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59960170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06-05-23
목차
제1장 Chomsky(1992)의 A Minimalist Program for Linguistic Theory
1.1. Some General Considerations 1
1.2. 문법체계의 최소화 8
1.3. 문법원리의 최소화 9
1.4. 접합점이란 무엇인가? 10
1.5. 경제성 원리 11
1.6. Fundamental Relations: X-bar Theory 12
1.7. 기저구조의 생성 13
1.8. Move-α와 GT 17
1.9. Chomsky(1992)에서 영어의 기본 구조와 격점검 21
1.10. 최소이론에서의 조동사 구조 25
1.11. Economy Theory 33
1.12.1. Principle of Shortest Chain:
Elimination of Superiority and Wh-Island Condition 36
1.12.2. Principle of Shortest Link:
Elimination of Relativised Minimality 38
1.12.3. Principle of Fewest Steps 42
1.12.4. Principle of Procrastinate:
Explanation of Word Order Variations 46
1.12.5. Principle of Greed 47
1.12.6. Delete-α and Insert-α as Last Resort Conditions 49
1.13. LF에서 형태론적 자질점검 53
1.14. 음운화(SPELL-OUT) 56
1.15. Parameters for Morphological Features
[+strong] vs [-strong] 60
1.16. 기능범주의 흔적과 HMC 63
1.17. 자질점검 과정 64
1.18. 확대조건(Extension condition) 72
1.19. AGRsP의 주어와 TP의 주어 74
1.20. LF에서 목적어의 비-가시적 이동 76
1.21. Copy Theory of Movement 78
1.22. 왜 동사구를 2층으로 설정하는가? 79
1.23. 동사유형의 성격 85
1.24. VP-Internal Subject Hypothesis 95
1.25. 의미역 이론(Theta Theory):
논항은 오직 하나의 의미역만 받는 것일까? 97
1.26. 요약 100
제2장 Chomsky (1994)의 Bare Phrase Structure
2.1. Overview 106
2.2. 최초어휘 선택과 회수표시 (Initial Numeration) 106
2.3. Bare Phrase Structure in a Minimalist Framework 109
2.4. 비-대칭병합(Asymmetrical Merge) 111
2.5. 타동사 구조에서 부사의 기본위치 117
2.6. Icelandic의 TEC(transitive expletive constructions) 120
2.7. 영어의 TEC 125
2.8. 언어는 완벽하다 (language is perfect) 129
2.9. 요약 132
제3장 Chomsky (1995)의 The Minimalist Program
3.1. Chomsky(1995)의 일반적인 가정 135
3.2. The Cognitive System of Language Faculty:
Computational Concept 138
3.3. 음운화 (SPELL-OUT) 142
3.4. 무엇이 이동을 유발시키는가? Last Resort:
Some Problems 142
3.5. Move-F 145
3.6. Move-F as a Sublabel 150
3.7. Interpretability of Features.점검이론의 문제점 152
3.8. Closeness(근접성)의 개념과 주어/목적어의 점검 157
3.9. Attract-F from Move-F
(Equidistance의 개념과 Closeness의 개념) 161
3.10. 일반 허사-there 구조에서 허사-there와 제휴어의 점검 163
3.11. TEC에서 허사-there의 자질점검 169
3.12. ECM 구조에 나타난 허사-there 173
3.13. Vb의 V-Raising과 수동문 구조, 인상동사 구조
및 비-대격동사 구조 175
3.14. 요약 178
제4장 Chomsky (1998)의 Minimalist Inquiries: The Framework
4.1. Background and Summary of Chapter 4 180
4.2. Architecture 186
4.3. 문장의 기본구조 188
4.4 Phase란 무엇인가? 190
4.5. Phase Impenetrability Condition
and Peripheral Feature 194
4.6. The Strong Thesis의 관점에서 본 비-해석자질 198
4.7. 탐색자(Probe)의 영역과 목표요소(Goal) 204
4.8. 왜 자질유인을 포기하는가? 205
4.9. 비-해석자질의 삭제가 이동을 유발시킨다 207
4.10. 허사-there의 분석 212
4.11. Outer Specs와 Inner Specs 215
4.12. 새로운 연쇄(Chain)의 정의: 내포성 조건과 연쇄 218
4.13. 음운화(SPELL-OUT) 222
제5장 Chomsky (1999)의 Derivation by Phase
5.1. Generation Assumptions 227
5.2. Summary of Chapter 5 229
5.3. 비-해석자질의 삭제와 이동 232
5.4. Defective and Non-Defective Clauses 237
5.5. 동사유형의 성격(강-명제구와 약-명제구의 구별) 246
5.6. Derivation by Phase 253
5.7. Thematization and Extraction 258
5.8. Chain and Passive 261
제6장 Chomsky (2001)의 Beyond Explanatory Adequacy
6.1. Chomsky's New Assumptions on Language Acquisition 268
6.2. Summary of Chapter 6 269
6.3. Nature is Perfect and So is Language 270
6.4. Disaggregation of "So(LAD)"
into Principled Explanations 272
6.5. Derivation of Narrow Syntax 278
6.6. Operation of TRANSFER 280
6.7. Elimination of Spec-Head Relation and
Introduction of OCC 282
6.8. A New Definition for Overt and Covert Movement,
and Multiplicity (Duality) of Semantic Properties
in Derivation 291
6.9. 부사의 위치와 부가구조 301
6.10. Fox and Nissenbaum's(1999) QR and Late merge 304
6.11. Counter-Cyclicity should be Evaluated
at the Highest Strong Phase 309
6.12. 최소이론의 변천을 통해본 최소주의 문법론의 전망 314
제7장 Chomsky (2005)의 On Phases
7.1. Overview 317
7.2. 언어철학의 변천 318
7.3. SMT와 EST/Y 모형의 점검 322
7.4. External Merge와 Internal Merge 324
7.5. C-Command가 적용되지 않은 결속조건 325
7.6. What의 Spec-C 내적병합과 What의 C 투사 327
7.7. Huang의 CED 328
7.8. CED를 위반해도 정문으로 인정되는 이론제시 331
7.9. EPP와 IM의 신비스러운 조건 349
7.10. 요약 355
제8장 Chomsky (1998, 1999, 2001, 2005)에 의한 언어자료 분석
8.1. Overview 358
8.2. 비-해석자질이란 무엇인가? 359
8.3. 주어명사와 목적어명사의 자질점검 362
8.4. 강-명제구(strong phase)의 자질점검 368
8.5. 약-명제구의 구조 380
8.5.1. Passive Predicates의 자질점검 385
8.5.2. Unaccusative Predicates의 자질점검 390
8.5.3 Raising Structures의 자질점검 394
8.6. EPP와 Control Infinitives 및 다른 Defective Clauses 397
8.7. Yes/No Question과 Wh-Question의 자질점검 405
8.8. Chomsky(2005)의 새로운 이론 419
8.9. Split Projection of CP 424
8.10. Chomsky (2005)의 EF-자질과 Split-CP 429
8.11. Split-CP: Finiteness Projection 439
8.12. WH-의문문의 분석문제 442
8.13. Chomsky (2005)에 의한 주어/목적어 자질점검 446
제9장 부록: X-Bar Theory
9.1. 전 언어 유형적, 범주적 일반화.............................................452
9.2. X-Bar 존재의 증거...............................................................454
9.3. X-Bar 이론에 의한 범주 분석...............................................455
9.3.1. 명사구...................................................................................455
9.3.2. 보어와 부가어......................................................................456
9.3.3. 명사 전 수식어....................................................................459
9.3.4. 형용사의 명사 전 수식어....................................................461
9.3.5. 동사구...................................................................................463
9.3.6. 형용사구...............................................................................468
9.3.7. 전치사구...............................................................................470
9.3.8. 부사구...................................................................................471
9.4. X-Bar 이론에서의 조동사 구조.............................................472
9.5. Fukui(1986)와 Abney(1987)의 DP(NP) 분석.........................472
9.6. X-Bar 이론에서의 문장 분석.................................................481
참고문헌 490
중요용어 영한번역 대조표 496
찾아보기 (국문) 503
찾아보기 (영문) 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