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59923359
· 쪽수 : 234쪽
· 출판일 : 2010-12-28
목차
요약
Abstract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방법 및 핵심소재 선정 근거
(1) 연구 범위 및 방법
(2) 핵심소재 선정 근거
(3) 범용소재와 핵심소재의 차이점
3. 소재산업 관련 이론적 논의
(1) 개요
(2) 고지마의 공업화 패턴론
(3)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
(4) 산업연관분석론
4. 분석체계 및 방법
제2장 주요 핵심소재별 현황 및 전망
1. 소재산업 구조분석
(1) 분석 개요
(2) 소재산업의 구조 및 일반현황
(3) 시사점
2. 3대 핵심소재 현황 및 전망
(1) 2차전지용 음극재
(2) 탄소섬유
(3) 멤브레인
제3장 주요 핵심소재의 경쟁우위 조건 평가
1. 수요조건
2. 관련 및 지원산업
3. 요소조건
4. 기업의 전략, 구조 및 경쟁강도
5. 정부요인
6.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주요 핵심소재 기업 및 정책사례 분석과 시사점
1. 국내외 주요 핵심소재 기업사례
(1) 음극재
(2) 탄소섬유
(3) 멤브레인
(4) 시사점
2. 한ㆍ일 핵심소재 관련 정책사례
(1) 한국
(2) 일본
(3) 시사점
제5장 주요 핵심소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1. 내수기반 확보를 통한 안정적 성장 발판 마련
2. 제조장비산업의 동반 육성
3. 발전단계별, 용도별로 차별화된 기술개발 지원
4. 고급 전문인력 양성 등 산업인프라 확충
5. 소재-수요기업 간 실질적인 성과공유제 확대
6. 대형화를 통한 선도기업 육성
7. '부품소재특별법'의 시효 연장
8. 핵심소재 정책기능 강화
9. 기타 인프라 구축 확대
참고문헌
부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