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사/방언론
· ISBN : 9788959968398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21-12-15
책 소개
목차
머릿글
제1장 제주 방언의 선어말어미와 종결어미 체계
1. 들머리
2. 선어말어미의 하위범주 및 그 짜임
3. 종결어미의 하위범주 및 그 짜임
4. 마무리
제2장 제주 방언의 인용 구문과 매개인자
1. 들머리
2. 인용 구문에 대한 기술과 해석
3. 유사 인용 구문의 다양한 실현 모습
4. 마무리, 그리고 남은 문제
제3장 ‘-고’ 어미를 지닌 제주 방언의 내포 구문
1. 들머리
2. 발화 인용과 무관한 사례들에서의 ‘-고’ 어미
3. 융합된 내포어미 ‘-곤’과 접속어미 ‘-곡’의 재구성 가능성
4. 마무리
제4장 Non-canonical Ending Systems in Jeju Korean
1. Introduction
2. Addressee Honorific Markers
3. Canonical Sentential Endings of Plain Register
4. Two Kinds of Non-canonical Sentential Endings
5. Extended Modality as an Explanation of Non-canonical Endings
6. Closing Remarks
제5장 {-겠-}에 대응하는 {-으크-}에 대하여: 특히 분석 오류의 시정 및 분포 확립을 중심으로 하여
1. 서론
2. 형태소 분석과 변이형태 지정에서의 문제점
3. 분포의 확립 및 분석 오류의 시정
4. 마무리
【 삼십 년 뒤에 새로 덧붙임 】
제6장 제주 방언 대우법 연구의 몇 가지 문제
1. 들머리
2. 대우법 연구에서의 모순과 극복 방법
3. 이 방언의 대우 연구들에서 찾아지는 오류
4. ‘-수-, -으우-’: ‘-소, -으오’와 ‘-ᅌᅵ-’로의 재분석 가능성
5. ‘-읍네-, -읍데-’와 ‘-수-, -으우-’의 분포에 대한 해석
6. 이 방언의 연구에서 직관 및 사실 사이 간격
제7장 몇 가지 단어 형성 접미사에 대하여: 특히 ‘-이다, -대다, -거리다, -하다, ø’의 관련을 중심으로
1. 들머리
2. 접미사의 의미자질을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
3. 일련의 접미사 분포를 고려한 의미자질의 수립
4. 접미사들의 결합 모습을 근거로 한 하위 분류
5. 제안된 의미자질들에 대한 검사와 입증
【 뒤에 새로 덧붙임 】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 김지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