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59969999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2-06-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호러영화 속의 아파트 역사
그 무서운 데를 왜 가느냐: 호러영화 속에 그려진 아파트를 찾아서__(손종업)
1. 호러 서사와 호러 여행자들
2. 아파트에 관한 ‘진심, 소오름’의 역사들
3. 호러는 어떻게 아파트의 빈틈으로 스미는가
4. 삶의 환유: 너희가 아파트에 사느냐
5. 결론을 대신하여: 지금, 우리 아파트는
아파트가 등장하는 공포영화 목록
제2부 아파트를 배경으로 한 영화 분석
시민을 고려하지 않는 시민아파트의 공포: <소름>과 금화시민아파트__(엄학준)
1. 시민아파트의 탄생과 몰락
2. 하층민의 열악함을 상징하는 금화시민아파트
3. 하층민을 끌어당기는 통발, 아파트
4. 금화시민아파트가 남긴 것
영화 <아파트>에 나타나는 공포의 구조__(모희준)
1. 덕후, 아파트를 만나다
2. 영화 <아파트>와 공포의 구조
3. 우리는 <아파트>를 나갈 수 있을까
연쇄살인범과 함께 살아가기: <이웃사람>과 만덕주공아파트__(김민수)
1. 들어가며: 아파트라는 이름의 나라
2. 영화 속 아파트 공간과 실제
3. 계단 아래 숨겨진 살인의 집
4. 아파트 공간의 두 얼굴
5. 나오며
아파트, 침입과 불안의 공간: <숨바꼭질>과 동대문아파트__(심우일)
1. 도시화의 공포
2. 1960년대 연예인 아파트
3. 중정 구조의 활용
4. 두 아파트 공간의 대비
5. 아파트라는 현대인의 공포
1인 가구 여성의 불안한 밀실: <도어락>과 대선월드피아__(임영봉)
1. 거주를 위한 ‘집’과 ‘문’
2. 오피스텔, 불안한 꿈을 꾸는 개인의 밀실
3. 도시, 보이지 않는 또 하나의 거대한 집
4. 장소로부터 해방된 삶과 거주의 미래
아파트 공간의 익명성과 윤리의 문제: <목격자>와 파주휴먼시아__(이주성)
1. 아파트 공간에 투영된 익명성
2. 익명성으로는 보호받을 수 없는 개인의 생존
3. 본연의 가치를 상실한 아파트와 거주민의 욕망
좀비 서사와 아파트: 영화 <#살아있다>를 보고__(이정용)
1. 들어가며
2. 생존의 공간: 아파트란 이름의 성
3. 아파트 공간의 의미: 공포의 전염과 안전에 대한 불신
4. 마치며
제3부 호러영화 속에 나타난 아파트 답사
창신동과 동대문아파트__(심우일)
청운동의 변천과 청운시민아파트__(엄학준)
제4부 호러영화에 등장하는 아파트 지도
호러영화 속 전국 아파트 지도
호러영화 속 서울 아파트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