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서예
· ISBN : 9788958175438
· 쪽수 : 437쪽
· 출판일 : 2024-03-25
목차
❖ 韓譯版 自序 ∙ 3
❖ 서문 ∙ 9
❖ 머리말 ∙ 12
제1장 완원 생애와 학술╺ 벼슬길에서 학술 ∙ 15
제1절 과거급제[平步靑雲] 18
제2절 지방관리[九省疆臣] 24
1. 순무 : 절강ㆍ하남ㆍ강서 24
2. 총독 : 호광ㆍ양광ㆍ운귀 31
제3절 은거생활[怡志林泉] 44
제4절 완원 학술사상 약술 49
제2장 완원 서학사상 연원╺ 경학은 생명 ∙ 57
제1절 건가학파의 개입 59
제2절 금석학을 비학에 도입 66
1. 완원 금석학 연구의 성과- 금석십사(金石十事) 66
2. 완원 금석학 연구의 견해- 이금증경(以金證經) 90
3. 완원 금석학 연구의 관통- 유금섭서(由金涉書) 95
제3절 완원의 금석학 저작 104
1. 『적고재종정이기관지』 104
2. 『한연희서악화산비고』 109
제4절 서학동점(西學東漸) 사상 117
제5절 경학 배경의 청나라 초기ㆍ중기의 서단 122
제3장 완원과 선배의 금석서예 교유╺ 모심과 동행 ∙ 131
제1절 유용ㆍ옹방강ㆍ철보와의 스승과 제자 교유 133
1. 제일선학수(第一先学寿)- 완원과 유용 134
2. 상향소재알(常向苏斋谒)- 완원과 옹방강 138
3. 기유과좌사(己酉科座师)- 완원과 철보 153
제2절 전대흔ㆍ필원ㆍ황이와의 금석 교유 159
1. 구난망년교(九难忘年交)- 완원과 전대흔 159
2. 사관노전배(词馆老前辈)- 완원과 필원 164
3. 봉래지숙약(蓬莱之宿约)- 완원과 황이 168
제4장 완원 서학사상 핵심╺ 복고는 해방 ∙ 179
제1절 「남북서파론」과 「북비남첩론」 181
1. 비첩 유파 제시와 지역 서풍 이론 181
2. 한비 지위 확립과 북비 서풍 제창 192
3. ‘반고론(返古论)’ 해석 197
제2절 <난정서> 제발 고찰과 서학사상 203
1. 청나라 중기 이전 난정관 203
2. 완원의 제발 고찰로 본 난정관 207
3. 완원의 <난정서> 부정 213
제3절 『순화각첩』 제발 재론과 서학사상 219
1. 『순화각첩』 첩파를 부정한 관점 219
2. 왕희지를 뒤집기 위한 관점 224
3. 『순화각첩』 부정은 북비를 위한 관점 229
제4절 고고 자료로 <난정서>를 부정하는 관점 233
1. 동한의 <현천치마지묵적>과 전량의 <이백문서> 233
2. 서진의 <목방묵적> 239
제5장 완원 서학사상 전파와 영향╺ 길을 개척함 ∙ 243
제1절 학술 교류로 서학사상 전파 245
1. 붕우찬허(朋友贊許)- 전영ㆍ이병수 246
2. 제자전신(弟子传薪)- 양장거ㆍ진홍수ㆍ오영광ㆍ도탁ㆍ하소기 257
3. 완원 막부의 금석서예 문화권 307
제2절 근세 서예가에 대한 서학사상 계시와 영향 323
1. 이비증첩(以碑证帖)- 포세신 323
2. 존위비당(尊魏卑唐)- 강유위 325
3. 청나라 말과 근대 서예가에 대한 영향 327
제3절 조선에서의 완원 북비 풍토 334
1. 편수여검서(編修與檢書)- 완원과 유득공ㆍ박제가의 교유 334
2. 완당소모완(阮堂所慕阮)- 김정희가 완원을 스승으로 삼음 336
3. 추사파선풍(秋史派旋风)- 김정희가 중개한 조선의 비학 열기 348
제6장 완원 서예 창작과 환경╺ 반발의 어색함 ∙ 357
제1절 완원 서예 역정 359
1. 소년의 불가학서(不暇学书) 359
2. 중년의 필경불철(笔耕不辍) 361
3. 만년의 반복귀진(返朴归真) 362
제2절 완원의 각 서체 분석 364
1. 독지당비(笃志唐碑)- 해서 364
2. 심염동조(深染董赵)- 행서ㆍ초서 367
3. 의재진한(意在秦汉)- 전서ㆍ예서 370
4. 『석화기』 초고로 본 완원 서예의 진솔함 380
제3절 서예사의 지위 384
❖ 부록 : 완원 금석서예 연표 ∙ 389
❖ 후기 ∙ 425
❖ 참고문헌 ∙ 428
❖ 역자 후기 ∙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