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58102199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12-07-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사회복지실천: 맥락의 중요성
제2장 보건·복지의 지배적 담론: 생의학적·경제학적·법적 담론
제3장 서비스담론:‘정신’과학적 개념과 사회학적 개념
제4장 대안적 서비스 담론: 소비자권리 담론과 종교적·영성적 담론
제5장 사회복지 실천이론: 지식형성과 활용을 위한 접근들
제6장 문제해결접근: 과제중심실천을 중심으로
제7장 체계이론: 세 가지 흐름
제8장 강점관점
제9장 모더니즘적 비판사회복지: 급진적 실천에서 반억압적 실천까지
제10장 포스트모더니즘적 접근
제11장 실천 틀 창조하기
책속에서
이 책의 핵심적인 메시지가 있다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즉, 사회복지실천의 제도적 맥락과 공식적인 이론적 토대를 뒷받침하는 개념들을 이해함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은 그것들을 비판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또 사회복지사들이 헌신하는 가치와 목적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경우 그것들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사회복지사들은 수많은 다양한 고민을 안고 수많은 억압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을 수없이 다양한 맥락 속에서 만나 실천활동을 행한다. 사회복지사가 누구냐고 묻는다면 그 대답 중의 하나는 사회복지사는 각자가 속한 조직의 맥락 속에서 그리고 더 크게는 그가 속한 사회라는 맥락 속에서 클라이언트와 함께 변화를 추구하는 변화매개자라는 것이다. 필자는 이 책이 사회복지사들로 하여금 취약계층에게 좀 더 유리한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제도적 맥락과 공식적 이론을 활용할 사회복지전문직의 능력을 이해하게끔 하고 또 그런 능력을 발전시키도록 기여하게끔 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취약계층에게 더 유리한 변화야말로 사회복지전문직의 일차적이고도 공통된 관심사일 것이다.
사회복지사들이 자신들의 실천 틀을 구성해나가는 과정에 창조성이 내재해 있다는 점은 거의 인정받지 못했고, 제대로 평가받지도 못했다. 사회복지사들이 지식과 기술과 경험을 결합하여 현장에서 개발한 실천 틀은 시간이 흐르면서 사회복지사들의 실천 방법으로 ‘상식적인 것’이 되어가지만, 어떤 예외적인 사건이 발생하여 사회복지실천의 토대를 재검토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그러한 ‘상식적인’실천 틀들이 엄밀한 비판적 성찰의 대상이 되지는 않았다. 실천 틀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그와 같은 ‘상식적인’ 실천 틀들을 엄밀한 비판적 성찰의 시험대에 올려놓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