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88960353633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12-09-0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기대효과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 범위
3. 연구 방법
제2장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와 의미
제1절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의미와 기대효과
1. 국가 브랜드 고취를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2. 올림픽 개최를 통한 경제적 파급 효과
3. 지역 활성화를 통한 국가 균형 발전
제2절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현황
1. 추진 계획 및 내용
2. 2018 평창동계올림픽 준비 현황
3. 2018년까지 개최예정 국내외 메가 스포츠ㆍ문화 행사
제3장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 여건분석
제1절 강원도 일반 환경
1. 지리적 특성
2. 산업ㆍ경제 구조
3. 인구현황
제2절 강원도 문화ㆍ관광환경
1. 강원도 문화예술 환경
2. 강원도 관광산업 현황
제4장 역대 동계올림픽 및 메가 문화 이벤트 사례 분석
제1절 역대 올림픽 사례 분석
1.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
2. 1994년 노르웨이 릴레이함메르 동계올림픽
3. 1998년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
4. 2010년 캐나다 벤쿠버 동계 올림픽
5.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제2절 국내 개최 메가 스포츠 이벤트 사례 분석 및 시사점
1. 1988년 서울올림픽 대회
2. 2002년 한ㆍ일 월드커 대회
3. 2011년 대구 세계 육사성수권 대회
제3절 메가 문화이벤트 사례 분석 및 시사점
1. 1998년 리스본 세계엑스포: "도시 발전"
2. 2005년 아이치 세계엑스포: "결제 활성화"
3. 2010년 중국 상하이 엑스포: "브랜드 가치"
4. 2012년 여수 세계 엑스포: "해양자원"
제5장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계기 문화관광 기본구성
제1절 2018 평창동계올림픽 문화관광 기본구성의 기본방향
1. 2018 평창동계올림픽 문화관광 기본구성의 비전
2. 문화관광 올림픽 기본구상의 컨셉
3. 2018 평창동계올림픽 문화관광 기본구성의 추진방향
제2절 세부 추진 전략
1. 문화관광올림픽을 위한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
2. 문화관광 연계 올림픽 인프라 조성과 활용
3. 문화관광 올림픽 효과 극대화 시스템 구축
제6장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계기 문화관광 분야 사업 추진계획
제1절 단계별 추진 계획
1. 시기별 추진 게획
2. 주요 에시사업별 추진 시기 구분
3. 추진체계
4. 단계별 홍보ㆍ마케팅 계획
제2절 재원조달계획
1. 사업별 필요예산 산정 방향 및 기준
2. 재원 조달 방식
제3절 법ㆍ제도적 발전 전략
1. 특구 지정 발전 전략
2. 동계올림픽 대비 강원도 문화관광 및 체육 발전 법적 근거
3. 지원체계 정비를 위한 관련 법ㆍ제도 개선 방안
제7장 올림픽 시설의 사후활용방안 수립
제1절 기본 방향 및 전략
1. 사후 활용 방안의 기본 방향
2. 사후 활용 방안 전략
제2절 올림픽 시설 사후 활용 방안
1. 올림픽 경기장 시설의 다목적 활용 방안
2. 올림픽 부대시설의 상시적인 활용
3. 올림픽대회 여건 조성시설의 관리 및 활용
제8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