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58286882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3-09-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외계인의 보고서가 출간되기까지 4
프롤로그 : ‘아름다운 고리’의 비극과 희망 11
일러두기 : 돌도끼와 쇠도끼 15
Ⅰ. 인류와 문화
1. 인간과 동물의 진정한 차이는? -인간과 문화 23
2. 인간의 탈을 쓴 늑대 -문화화와 상징 41
3. 서로 다른 문화가 만나면? -문화상대주의와 교류 51
Ⅱ. 요람에서 무덤까지
4. 태어난 여성, 만들어진 남성 -성과 사회 71
5. 아이의 죽음 -성인식 85
6. 신붓값과 지참금 -결혼과 가족 103
7. 놀이하는 인간 -놀이와 축제 123
Ⅲ. 사회와 세계
8. 신들은 어디에 있을까? -종교와 사회 145
9. 힘은 어디에서 올까? -정치와 권력 173
10. 교환의 세계 -경제 189
11. 이스터 섬의 석상들 -자연과 인간 203
에필로그 218
저자 후기 220
참고문헌 22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인류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옛날 지구의 인류는 성인식을 거치지 않으면 어른이 될 수 없다고 믿었다. 성인식을 거치지 않은 사람은 나이만 먹은 아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어른이지만 속은 아이 상태로 남아 있다는 말이다. 성인이 된다는 것은 달리 표현하면 아이의 죽음을 뜻한다. 성인식을 함으로써 아이는 죽고 어른으로 다시 태어난다. 따라서 성인식을 거치면 다시 아이로 되돌아갈 수 없게 된다. 힘들고 고통스러운 일이 생겨도 엄마 품에 안겨 칭얼대거나 어리광을 부릴 수 없다. 어른은 그런 일들을 스스로 해결하고 헤쳐 나가는 사람들이다.
왜 지역에 따라 결혼 형태가 다른 걸까? 결혼은 개인들끼리 관계를 맺는 것이 아니라 집단 사이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결혼의 여러 형태들은 그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히말라야처럼 자연환경이 척박한 곳은 많은 사람들이 함께 살기에는 먹을 것이 턱없이 부족하다. 이런 사회에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는 것은 사회적으로 큰 재앙이다. (……) 그래서 히말라야 인근 지역 사람들은 인구가 최소한으로 증가하는 결혼 형태인 일처다부제를 선택한 것이다.
핵가족이 복잡한 사회에서 살기에 적합한 가족 형태라고는 해도, 오랫동안 인류가 유지해 왔고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유지하고 있는 대가족 형태의 장점을 놓치지 말았으면 한다. 노인부터 청장년, 아이들까지 여러 연령층의 가족 구성원들이 함께 살면서 서로 나누어 맡았던 역할이 이제는 부부 둘이서만 떠맡아야 하는 무거운 짐이 되고 말았다. 아버지는 할아버지와 삼촌, 외삼촌, 형의 역할까지 맡아야 하고 어머니는 할머니와 고모, 이모, 언니 역할까지 해야 한다. (……) 현대 사회에서 핵가족이 생존에 유리하지만 삶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대가족보다 불리한 점이 있는 게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