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공연예술 통제사

한국 공연예술 통제사

문옥배 (지은이)
예솔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공연예술 통제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공연예술 통제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예술 통사/역사 속의 예술
· ISBN : 9788959164769
· 쪽수 : 571쪽
· 출판일 : 2013-05-24

책 소개

음악.연극.영화 등 사회적 소통성이 강한 공연예술을 대상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2000년까지 제도적 통제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으며, 그것이 어떻게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어져 왔는가를 밝히고 있다.

목차

머리글 사회적 생산으로서의 예술 5

근대편

1. 문화예술 검열기구 15
_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 경무국 고등경찰과(1910) 18
_ 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1926) 19

2. 노래 음반의 통제 23
_ 보안법 (1907) 출판법 (1909) 등에 의한 노래 검열 25
_ 축음기레코드취체규칙 (1933)의 제정과 노래 음반의 검열 34
_ 기독교에 대한 지도방침 (1940)에 의한 찬송가의 검열 47

3. 영화의 통제 51
_ 활동사진필름검열규칙 (1926)의 제정과 영화 검열 54
_ 활동사진영화취체규칙 (1934)의 제정과 영화 검열 59
_ 조선영화령 (1940)의 제정과 영화 검열 6
_ 영화 검열과정과 기준 73

4. 공연장 공연예술인의 통제 83
_ 흥행장 및 흥행취체규칙 (1922)의 제정과 공연장의 통제 86
_ 조선흥행등취체규칙 (1944)에 제정과 공연예술인의 통제 93

5. 국민예술운동 109
_ 국민가요운동(1930년대) 111
_ 국민연극운동(1940년대) 120

현대편

6. 미군정청 및 공보처의 검열(50년대) 131
_ 왜색 저속 불온음반의 통제 133
_ 공연 영화의 검열 139

7. 방송윤리위원회의 검열(60~90년대) 155
_ 방송법 (1963)의 제정과 방송윤리위원회(1962)의 창립 157
_ 방송가요 심의기구와 심의과정 160
_ 방송금지의 심의기준 166
_ 방송금지의 사유 173
_ 월간회보 방송윤리(1965)의 발행 221
_ 방송사 자율심의제(2000)로의 전환 224

8.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의 검열(60~70년대) 225
_ 5 16과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1966)의 창립 227
_ 공연법 (1961)의 제정과 무대공연물의 사전심의 236
_ 공연검열의 심의기준 240
_ 음반법 (1967)의 제정과 가요 음반의 사전심의 245
_ 음반검열의 심의기준과 금지사유 247
_ 월북작가작품의 개사와 타인명의로의 발표 270
_ 영화법 (1962)의 제정과 영화의 사전심의 279
_ 영화검열의 심의기준 280
_ 긴급조치9호 (1975)와 공연활동의 정화대책 (1975) 286

9. 공연윤리위원회의 검열(80~90년대) 305
_ 개정 공연법 (1975)과 공연윤리위원회(1976)의 설치 307
_ 음반사전심의제(1976) 실시 316
_ 음반검열의 심의기준과 금지사유 321
_ 월간회보 공연윤리(1976)의 발행 332
_ 영화 및 무대공연물의 사전심의제(1976) 실시 334
_ 영화 및 무대공연물 검열의 심의기준 348

10. 금지곡의 해제와 음반 영화 사전심의제 폐지 359
_ 문화공보부의 공연금지해제조치 (1987) 361
_ 공연윤리위원회의 금지곡 해제조치(1987) 364
_ 방송위원회의 방송금지곡 해제조치(1987) 372
_ 월북작가의 작품해제와 그 과정 399
_ 음반사전심의제의 위헌 결정과 폐지(1996) 413
_ 영화사전심의제의 위헌 결정과 폐지(1996) 421

11. 국민건전가요운동과 국책영화(60~80년대) 429
_ 퇴폐풍조정화운동 431
_ 국민개창운동과 건전가요의 보급 435
_ 제1차 문예중흥 5개년 계획(1974~1978)과 건전가요운동 450
_ 건전가요 음반삽입의무제(1979) 실시 464
_ 영화진흥공사의 설립(1973)과 국책영화 467

12. 사전심의제 위헌 판결 이후의 검열(90년대) 477
_ 한국공연예술진흥협의회(1997)의 검열 479
_ 영상물등급위원회(1999)의 검열 485

참고문헌 490

저자소개

문옥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공주문화재단 대표이사. 국립공주사범대학(음악교육학전공)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음악학전공)를 졸업했다. 호서대학교 겸임교수, 대전문화재단 사무처장, 당진문예의전당 관장, 공주문화재단 대표이사 등을 지냈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심의위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활동증명심의위원, 음악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 공연예술 통제사』(예솔, 2013), 『한국금지곡의 사회사』(예솔, 2004), 『한국 교회음악 수용사』(예솔, 2001), 『한국 찬송가100년사』(예솔, 2002), 『음악사회의 인식과 비평』(예솔, 2007)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예술은 사회적 생산물이다. 때문에 예술은 사회적 현상을 반영하거나, 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술의 사회적 영향력을 인정하는 순간 예술은 그 사회체제의 통제대상이 된다. 사회는 예술의 내용이 그 체제에 위배되거나 가치기준을 깨뜨리는 것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통제의 필요성을 갖게 되고, 그 장치로 검열을 선택하게 된다. 예술통제의 역사를 통하여 표현의 자유와 방임, 자율의 문제, 정치적-사회가치적 맥락 등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