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59923472
· 쪽수 : 305쪽
· 출판일 : 2010-12-30
목차
요 약
Abstract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 목적과 연구 내용
3.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제2장 중앙아시아의 산업구조와 정책
1. 농업 및 광업 중심의 산업구조
(1) 산업별 생산 및 고용구조
(2) 공업부문 업종별 생산구조
(3) 주요 업종별 생산 및 발전 잠재력
(4) 산업별 투자구조
(5) 중앙아시아 산업구조의 특징
2. 자원기반산업화 정책
(1)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한 에너지 자원 개발 :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2) 인력수출과 원조에 의존하는 빈곤 감축 :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3) 농업 및 제조업 육성 : 우즈베키스탄
3. 국가별 주요 산업의 특징과 발전 전망
(1) 카자흐스탄
(2) 키르기스스탄
(3) 타지키스탄
(4) 투르크메니스탄
(5) 우즈베키스탄
제3장 중앙아시아의 무역과 투자의 한계
1. 자원수출에 의존하는 무역
(1) 수출입 규모의 급증
(2) 특정 산업에 국한된 교역상품 구조
(3) 주변국과의 교역 집중
(4) 제조업 분야 수출 산업의 경쟁력 후퇴
2. 자원분야에 집중된 외국인 투자
(1) 외국인 투자 유입액 지속적 증가
(2) 제조업에 미친 영향은 미미
제4장 위협받는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산업협력
1. 중·일 대비 한국의 산업별 수출입
(1) 중국 수출입의 폭증
(2) 자동차와 기계에 집중된 수출상품 구조
(3) 수출은 우즈베키스탄에, 수입은 카자흐스탄에 편중
(4) 중국 대비 수출경쟁력 약화
2. 한국의 투자와 중·일 동향
(1) 한국의 제조업 투자 기반 구축
(2) 중국의 대규모 자원분야 투자
(3) 새롭게 관심 가지는 일본
3. 열악한 중앙아시아의 산업협력 환경
제5장 대중앙아시아 산업협력 추진 전략
1. 분야별 산업협력과 유망분야
(1) 자원기반 산업화와 산업협력
(2) 자원개발 연계형 산업협력
(3) 민간투자형 산업협력
(4) 수출 확대형 투자 협력
2. 산업협력 추진 방향
(1) 산업협력 추진 기본 조건
(2) 정부 주도의 전략적 접근
(3) 유연한 정책 대응
(4) 중앙아시아를 넘어서는 시장 확대 전략
참고문헌
보 론
1. 유라시아 경제공동체(EurAsEC)와 3국 관세동맹
2. 한·중·일의 중앙아시아 주요국에 대한 수출입
(1) 카자흐스탄
(2) 우즈베키스탄
3.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국별 투자동향과 전망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