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88960069398
· 쪽수 : 632쪽
· 출판일 : 2023-12-01
책 소개
목차
발간사 5
권두언 12
제1부 백석총회 전사
제1장 백석총회 설립 45주년 기념 「한국교회사」 24
개혁주의생명신학사관으로 조명한 ‘한국교회사’ 33
종교개혁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해야 할 ‘한국교회사’ 40
‘복음의 확장’과 ‘교회의 설립’ 관점에서 서술해야 할 ‘한국교회사’ 51
제2장 한국선교의 선구자들 57
중국을 통한 한국선교 시도 58
선교 이전의 성경 번역과 복음전파 67
제3장 조선에 세워진 하나의 장로교회 77
선교사들의 입국 78
초기 선교사들의 활동과 연합운동 83
평양장로회신학교 설립 94
1907년 조선예수교장로회 독노회 조직 99
조선예수교장로회의 「12신조」 채택 102
제4장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 123
원산부흥운동 128
평양대부흥운동 130
부흥운동의 확산 133
부흥운동의 결과 135
제5장 장로교 총회 설립과 평양신학교의 발전 140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설립 147
평양장로회신학교의 발전 151
제6장 3·1운동과 교회의 수난 161
3·1운동의 발단과 전개 164
3·1운동과 교회의 수난 174
3·1운동 이후의 변화 181
제7장 한국장로교회 신학의 성장과 대립 192
선교사들의 신학 194
1930년대 한국장로교회 신학의 성장과 변화 199
제8장 신사참배와 한국교회의 굴절 209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 214
신사참배 거부운동 220
한국교회의 굴절 222
제9장 교회 재건과 한국장로교회의 분열 230
북한지역의 교회 재건 234
남한지역의 교회 재건 240
교회분열과 신학교들 244
제10장 교회 연합과 자립, 복음화운동과 교회 성장 262
1960년대 한국장로교회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채택 264
교회연합을 위한 노력들 277
민족복음화운동과 연합운동 287
교회성장의 요인 290
제2부 백석총회 45년사
제1장 대한복음신학교와 대한예수교장로회 복음총회 설립 300
“무릎 꿇고 받은 사명” 302
대한복음신학교 설립 305
대한복음선교회 설립 311
대한예수교장로회 복음총회 설립 313
제2장 합동 비주류와 연합, 그리고 복귀 328
합동 비주류와 연합 329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진리총회 335
제3장 초기 교회연합운동 353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진리연합총회 354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진리·연합) 합동 총회 선언문」 360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정통총회 369
제4장 「기독교연합신문」 창간 380
제5장 신학교 총회 헌납과 반려 395
제6장 천안 캠퍼스 시대 개막 406
제7장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정립 426
제8장 대한예수교장로회 백석총회 464
대한예수교장로회 백석총회 465
총회 회기 변경 475
제9장 개혁주의생명신학 정립과 확산 482
개혁주의생명신학: 백석총회의 신학 484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 491
제10장 여성목사 안수 시행 514
제11장 백석총회와 대신총회 통합 531
제12장 총회관 건립 556
제13장 “개혁주의생명신학으로 민족과 세계를 살리다” 569
제14장 오직 하나님께 영광 580
부록 603
역대 총회임원 604
교단통합 증경총회장 607
명예총회장 607
노회 설립일 607
회기별 교회수 변동 613
참고문헌 615
책속에서
이렇게 말씀을 듣고 기도하는 가운데 성령의 임재하심으로 죄를 회개하고 회심하는 일이 한두 사람의 체험으로 끝나지 않고 함께 모여 기도하는 회중들 속에서 끊이지 않고 이어졌다. 15일 화요일 저녁 집회를 마지막으로 겨울 사경회는 끝이 났다. 그러나 성령의 역사를 경험한 이들의 변화는 한 번의 체험으로 끝나지 않고 일상 속의 삶의 변화로 지속되었다. 사경회 후에도 서로의 죄를 고백하는 모습들이 목격되고 도둑질한 물건들을 돌려주고, 밀린 빚을 갚는 등 해결되지 않던 부도덕한 모습들이 청산되었다. 또한 선교사들과 한국인 교회지도자들, 성도들 사이의 응어리진 갈등과 오해들이 해소되고 서로 화해하게 되자 함께 연합하여 교회와 복음을 위해 헌신하고 교회가 믿음으로 세워지는 일로 이어졌다. - 「1부 제4장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중에서
‘흰 돌’이라는 의미를 가진 ‘백석’(白石)은 요한계시록 2장 17절 말씀대로 믿음으로 승리한 사람에게 주시는 상으로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다. 그렇다면 ‘백석’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하니, 기독교대학의 명칭으로는 물론이고 총회명칭으로도 참 적절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총회명칭에 대한 의식이 바뀐 데다 ‘백석’이라는 이름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의미한다는 걸 분명히 알고 나니, ‘우리 총회’의 고유한 명칭이 바로 ‘백석’이라는 결론을 얻게 된 것이다. - 「제2부 제8장 대한예수교장로회 백석총회」중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개혁주의신학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신 영적 생명력을 회복시키기를 도모하는 신앙운동인 것이다. 장종현 목사는 개혁주의신학은 요한 칼빈을 비롯한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의 가르침에 뿌리를 둔 신학으로, 우리가 계승하고 발전시킬 매우 좋은 신학이라고 믿는다. 그런데 개혁주의신학이 아무리 좋은 신학이라 해도 그것이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이 빠진 학문적 노력에 불과하다면 사람을 살리는 신학이 되지 못한다고 말한다. 오늘날 많은 교회와 신학교가 개혁주의신학을 표방하고 있지만 개혁주의신학을 바로 알고 실천하지 못함으로 인해 교회와 신학교가 점점 영적 생명력을 잃어가고 있다. 그러므로 개혁주의신학이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력을 회복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실천운동이 바로 개혁주의생명신학이라는 말이다. - 「제2부 제9장 개혁주의생명신학 정립과 확산」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