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서예
· ISBN : 9791165864002
· 쪽수 : 652쪽
· 출판일 : 2021-07-10
책 소개
목차
서론 19
제1절 한자의 실용성과 서예의 예술성 21
제2절 서예 풍격의 기본 구성요소 24
1. 특정 용도와 격식 24 / 2. 공구와 재료 25 / 3. 형식과 표현의 기교 26
4. 개성 기질과 심미 정취 26
제3절 서예 풍격사의 기본 특징 28
1. 시기 분류 28 / 2. 금석기와 서권기 29 / 3. 의식과 무의식 32
제4절 체례와 학술연구의 입장 36
제1부 서체 변천
제1장 총론 41
제1절 서체 변천과 풍격 41
1. 간편함과 관통 41 / 2. 신체ㆍ정체ㆍ고체 42 / 3. 수사체와 명문 43
제2절 관통의 삼 형식 46
1. 안으로 향하는 형식 46 / 2. 과도기의 형식 47 / 3. 밖으로 향하는 형식 48
제3절 서체 풍격과 개인ㆍ지역ㆍ시대 풍격의 관계 51
제2장 전서 시대의 서예 풍격 53
제1절 개설 53
제2절 상ㆍ서주 57
1. 주서ㆍ묵서 57 / 2. 초기의 금문 59 / 3. 갑골문 62 / 4. 말기의 금문 67
제3절 춘추전국시기 72
1. 수사체 72 / 2. 장중한 명문 74 / 3. 소탈한 명문 77 / 4. 화려한 명문 79
5. 청천목독 80
제4절 진나라 82
1. 수호지진간 82 / 2. 각석 83 / 3. 권량조판 85
제3장 예서 시대의 서예 풍격 88
제1절 개설 88
제2절 간백의 수사체 92
1. 고의신법古意新法 92 / 2. 예체전범隸體典範 93 / 3. 파법초예破法草隸 94
4. 장초풍류章草風流 98
제3절 한나라 예서 103
1. 서한시기 103 / 2. 동한시기 105
제4절 한나라 전서 116
1. 서한시기 116 / 2. 동한시기 119
제5절 전서ㆍ예서 125
1. 동경 125 / 2. 전명 128 / 3. 와당 131
제4장 초서ㆍ행서ㆍ해서 형성기의 서예 풍격 137
제1절 개설 137
제2절 초기의 해서 141
1. 질박한 종요의 해서 141 / 2. 오나라 해서의 의의143
제3절 초서 146
1. 장초서 146 / 2. 함령사년여씨전 148 / 3. 평복첩 149
제4절 위ㆍ진나라 간독 152
제5절 전서ㆍ예서 155
1. 천발신참비 155 / 2. 황초잔석ㆍ좌분묘지명 156 / 3. 전명 157
제2부 개성 풍격
제5장 총론 165
제1절 밖으로 향하는 동진 이후의 풍격 변천 165
제2절 금체서의 양대 필세 171
1. 양대 필세의 형성 171 / 2. 양대 필세의 특징 174 / 3. 양대 필세의 계통 175
제3절 위ㆍ진나라 이후의 개성 풍격 182
제4절 고전주의ㆍ낭만주의 풍격 190
제6장 아일의 운치 194
제1절 신체서 194
제2절 왕희지의 서예 199
1. 왕희지 서예의 경지 199 / 2. 왕희지의 해서 205 / 4. 왕희지의 초서 213
제3절 왕헌지의 서예 216
1. 왕헌지의 공헌 216 / 2. 왕헌지의 해서 221 / 3. 왕헌지의 행초서 223
제4절 왕씨 가풍과 남조의 서예 풍격 225
1. 왕씨 가풍의 평가 225 / 2. 과도기 서체 230 / 3. 남조의 서예 풍격 232
제7장 다채로운 북조의 서예 풍격 240
제1절 북조 각석 흥성의 원인 240
제2절 북조 각석 서예의 특징 246
1. 질박미 246 / 2. 서예ㆍ각공의 기예 250 / 3. 의식과 무의식 254
제3절 북비 서예 풍격의 지역성과 시대성 256
제4절 북조 각석의 서예 풍격 264
1. 단장한아端莊嫻雅 264 / 2. 방정박실方正朴實 266 / 3. 기일쇄탈奇逸灑脫 269
4. 교려주건巧麗遒健 270 / 5. 솔박감창率樸酣暢 272 / 6. 웅혼박대雄渾博大 274
제8장 사경체 285
제1절 사경체의 형성 285
제2절 사경체의 특징 290
제3절 사경체의 작품 294
제9장 ‘이왕’ 법도와 당나라 서예 풍격 299
제1절 당나라 서예 풍격의 전주 299
제2절 ‘이왕’을 기초로 한 당나라 서예 정신 306
제3절 당나라 서예 법도의 변천 314
1. 구양순ㆍ우세남ㆍ저수량ㆍ이세민 314 / 2. 이옹 321 3. 안진경ㆍ유공권 / 326
제4절 성정을 펴낸 당나라 서예 풍격 333
1. 장욱ㆍ회소 333 / 2. 이백ㆍ안진경ㆍ유공권 345 / 3. 양응식 350
제10장 ‘상의’의 서예 풍격 355
제1절 선의禪意ㆍ화취畫趣ㆍ서정書情 355
제2절 맹아기 367
제3절 흥성기 374
1. 소식ㆍ황정견 374 / 2. 미불 385 / 3. 조길ㆍ채경 391
제4절 쇠락기 397
제5절 의고주의 402
제11장 복고와 변고 408
제1절 복고의 의의 408
제2절 원나라의 장초서 419
제3절 개성주의 425
제4절 선승 432
제12장 낭만주의의 서예 풍격 446
제1절 명나라 초기의 의고주의와 낭만주의 446
제2절 명나라 중기의 서예 풍격 455
1. 낭만주의 서예가 455 / 2. 절충형의 서예가 465
제3절 낭만주의 대표 서예가 470
1. 서위 471 / 2. 장서도 475 / 3. 황도주 478 / 4. 예원로 479 / 5. 왕탁 481
6. 진홍수 485 / 7. 진근ㆍ손신행 487
제4절 고전주의 490
1. 문징명 490 / 2. 동기창 494
제5절 낭만주의 서예 풍격의 마지막 불꽃 502
1. 부산 502 / 2. 정수 504 / 3. 허우 505 / 4. 주탑 506 / 5. 석도 509
제13장 비학의 서예 풍격 512
제1절 비학 서예 풍격의 의의 512
제2절 전기 520
1. 정보 522 / 2. 양주팔괴 524 / 3. 등석여 536
제3절 전성기 542
1. 공청고 542 / 2. 이병수 544 / 3. 진홍수 547 / 4. 오희재 550 / 5. 하소기 551
6. 양현 556 / 7. 유월 557 / 8. 장유쇠 559 / 9. 조지겸 561
제4절 후기 566
1. 양수경 569 / 2. 강유위 570 / 3. 이서청 573 / 4. 심증식 575
5. 오창석 578
제14장 ‘삼합일’의 근현대 서예 풍격 583
제1절 사회 배경 583
제2절 전서ㆍ예서의 확장 592
1. 갑골문 593 2. 전서 595
3. 예서 598
제3절 ‘삼합일’의 서예 풍격 601
1. 화가의 서예 풍격 602 2. 학자의 서예 풍격 606
3. 정치가의 서예 풍격 611 4. 고승의 서예 풍격 614
5. 서예가의 서예 풍격 616
제4절 초서의 부흥 619
찾아보기 626
후기 1 642
후기 2 643
역자 후기 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