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서예 풍격사

중국서예 풍격사

서리명 (지은이), 곽노봉 (옮긴이)
학고방
5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2,000원 -0% 0원
2,600원
49,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서예 풍격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서예 풍격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서예
· ISBN : 9791165864002
· 쪽수 : 652쪽
· 출판일 : 2021-07-10

책 소개

서예는 문자를 매개체로 삼아 모필로 작가의 성정ㆍ주관ㆍ정취ㆍ수양ㆍ학문 등을 표현하는 특수 예술이다. 한자의 변천 과정이 끝난 뒤에는 서체의 변천도 끝났기 때문에 이후부터는 서체는 고정되었고 대신에 서풍의 발전이 있었다. 서풍은 크게 개성ㆍ지역ㆍ시대의 서풍으로 나눌 수 있다.

목차

서론 19
제1절 한자의 실용성과 서예의 예술성 21
제2절 서예 풍격의 기본 구성요소 24
1. 특정 용도와 격식 24 / 2. 공구와 재료 25 / 3. 형식과 표현의 기교 26
4. 개성 기질과 심미 정취 26

제3절 서예 풍격사의 기본 특징 28
1. 시기 분류 28 / 2. 금석기와 서권기 29 / 3. 의식과 무의식 32

제4절 체례와 학술연구의 입장 36

제1부 서체 변천
제1장 총론 41
제1절 서체 변천과 풍격 41
1. 간편함과 관통 41 / 2. 신체ㆍ정체ㆍ고체 42 / 3. 수사체와 명문 43

제2절 관통의 삼 형식 46
1. 안으로 향하는 형식 46 / 2. 과도기의 형식 47 / 3. 밖으로 향하는 형식 48

제3절 서체 풍격과 개인ㆍ지역ㆍ시대 풍격의 관계 51

제2장 전서 시대의 서예 풍격 53
제1절 개설 53
제2절 상ㆍ서주 57
1. 주서ㆍ묵서 57 / 2. 초기의 금문 59 / 3. 갑골문 62 / 4. 말기의 금문 67

제3절 춘추전국시기 72
1. 수사체 72 / 2. 장중한 명문 74 / 3. 소탈한 명문 77 / 4. 화려한 명문 79
5. 청천목독 80

제4절 진나라 82
1. 수호지진간 82 / 2. 각석 83 / 3. 권량조판 85

제3장 예서 시대의 서예 풍격 88
제1절 개설 88
제2절 간백의 수사체 92
1. 고의신법古意新法 92 / 2. 예체전범隸體典範 93 / 3. 파법초예破法草隸 94
4. 장초풍류章草風流 98

제3절 한나라 예서 103
1. 서한시기 103 / 2. 동한시기 105

제4절 한나라 전서 116
1. 서한시기 116 / 2. 동한시기 119

제5절 전서ㆍ예서 125
1. 동경 125 / 2. 전명 128 / 3. 와당 131

제4장 초서ㆍ행서ㆍ해서 형성기의 서예 풍격 137
제1절 개설 137
제2절 초기의 해서 141
1. 질박한 종요의 해서 141 / 2. 오나라 해서의 의의143

제3절 초서 146
1. 장초서 146 / 2. 함령사년여씨전 148 / 3. 평복첩 149

제4절 위ㆍ진나라 간독 152
제5절 전서ㆍ예서 155
1. 천발신참비 155 / 2. 황초잔석ㆍ좌분묘지명 156 / 3. 전명 157

제2부 개성 풍격
제5장 총론 165
제1절 밖으로 향하는 동진 이후의 풍격 변천 165
제2절 금체서의 양대 필세 171
1. 양대 필세의 형성 171 / 2. 양대 필세의 특징 174 / 3. 양대 필세의 계통 175

제3절 위ㆍ진나라 이후의 개성 풍격 182
제4절 고전주의ㆍ낭만주의 풍격 190

제6장 아일의 운치 194
제1절 신체서 194
제2절 왕희지의 서예 199
1. 왕희지 서예의 경지 199 / 2. 왕희지의 해서 205 / 4. 왕희지의 초서 213

제3절 왕헌지의 서예 216
1. 왕헌지의 공헌 216 / 2. 왕헌지의 해서 221 / 3. 왕헌지의 행초서 223

제4절 왕씨 가풍과 남조의 서예 풍격 225
1. 왕씨 가풍의 평가 225 / 2. 과도기 서체 230 / 3. 남조의 서예 풍격 232

제7장 다채로운 북조의 서예 풍격 240
제1절 북조 각석 흥성의 원인 240
제2절 북조 각석 서예의 특징 246
1. 질박미 246 / 2. 서예ㆍ각공의 기예 250 / 3. 의식과 무의식 254

제3절 북비 서예 풍격의 지역성과 시대성 256
제4절 북조 각석의 서예 풍격 264
1. 단장한아端莊嫻雅 264 / 2. 방정박실方正朴實 266 / 3. 기일쇄탈奇逸灑脫 269
4. 교려주건巧麗遒健 270 / 5. 솔박감창率樸酣暢 272 / 6. 웅혼박대雄渾博大 274

제8장 사경체 285
제1절 사경체의 형성 285
제2절 사경체의 특징 290
제3절 사경체의 작품 294

제9장 ‘이왕’ 법도와 당나라 서예 풍격 299
제1절 당나라 서예 풍격의 전주 299
제2절 ‘이왕’을 기초로 한 당나라 서예 정신 306
제3절 당나라 서예 법도의 변천 314
1. 구양순ㆍ우세남ㆍ저수량ㆍ이세민 314 / 2. 이옹 321 3. 안진경ㆍ유공권 / 326

제4절 성정을 펴낸 당나라 서예 풍격 333
1. 장욱ㆍ회소 333 / 2. 이백ㆍ안진경ㆍ유공권 345 / 3. 양응식 350

제10장 ‘상의’의 서예 풍격 355
제1절 선의禪意ㆍ화취畫趣ㆍ서정書情 355
제2절 맹아기 367
제3절 흥성기 374
1. 소식ㆍ황정견 374 / 2. 미불 385 / 3. 조길ㆍ채경 391

제4절 쇠락기 397
제5절 의고주의 402

제11장 복고와 변고 408
제1절 복고의 의의 408
제2절 원나라의 장초서 419
제3절 개성주의 425
제4절 선승 432

제12장 낭만주의의 서예 풍격 446
제1절 명나라 초기의 의고주의와 낭만주의 446
제2절 명나라 중기의 서예 풍격 455
1. 낭만주의 서예가 455 / 2. 절충형의 서예가 465

제3절 낭만주의 대표 서예가 470
1. 서위 471 / 2. 장서도 475 / 3. 황도주 478 / 4. 예원로 479 / 5. 왕탁 481
6. 진홍수 485 / 7. 진근ㆍ손신행 487

제4절 고전주의 490
1. 문징명 490 / 2. 동기창 494

제5절 낭만주의 서예 풍격의 마지막 불꽃 502
1. 부산 502 / 2. 정수 504 / 3. 허우 505 / 4. 주탑 506 / 5. 석도 509

제13장 비학의 서예 풍격 512
제1절 비학 서예 풍격의 의의 512
제2절 전기 520
1. 정보 522 / 2. 양주팔괴 524 / 3. 등석여 536

제3절 전성기 542
1. 공청고 542 / 2. 이병수 544 / 3. 진홍수 547 / 4. 오희재 550 / 5. 하소기 551
6. 양현 556 / 7. 유월 557 / 8. 장유쇠 559 / 9. 조지겸 561

제4절 후기 566
1. 양수경 569 / 2. 강유위 570 / 3. 이서청 573 / 4. 심증식 575
5. 오창석 578

제14장 ‘삼합일’의 근현대 서예 풍격 583
제1절 사회 배경 583
제2절 전서ㆍ예서의 확장 592
1. 갑골문 593 2. 전서 595
3. 예서 598

제3절 ‘삼합일’의 서예 풍격 601
1. 화가의 서예 풍격 602 2. 학자의 서예 풍격 606
3. 정치가의 서예 풍격 611 4. 고승의 서예 풍격 614
5. 서예가의 서예 풍격 616

제4절 초서의 부흥 619

찾아보기 626
후기 1 642
후기 2 643
역자 후기 644

저자소개

서리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男, 1954年2月生 文學博士, 南京藝術學院教授, 博士生導師, 江蘇省書法創作研究中心主任 ∙ 主要研究方向 中國書法(篆刻)史, 書法(篆刻)創作理論, 書法風格學 ∙ 主要社會兼職 全國政協委員, 致公黨中央文化委員會副主任, 中國標准草書學社社長, 中國教育學會書法教育專業委員會副理事長, 中國書法家協會草書專業委員會副主任, 南京印社社長, 西泠印社理事 ∙ 獲得國家級榮譽 首屆“全國中青年德藝雙馨文藝工作者”榮譽稱號(2004), 全國文化名家暨“四個一批”人才(2005) ∙ 獲得國家級專業獎項 第一屆中國書法蘭亭獎金獎(2001), 第五屆中國書法蘭亭獎藝術獎(2015), 第五屆全國書法篆刻展“全國獎”(1992), 全國篆刻評比一等獎(1983) ∙ 代表性著作 專著《中國書法風格史》, 《“篆隸筆意”與四百年書法流變》 主編《書法創作理論研究》, 《中國書法通論》, 《中國書法全集ㆍ86》 譯著《書法與現代思潮》 教材《利明書法教程》, 《五體臨帖示範》 作品集《徐利明書法篆刻》
펼치기
곽노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문학박사(외대, 중문학) 문학박사(중국미술학원, 서법이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교수 한국서학연구소 소장 원곡서예학술상 수상 [著譯書] · <書藝百問百答>, 미진사, 1991.8. · <書法論叢>, 東文選, 1993.11. · <中國書藝全集> 7권, 미술문화원, 1994.9. · <포청천> 상?하, 미술문화원, 1995.1. · <아동포청천> 상?하, 미술문화원, 1995.2. · <中國書藝80題>, 東文選, 1995.12. · <中國書藝論文選>, 東文選, 1996.6. · <中國書藝美學>, 東文選, 1998.5. · <中國書學論著解題>, 다운샘, 2000.1. · <中國書法與中國當代書壇現狀之硏究>, 西?印社(中國), 2000.5. · <中國歷代書論>, 동문선, 2000.7.10. · <中國書藝理論體系>, 동문선, 2002.9. · <古書畵鑑定槪論>, 동문선, 2004.5. · <안진경 서예의 조형분석>, 다운샘, 2004.7. · <?肩 郭魯鳳 書論99展>, 美術文化院, 2005.10. · <書藝家列傳> 다운샘, 2005.10. · <소동파 서예세계>, 다운샘, 2005.10. · <회화백문백답>, 東文選, 2006.1. · <서론용어소사전>, 다운샘, 2007.3. · <韓國書學資料集>, 다운샘, 2007.8. · <서예치료학>, 다운샘, 2008.12. · <印學史>, 다운샘, 2011.9. · <畵禪室隨筆>, 다운샘, 2012.9. · <서사기법>, 다운샘, 2013.11. · <商周金文>, 學古房, 2013.12. · <서론>, 다운샘, 2014.11.10. · <서예와 중국서단>, 學古房, 2015.2. · <서체>, 다운샘, 2015.3. · <書藝의 으뜸과 버금>, 學古房, 2015.9. [論文] · 「篆書的演變對于篆刻藝術的影響」, <西?印社國際印學硏討會論文集>, 西?印社, 1999.7. · 「중국의 ‘학원파’서예에 대한 초탐」, <書藝學硏究> 第1號, 韓國書藝學會, 2000.5. · 「중국 ‘현대파’서예에 대한 고찰」, <書藝學硏究> 第2號, 韓國書藝學會, 2001.12. · 「중국서론체계에 대한 초탐」, <書藝學硏究> 第4號, 韓國書藝學會, 2004.5. · 「현대서예의 특징과 방향성에 대한 모색」, <書藝學硏究> 第5號, 韓國書藝學會, 2004.9. · 「蔡襄의 ‘神氣’說에 관한 考察」, <書藝學硏究> 第6號, 韓國書藝學會, 2005.3. · 「서예의 用筆에 관한 연구」, <東方思想과 文化> 創刊號, 東方思想文化學會, 2007.12. · 「時代書風에 대한 小攷」, <書學硏究> 第2輯, 韓國書學硏究所, 2008.5. · 「書論이 書風에 미친 영향」-‘尙意’書風을 중심으로- <韓國思想과 文化> 제43집, 韓國思想文化學會, 2008.6. · 「高麗前期와 宋의 서예 비교」, <書藝學硏究> 第13號, 韓國書藝學會, 2008.9. · 「서예의 結構에 관한 연구」, <韓國思想과 文化> 第43輯, 韓國思想文化學會, 2009.9. · 「‘尙意’書風과 ‘大學派’를 통해 바라본 未來 韓國書壇」, <書藝學硏究> 第16號, 韓國書藝學會, 2010.3. · 「傳統書藝의 用筆과 結構」, <書藝學硏究> 第20號, 韓國書藝學會, 2011.3. · 「비학과 한국서단에 관한 연구」, <書藝學硏究> 第18號, 韓國書藝學會, 2012.3. · 「鍾繇의 書藝硏究」, <韓國思想과 文化> 제64집, 韓國思想文化學會, 2012.9. · 「<산씨반>의 서예연구」, <書藝學硏究> 第22號, 韓國書藝學會, 2013.3. · 「최치원의 삶과 <진감선사비>의 서예연구」, <文化藝術硏究> 第一輯, 2013.8. · 「<集古錄跋尾>의 가치와 서예관 고찰」, <書藝學硏究> 第24號, 韓國書藝學會, 2014.3. · 「한자와 서예」, <중국학> 第50號, 대한중국학회, 2015.03 · 「‘書如其人’에 대한 管窺」, <書藝學硏究> 第27號, 韓國書藝學會, 2015.09 · 「고려 시대의 영남서예」, 『한국학논집> 第61號, 한국학연구원, 2015.12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