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한 기독교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북한 기독교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양병희 (지은이)
기독교연합신문사출판국(UCN)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8,1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한 기독교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한 기독교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60069428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4-09-29

책 소개

한반도에 복음의 씨앗이 뿌려진 최초 과정부터 시작하여 네비우스의 선교 정책이 어떻게 한반도 기독교의 번성을 이끌어 냈는지, 그리고 그동안 북한 정권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와 기독교인들의 역할에서 북한 기독교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바라보았다.

목차

추천사 5
들어가며 8

1장 기독교의 세계적인 지형 변화와 한반도 기독교의 역사적 흐름 17
세계 기독교의 중심이 서구권에서 비서구권으로 이동 18
세계 미선교 지역에 대한 고찰 20
한반도 기독교의 역사적 흐름 23
한반도 기독교의 흥망과 부침 25

2장 해방 이전 북한 기독교 29
성경의 전래와 복음의 씨앗 30
기독교의 성장과 네비우스 선교 정책 37
중국이나 일본보다 번성할 수 있었던 배경 51
‘조선의 예루살렘’ 평양 55
일제강점기 기독교는 결국 파국을 맞아 62

3장 해방에서 한국전쟁까지 북한 기독교와 북한 정권의 갈등 73
북한 기독교의 재건 74
북한 기독교 정당의 정치세력화 실패 77
김일성 정권의 기독교 경제적 기반 소멸 82
북한 기독교와 김일성 정권의 대표적 충돌 사례 88
김일성 정권의 기독교 장악 94

4장 한국전쟁 이후 북한 기독교 101
시대 구분에 대한 고민 102
한국전쟁 이후 ~ 1970년대 초: 기독교의 동면기 104
1970년대 초 ~ 1980년대: 기독교의 소생기 113
1990년대 ~ 현재: 기독교의 요동기 125

5장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의 기독교관 137
북한 지도 이념의 변화와 기독교의 상관관계 138
김일성의 기독교관 148
김정일의 기독교관 167
김정은의 기독교관 174

6장 북한 정권의 탄압에도 살아남은 그루터기와 지하교회 183
그루터기와 지하교회에 대한 논란 184
지하교회의 형성: 한국전쟁 이후 ~ 1970년대 초 191
지하교회의 발전: 1970년대 초 ~ 1980년대 197
지하교회의 확장: 1990년대 ~ 현재 203
필자의 북한 가정예배처소 방문기 207

7장 북한 기독교의 이모저모 211
김일성 가계의 기독교적 배경과 주변의 기독교인들 212
북한교회의 예배 225
탈북민들을 통해 본 북한 기독교 229

8장 북한선교의 이해와 선교 전략 231
성경적 선교 232
전통적 선교와 통전적 선교 239
북한 기독교의 특수성 242
북한선교에 대한 이해 249
미래 북한선교 전략 257

9장 북한 기독교의 미래 283
북한 기독교 흐름에 대한 모델 논쟁 284
남북 관계 개선의 성경적 해법 291
남북 관계 변화 시나리오와 북한 기독교의 미래 295
북한의 개혁 개방 시나리오와 북한 기독교의 미래 300
북한의 탈사회주의 시나리오와 북한 기독교의 미래 310

나가며 314
참고문헌 318
표 색인 326
그림 색인 328

저자소개

양병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문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학석사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감신대학교 선교대학원 ·美 캘리포니아신학대학원 목회학박사 ·백석대학교 행정학박사 ·백석대학교 명예신학박사 ·美 고든콘웰 신학대학원 명예철학박사 경력 ·한국교회연합 4대 대표회장 ·한국장로교 총연합회 28대 대표회장 ·서울교시협의회 19대 회장 ·경찰청 교경중앙협의회 40대 대표회장 ·대한예수교 장로회(백석) 증경총회장 ·서울지방경찰청 경목회 44대 회장 ·(사)동북아한민족협의회 대표회장 ·영안복지재단 이사장 ·대한성서공회 이사장 ·백석예술대학교 이사장 ·기독교연합신문사 대표이사 ·백석대학교 실천신학대학원장 ·영안장로교회 당회장 저서 「공공조직의 갈등 진단과 처방」 「평신도 교육의 이론과 실제」 「꿈이 있는 백성은 흥한다」 「내일을 위한 오늘의 준비」 「북한교회 어제와 오늘」 「중국 인권과 종교 어제와 오늘」 「다음세대의 비전을 보라」 「천국 노마드의 삶」 「칼을 도로 칼집에 꽂으라」 「하프타임」 「비상하는 민족 남은 과제」 「시대를 직시하는 눈」
펼치기

책속에서

그동안 북한에서도 마찬가지로 권력자가 종교를 좌지우지하여 왔다. 유물론적 사고방식의 사회주의 체제를 줄곧 고수하고 있는 북한은 종교에 대해 배타적인 원칙을 고수하여 왔던 것이다. 종교 자유라고 대외적으로 표방하고는 있지만 국제 정세의 변화에 따라 종교에 대해 고삐를 조였다 풀었다 하면서 체제 안정에 종교를 이용해 왔을 뿐이다. 이는 한국전쟁 이후 북한의 종교정책이 큰 틀에서 변화가 없었고 다만 국제 종교기구와의 교류와 기독교인들 간의 교류가 활성기와 휴면기를 반복한 데서 잘 나타난다. - 「제4장 한국전쟁 이후 북한 기독교」중에서


‘하나님의 선교’ 차원에서 보면 북한선교는 북한 주민들에게 구원의 메시지를 전하여 구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북한 주민들이 기아와 빈곤에서 벗어나도록 구원의 손길을 주는 것도 시급한 당면한 과제이다. 북한이 식량난을 겪었을 때 우리 남한 기독교인들은 북한 동포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비록 현재 남북 관계의 악화로 직접적인 사역이나 지원은 할 수 없지만 우리는 어떻게든 북한선교의 출구를 찾아야 한다. 럭비공처럼 어디로 튕길지 모르는 도무지 예측불허한 한반도 상황에 대비해 우리 기독교인들은 정치인들만 쳐다보지 말고 스스로 북한선교의 맞춤형 시나리오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 「제8장 북한선교의 이해와 선교 전략」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