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패

불패

(이순신의 전쟁)

황원갑 (지은이)
바움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2개 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패 (이순신의 전쟁)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88958831020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2-04-10

책 소개

이순신 전기소설. 절세명장 이순신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1인칭 독백체 소설로 엮었다. 철저한 사료 고증, 정확한 문장 구사, 박진감 넘치는 문체로 다수의 독자를 확보하고 있는 중견소설가이며 역사연구가인 황원갑은 이 책을 통해 이순신의 고행과도 같았던 54년간의 비상했던 일생, 탁월했던 위기 극복의 지혜와 출중했던 리더십을 재조명한다.

목차

서장 노량대첩 / 제1장 출생과 성장 / 제2장 북동풍 / 제3장 남서풍 / 제4장 전라좌수사 / 제5장 개전
제6장 한산대첩 / 제7장 고난행 / 제8장 삼도수군통제사 / 제9장 백의종군 / 제10장 명량대첩

후기 천추의 한

저자소개

황원갑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평창 출생, 1964년 춘천고등학교 졸업, 1966년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 졸업 1971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수료 1969년 월간스포츠 기자 1971~1981년 대한석탄공사 홍보실 사보담당 198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 1983년 신동아 복간기념 논픽션 당선 1981~1985년 한국일보 기자 1985~2002년 서울경제신문 문화부장 현재 한국소설가협회, 대한언론인회 회원 저서 소설집: 『비인간시대』, 『나를 여왕이라 부르라』, 『연수영』, 『풍운』, 『황혼의 분기점』, 『단심-포은 정몽주』, 『불패-이순신의 전쟁』, 『김삿갓』 역사교양서: 『역사인물기행』, 『인물로 읽는 한국풍류사』,『고승과 명찰』, 『전쟁으로 읽는 한국사』, 『민족사를 바꾼 무인들』, 『인물로 읽는 삼국유사』, 『한국사 제왕열전』, 『부활하는 이순신』, 『한국사 여걸열전』, 『한국사를 바꾼 리더십』
펼치기

책속에서

마침내 동쪽 하늘이 허옇게 밝아오기 시작했다. 수많은 적함이 치열한 접근전에서 불타고 부서졌다. 그러나 적군은 우리보다 수적으로 거의 2배나 되는 500여 척의 대함대였다. 관음포에서 도망칠 물길이 막히자 적군은 최후의 발악을 했다.
선봉에 섰던 나와 진린의 전함이 번갈아가며 적선들에게 포위당했다. 그때마다 나와 진린은 포위망을 뚫고 서로를 구원하는 한편, 적선을 한 척 한 척 계속 격침시켰다. 나는 쉴 새 없이 북채를 들어 둥둥둥둥! 전고를 울리고 독전기를 휘두르며 전투를 지휘했다.
나는 적선 가운데 한 층각선(層閣船) 위에 적장 세 놈이 타고 지휘하는 것을 발견했다. 그 적선에 접근하여 활을 들어 적장 한 놈을 쏘아 죽였다. 그러자 그때 진린의 배를 포위 공격하던 적선들이 층각선을 구출하기 위해 한꺼번에 이쪽으로 몰려왔다.
전투는 더욱 격렬하게 이어졌다. 단 한 놈의 왜적도 살려서 돌려보낼 수는 없다! 나는 더욱 힘껏 전고를 울리고 독전기를 휘둘렀다.
그러던 어느 순간, 홀연히 날아온 탄환 한 발이 나의 왼쪽 겨드랑이를 관통하여 심장 가까이에 박혔다.
치명상을 당한 나는 갑판에 쓰러지면서도 전투를 걱정했다. 맏아들 회(?)와 조카 완(莞), 몸종 금이(金伊)가 나를 둘러싸고 있었다. 내가 입을 열었다.
“방패로 내 앞을 가려라.”
그리고 또 이렇게 말했다.
“싸움이 급하다. 내가 죽더라도 알리지 마라.”
그것이 나 이순신의 최후의 명령이요 유언이었다.
나는 대장선 지휘소 바닥에 누워 가쁜 숨을 몰아쉬었다. 아아, 모든 것이 이제 이렇게 끝나는구나! 나는 힘없이 눈을 감았다. 지나온 54년의 일생이, 그 장면 장면들이 쉴 새 없이 뇌리에 스쳐 지나갔다.
― ‘서장 노량대첩’ 중에서


나 이순신은 을사년(인종 1년, 1545년) 3월 초여드레 자시(子時, 밤 11시에서 이튿날 오전 1시 사이)에 서울 건천동에서 덕수 이씨(德水李氏) 정(貞)과 초계 변씨(草溪卞氏) 부인 사이에서 4형제 중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나의 자는 여해(汝諧). 이름자의 신은 항렬이며, 순은 고대 중국의 전설상 인물인 순 임금을 가리키니 곧 ‘순 임금의 신하처럼 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뜻이다. 같은 의미에서 맏형은 희신(羲臣), 둘째 형은 요신(堯臣), 아우의 이름은 우신(禹臣)이니 모두가 중국의 복희씨(伏羲氏)와 요·순·우 등 이른바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나의 자 여해도 『서경』에 나오는 순 임금의 말인 ‘왕재여해(往哉汝諧)’, 곧, ‘네가 가서 화평케 하라’는 구절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내가 태어난 자리에는 현재 보잘것없는 기념석 하나가 세워져 있다. 목멱산 남쪽 기슭 건천동­마르내골 이웃은 묵사동­먹절골이고 그 동네에서는 뒷날 영의정을 지낸, 나보다 세 살 위의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이 살고 있었다.
― ‘제1장 출생과 성장’ 중에서


나는 왜란에 대비하여 거북선 연구에 침식을 잊다시피 했다. 다행히 부하 중에는 조선(造船)에 천부적 재능을 지닌 나대용(羅大用)이란 군관이 있었다. 나대용은 나의 전적인 신임을 받고 오로지 거북선 건조에만 심혈을 기울였다. 거북선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 거의 완공 단계에 있었다. 나는 그 모습과 성능에 대하여 당포해전(唐浦海戰)에서 승리한 뒤 장계를 통해 이렇게 보고했다.
“신은 일찍이 왜적의 침범을 염려하여 별도로 거북선을 건조하였습니다. 앞에는 용두(龍頭)를 만들어 달고, 그 아가리로 대포를 쏘며, 등에는 쇠못을 박았으며, 안에서는 밖을 내다볼 수 있지만 밖에서는 안을 들여다 볼 수 없습니다. 비록 적선 수백 척 속이라도 능히 뚫고 들어가 대포를 쏘게 되어 있습니다.”
거북선이 완공된 것은 왜군이 부산포에 상륙하기 불과 이틀 전이었다. 거북선을 비롯한 전함 건조와 더불어 힘을 기울인 것은 해전에서 사용할 각종 화포와 화약의 제조와 비축이었다. 특히 당시까지는 해전에서 주병기로 사용하지 않던 천·지·현·황 등 각종 포와 거기에 사용할 대장군전·장군전·화전 및 철환 등과 화약 준비에 큰 힘을 기울였다.
― ‘제4장 전라좌수사’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