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교과교육론/기타 전공
· ISBN : 9788959645442
· 쪽수 : 462쪽
· 출판일 : 2010-01-30
목차
CHAPTER 01 교수-학습의 기초
1. 발달과 학습의 이론적 기초: 1)고전적 이론 / 2)사회문화 이론 / 3)다중지능 이론
2. 목표의 설정: 1)발달과 학습 이론에 따른 목표 영역 / 2)유치원 교육과정의 목표
3. 학습내용의 선정
1)사실 축적 접근방법 / 2)기능 축적 접근방법 / 3)교과목 영역 선정방법 / 4)주제 중심 선정방법 / 5)학문 중심 선정방법 / 6)총체적 접근방법
4. 학습 유형: 1)구상적 학습 유형 / 2)분석적 학습 유형 / 3)상식적 학습 유형 / 4)역동적 학습 유형
CHAPTER 02 교사의 역할과 교수-학습방법
1. 교수-학습원리
1)놀이 중심의 원리 / 2)개별화의 원리 / 3)자율학습의 원리 / 4)생활 중심의 원리 / 5)통합의 원리
2. 교사의 자질과 역할: 1)교사의 자질 / 2)교사의 역할 / 3)학습에 있어서의 교사의 역할
3. 상호작용: 1)유아교육에서의 질문 / 2)질문 사용법 / 3)상호작용의 유형
4. 교수-학습방법 및 접근
1)문제해결 교수-학습 / 2)구성주의 교수-학습 / 3)협동학습 / 4)프로젝트 접근법 / 5)Reggio Emilia 접근법 / 6) Waldorf 접근법
CHAPTER 03 학습환경
1. 유아교육기관의 환경: 1)학습환경의 의의 / 2)물리적 학습환경의 중요성 / 3)유아교육기관 환경의 종류
2. 유아교육기관의 환경구성
1)환경구성의 원리 / 2)유아교육 프로그램 접근방법과 활동실의 공간 배치 / 3)유아교육기관 환경의 평가 / 4)유아교육기관 환경의 안전
3. 유아교육기관의 실내환경 구성
1)실내환경 구성 및 관리의 원리 / 2)활동(학습) 영역별 환경 구성 / 3)기본 환경구성 / 4)전시
4. 유아교육기관의 실외환경 구성
1)실외환경 구성의 원리 / 2)실외공간의 특성 / 3)실외공간의 구성 / 4)실외놀이 시설과 설비
CHAPTER 04 학습활동의 계획과 운영
1. 교육과정의 계획과 조직 : 1)교육과정 계획 / 2)교육과정 조직
2. 통합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 1)통합교육을 위한 교수원리 / 2)주제선정 / 3)주제통합 계획
3. 학습활동의 계획
1)연(월)간 계획안 / 2)주제 계획안 / 3)주간 교육계획안 / 4)일일 교육계획안
4. 학습활동의 운영: 1)일과 계획 / 2)일과 운영
5. 학습활동의 평가: 1)일과 계획 및 운영의 평가
CHAPTER 05 교수-학습활동
1. 건강과 안전생활 교육
1)건강과 안전생활 교육의 중요성 / 2)건강과 안전생활 교육의 목적 / 3)건강과 안전생활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 4)건강과 안전생활 교육활동의 예
2. 언어생활 교육
1)언어생활 교육의 중요성 / 2)언어생활 교육의 방향 / 3)언어생활 교육의 목적 / 4)언어생활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 5)언어생활 교육 활동의 예
3. 사회생활 교육
1)사회생활 교육의 중요성 / 2)사회생활 교육의 목적 / 3)사회생활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 4)사회생활 교육 활동의 예
4. 탐구생활 교육(Ⅰ)-수학교육
1)수학교육의 필요성 / 2)수학교육의 목적 / 3)교수-학습의 기본 방향 / 4)수학교육의 내용 / 5)수학교육 활동의 예
5. 탐구생활 교육(Ⅱ)-과학교육
1)과학교육의 필요성 / 2)과학교육의 기본 방향 / 3)과학교육의 내용 / 4)과학교육 활동의 예
6. 표현생활 교육
1)표현생활 교육영역 / 2)표현생활 영역의 학습내용 / 3)표현생활 교육 활동의 예
7. 컴퓨터 교육
1)컴퓨터 교육의 필요성 / 2)컴퓨터 교육의 기본 방향 / 3)컴퓨터 교육의 효과 / 4)컴퓨터 교육 활동의 예
CHAPTER 06 평가
1. 평가의 정의
2. 평가의 목적과 역할
3. 평가의 방법: 1)평가 유형의 역사적 조망 / 2)참 평가 / 3)표준화검사
4. 평가의 영역: 1)유아평가 / 2)프로그램 평가
5. 평가결과의 활용: 1)기록방법 / 2)기록의 활용 / 3)보고
부 록
1. 유아의 발달 상황 보고
2. 교육실습지침
3. 유아 교육환경 평가척도
4. 영유아 교육환경 평가척도
5. 실외환경 평가척도
6. 실외환경 시설 보수·유지 체크리스트
7. 유치원 교육환경 평가척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