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60069428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4-09-29
책 소개
목차
추천사 5
들어가며 8
1장 기독교의 세계적인 지형 변화와 한반도 기독교의 역사적 흐름 17
세계 기독교의 중심이 서구권에서 비서구권으로 이동 18
세계 미선교 지역에 대한 고찰 20
한반도 기독교의 역사적 흐름 23
한반도 기독교의 흥망과 부침 25
2장 해방 이전 북한 기독교 29
성경의 전래와 복음의 씨앗 30
기독교의 성장과 네비우스 선교 정책 37
중국이나 일본보다 번성할 수 있었던 배경 51
‘조선의 예루살렘’ 평양 55
일제강점기 기독교는 결국 파국을 맞아 62
3장 해방에서 한국전쟁까지 북한 기독교와 북한 정권의 갈등 73
북한 기독교의 재건 74
북한 기독교 정당의 정치세력화 실패 77
김일성 정권의 기독교 경제적 기반 소멸 82
북한 기독교와 김일성 정권의 대표적 충돌 사례 88
김일성 정권의 기독교 장악 94
4장 한국전쟁 이후 북한 기독교 101
시대 구분에 대한 고민 102
한국전쟁 이후 ~ 1970년대 초: 기독교의 동면기 104
1970년대 초 ~ 1980년대: 기독교의 소생기 113
1990년대 ~ 현재: 기독교의 요동기 125
5장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의 기독교관 137
북한 지도 이념의 변화와 기독교의 상관관계 138
김일성의 기독교관 148
김정일의 기독교관 167
김정은의 기독교관 174
6장 북한 정권의 탄압에도 살아남은 그루터기와 지하교회 183
그루터기와 지하교회에 대한 논란 184
지하교회의 형성: 한국전쟁 이후 ~ 1970년대 초 191
지하교회의 발전: 1970년대 초 ~ 1980년대 197
지하교회의 확장: 1990년대 ~ 현재 203
필자의 북한 가정예배처소 방문기 207
7장 북한 기독교의 이모저모 211
김일성 가계의 기독교적 배경과 주변의 기독교인들 212
북한교회의 예배 225
탈북민들을 통해 본 북한 기독교 229
8장 북한선교의 이해와 선교 전략 231
성경적 선교 232
전통적 선교와 통전적 선교 239
북한 기독교의 특수성 242
북한선교에 대한 이해 249
미래 북한선교 전략 257
9장 북한 기독교의 미래 283
북한 기독교 흐름에 대한 모델 논쟁 284
남북 관계 개선의 성경적 해법 291
남북 관계 변화 시나리오와 북한 기독교의 미래 295
북한의 개혁 개방 시나리오와 북한 기독교의 미래 300
북한의 탈사회주의 시나리오와 북한 기독교의 미래 310
나가며 314
참고문헌 318
표 색인 326
그림 색인 328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동안 북한에서도 마찬가지로 권력자가 종교를 좌지우지하여 왔다. 유물론적 사고방식의 사회주의 체제를 줄곧 고수하고 있는 북한은 종교에 대해 배타적인 원칙을 고수하여 왔던 것이다. 종교 자유라고 대외적으로 표방하고는 있지만 국제 정세의 변화에 따라 종교에 대해 고삐를 조였다 풀었다 하면서 체제 안정에 종교를 이용해 왔을 뿐이다. 이는 한국전쟁 이후 북한의 종교정책이 큰 틀에서 변화가 없었고 다만 국제 종교기구와의 교류와 기독교인들 간의 교류가 활성기와 휴면기를 반복한 데서 잘 나타난다. - 「제4장 한국전쟁 이후 북한 기독교」중에서
‘하나님의 선교’ 차원에서 보면 북한선교는 북한 주민들에게 구원의 메시지를 전하여 구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북한 주민들이 기아와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구원의 손길을 주는 것도 시급한 당면한 과제이다. 북한이 식량난을 겪었을 때 우리 남한 기독교인들은 북한 동포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비록 현재 남북 관계의 악화로 직접적인 사역이나 지원은 할 수 없지만 우리는 어떻게든 북한선교의 출구를 찾아야 한다. 럭비공처럼 어디로 튕길지 모르는 도무지 예측불허한 한반도 상황에 대비해 우리 기독교인들은 정치인들만 쳐다보지 말고 스스로 북한선교의 맞춤형 시나리오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 「제8장 북한선교의 이해와 선교 전략」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