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기타
· ISBN : 9788960400450
· 쪽수 : 269쪽
· 출판일 : 2010-09-20
책 소개
목차
제 1장 수상 건강 진단의 이론적 근거
손바닥 무늬에서 숨어있는 병을 알 수 있다
수상에서 스스로 건강을 진단하는 기초 지식
1. 수상의 3대 기본선
2. 손바닥의 각구에 나타나는 건강상태
3. 손가락에 나타나는 건강상태와 성격
4. 건강과 질병은 건강선에서 찾을 수 있다
5. 수상에 연관되는 유년법과 질병
6. 생명선이 질병과 장수에 미치는 영향
7. 생명선의 장애 요소
제 2장 수상에 나타나는 질병
1. 수상을 보면 병의 징조를 알 수 있다
2. 순환기 계통의 질병
3. 비뇨기 계통이 질병
4. 소화기 계통의 질병
5. 대사기능 장애의 질병
6. 호흡기관의 질병
7. 신경 계통의 질병
8. 부인과 질병
9. 전염병
제 3장 질병과 그림으로 보는 100가지 수상
순환기 계통의 질병
1. 뇌혈전
2. 심근경색
3. 고혈압(경증)
4. 정맥류
5. 뇌출혈(치료 가능한 중풍)
6. 뇌출혈(일반적인 중풍)
7. 심장병(수술 후의 회복)
8. 만성심장병(체력회복)
9. 저혈압
10. 만성빈혈
11. 위하수
12. 위궤양(일반성)
13. 위궤양(2차 수술)
14. 음주과도의 간염
15. 만성 간염
16. 간장 질환
17. 소아 간염
18. 간경화증
19. 폐병이나 간질환으로 죽는 경우
20. 담석증·십이지장 질병
21. 췌장염
22. 장폐색
23. 식중독(어린이의 이질과 구토)
24. 식중독(물고기 중독)
25. 십이지장 궤양
호흡기 계통의 질병
26. 기관지염(소아의 호흡기 쇠약증)
27. 호흡기관 장애
28. 선천성 천식
29. 후천성 천식
30. 폐렴
31. 폐결핵
신경 계통의 질병
32. 월경불순으로 인한 신경쇠약증
33. 사춘기의 허약증
34. 사춘기의 반항
35. 이상 분만아(난산 후유증)
36. 우둔한 두뇌
37. 출산 후유증
38. 신경쇠약증(육아로 인한 경우)
39. 히스테리증
40. 정신 충격증
41. 교통사고와 신경쇠약증
42. 충치치료 후의 신경장애
43. 급박한 충격
44. 우울증
45. 조울증
46. 자살 미수
47. 소아 거식증
48. 간질
대사기관의 질병
49. 소아 비만증
50. 뇌하수체 호르몬의 실조증
51. 갑상선 기능 항진증
52. 당뇨증(경증)
53. 당뇨병(치료후의 정력증진)
54. 당뇨병(10년의 치료기간)
55. 당뇨병(20년의 치료기간)
56. 당뇨병(중증)
57. 산후 관절염
비뇨기 게통의 질병
58. 신장병(임산부)
59. 만성신염(고혈압과 신장병의 합병증)
60. 신장병(일반성)
산부인과 질병
61. 불감증·신경쇠약·신장쇠약
62. 임신
63. 절박유산(유산 전조증)
64. 난소종양
65. 갱년기 장애(일반성)
66. 갱년기 장애(빈혈상태)
67. 불임증(직업성)
68. 불임증(임신능력의 쇠약)
69. 자궁근종
성관계 질병
70. 양위
71. 고집스러운 성격
72. 복상사
73. 마약복용 후 성욕항진증
74. 방광염
암 계통의 질병
75. 유방암(노년기의 많은 수술)
76. 유방암(호흡기계병과 합병)
77. 유방암의 초기
78. 유방암(사망한 경우)
79. 자궁암의 조기발견
80. 자궁암(만성자궁암)
81. 자궁암(완치된 부인)
82. 위암(말기증)
83. 위암(완치 후의 중년부인)
84. 식도암
85. 장암
86. 폐암(수술한 노부인)
87. 간암
외상성 질환
88. 외상성 백내장
89. 독사교상
90. 골절·타박상
91. 외상
92. 교통사고
93. 골프로 인한 어깨손상
94. 요통
기타 질병
95. 척추 분리증
96. 염색체 이상
97. 약물복용의 부작용
98. 중이염
99. 장티푸스의 후유증
100. 신경증
저자소개
책속에서
손바닥 무늬에서 숨어 있는 병을 알 수 있다.
건강이란 어떤 상태를 말하는 것인가? 그리고 질병이라는 것은 어떤 상황을 일컫는 말인가?
소위 질병이라는 것은 곧 ‘건강하지 않은 상태’를 알려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건강한 상태란 어떤 것인가?
이것은 곧 ‘질병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질병의 상태와 병이 발생하지 않은 것에 대한 하나의 정의를 찾는다면 그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말하는 건강이란 아래와 같다.
“건강이란 것은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하게 살아가는 경우를 말한다. 아울러 어떠한 것으로부터 상처를 입지 않거나 질병이 일어나지 않은 소극적인 상태를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건강과 질병에 대해 서로의 관계를 말하기 어렵다. 어떠한 사람의 몸과 마음이 정말로 건강할 때는 그 사람의 피부·모발·손톱·손바닥 등의 색깔과 광택은 모두 건강한 상태를 나타내면서, 또한 수상도 건강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밖에도 시각·청각·미각·후각·촉각 등의 다섯 가지 감각은 항상 조화를 이루어서 충분한 민감도와 의식상태·잠재의식을 보존하여 모두 힘 있고 활발한 현상을 나타낼 수 있고 사지도 완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외에 날씨의 정도에 따라서 역시 인체에 일어나는 어떤 상태를 느낄 수 있다. 식물에 대해서도 맛이 있는 것과 없는 것과의 차이를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사람은 일단 병에 걸리면 병리현상 외에 나타나는 병의 상태는 신경을 거쳐 대뇌와 척수신경을 통해서 손바닥에 반영된다.
이런 까닭으로 평상시에 손바닥의 무늬를 잘 관찰하는 사람은 깜짝 놀랄 만큼 장문(掌紋, 손금)의 새로운 상태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런 새로운 상태를 통해서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사람은 빨리 치료하기 때문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