G. Fee, CLC, 1987) 새로운 주경신학 연구(W.C. Kaiser, 양서각, 1988) 새롭게 본 구약(W. C. Kaiser, 바실래, 1989) 하나님의 언약(A. Pink, CLC, 1989) 모세오경의 문화적 배경(G. Livingston, CLC, 1990) 성경해석과 교회(D. A. Carson, CLC, 1991)
펼치기

책속에서

제1절. 구약성경과구약신학의통일성

1.계시의산물로서의성경

구약성경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두 가지 질문이 있다. 하나는 “구약성경이 기독교인들에게 권위가 있는가?”하는 것인데, 이것은 구약성경의 내용의 권위를 묻는 질문이다. 다른 하나는 “구약성경에서 선포하는 계시의 말씀이 기독교인들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 하는 것인데, 이것은 구약성경의 의미를 묻는 질문이다.
먼저 “구약성경이 기독교인들에게 권위가 있는가?”라고 묻는 구약성경의 권위에 관한 질문은 구약성경의 계시적 성격을 묻는 것이다. 구약성경의 축을 이루는 역사와 계시의 관계에 대하여 서로 다른 두 관점이 있다. 하나는 진보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보수주의이다. 진보주의는 구약성경을 고대 근동지역에서 발견된 여러 문서의 결집으로 보거나 당시 저자들의 하나님에 대한 신앙고백서로 본다. 즉 그들은 구약성경을 이야기 전달자들이 과거에 일어난 역사적 사건의 정보를 자신의 체험과 신앙에 기초하여 해석하고 전달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그들은 성경에 역사적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1) 그러나 성경의 권위와 이에 기초한 역사적 기독교 신학을 거부하면 성경신학을 구축할 수 없다. 이와 달리 보수주의는 성경을 인간 저자들을 통해 자유롭게 기록하게 하되 성령의 감동을 통해 하나님께서 의도한 것을 정확하게 기록하게 한 하나님의 행위의 산물, 곧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으로 본다. 따라서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된 성경은 역사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 오류가 없다고 한다. 구약성경이 무오(無誤)하다는 것은 신학적인 오류가 없을 뿐 아니라 그 안에 언급된 역사적, 과학적인 기술이 의도하는 바가 정확하고 권위적이라는 의미이다. 보수주의에 따르면 성경은 하나님이 주신 계시로 일관되며 통일된 형태로 주어졌기 때문에 성경신학의 핵심은 성경을 성경 자체의 관점에 따라 읽는 데에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