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59331031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07-12-31
책 소개
목차
1부 민족주의, 반공국가주의...서중석
민족의식의 형성과 전개
1. 한국의 민족형성과 민족문화제의 특수성
2. 민족형성의 단게와 전근대의 민족의식
3. 근대적 민족의식의 급속한 형성과 민족주의의 전개
1) 1860~1910년
2) 1910~1945년
4. 분단시기 민족문제의 과제
냉전체제와 한국민족주의의 위상
1. 머리말
2. 김규식과 김구의 남북협상과 두 정부 수립기의 냉전의식
3. 조봉암,진보담의 평화통일운동과 이승만의 냉전의식
4. 4월혁명기의 통일운동과 장면.박정희의 냉전의식
5. 극우 반공체제가 장기간 지속된 이유
국사 교과서 현대사 서술, 문제 많다
1. 머리말
2. 현대사 서술 전반에 걸친 논의 - 분단국가주의의 과잉 노출
1) 정부.관 중심의 서술
2) 서술의 불균형
3) '민족'등의 과다 사용
4) 극우 권위주의정권의 미화와 관련하여
5) 반공.반북이데올로기에 의한 제약
3. 왜곡.부정확한 기술.오류
1) '신탁통치문제' 기술의 문제점
2) 기타 부분
4. 중.고교 한국사 현대부문의 서술 방향
중.고교 국사 교과서와 반공국가주의
1. 머리말
2. 일본 역사 교과서 문제가 시사하는 국사 교과서의 문제점
3. 정부의 무성의
4. 정통론, 반공국가주의와 관련하여
5. 전망
2부 역사교육·국민·여성...정현백
역사교육과 평화교육의 만남 - 서독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문제제기
2. 평화연구, 평화교육 그리고 역사학
3. 역사적 평화교육의 관점
4. 역사적 평화교육의 내용과 방법
1) 역사적 평화교육의 내용
2) 역사적 평화교육의 방법
5. 제언 : 평화를 향한 감수성 회복을 위하여
독일의 역사문화와 역사교육
1. 머리말 : 역사문화와 역사교육의 상보성
2. 독일의 학제와 역사교과의 위치
3. 역사교육의 내용과 교과서
4. 자국사와 세계사의 통합
5. 통일 후 역사교육과 그 통합의 위기
6. 맺음말
일본군 성노예 문제와 기억의 현재화
1. 침묵을 넘어 기억의 장으로
2. 역사화 과정의 쟁점들
3. 과거청산과 국가
1) 한국정부의 태도
2) 한국사 교과서의 일본군위안부 서술
4. 피해국민의 책임 문제
5. 맺음말에 대신하여
여성과 '국민 만들기'
1. 머리말
2. 서구의 '국민 만들기'와 여성
1) 수동적 국민으로서의 여성
2) 여성의 저항
3. 한국에서의 '국민 만들기'와 여성
4. 여성운동,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