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60354173
· 쪽수 : 155쪽
· 출판일 : 2013-08-0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3절 용어의 정의
1. 도로의 정의와 분류
2. 도로직선화의 정의와 분류
제2장 도로 직선화 현황 및 여건분석
제1절 관련 정책 및 제도
1. 도로 정책 현황
2. 도로 사업 현황
3. 도로관계령법(현황 및 체계)
4. 추진조직
5. 시사점
제2절 도로 직선화(개통)와 지역발전
1. 선행연구
2. 도로 직선화(개통)의 효과
제3장 국내외 사례 및 수요분석
제1절 사례분석 기준
1. 국내 사례
제2절 설문 조사 및 인터뷰 조사
1. 설문 조사
2. 면담조사
제3절 종합 및 시사점
1. 설문조사 결과종합
2. 면담조사 결과종합
3. 시사점
제4절 국외 사례
1. 일본 사례: 토카이호쿠리쿠 자동차도로(東海北陸自動車道)
2. 영국 사례: 스톤헨지와 A303도로 확장 계획
3. 독일 사례
4. 시사점
제4장 도로 직선화에 따른 지역문화관광 진흥방안
제1절 문화, 관광을 통한 지역발전 동향
1. 지역발전의 패러다임 변화
2. 문화, 관광을 통한 지역발전 동향
제2절 도로직선화에 대응한 지역문화관광진흥 기본방향
1. 기본전제
2. 정책목표 및 개발방향 설정
제3절 문화/관광을 활용한 지역대응방안
1. 기본방향
2. 세부실천방안
3. 단계별 지역단위의 창조적 문화경제 창출방안
4. 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전문가 심층면담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