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청소년/사춘기/성교육
· ISBN : 9788960603134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3-12-11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_ 성이라는 존재의 아름다움을 위해
들어가며 _ 긍정적이면서도 실용적인 방식으로 성을 가르치자
1장 아이들의 성과 관련해 부모들이 처한 현실
성을 위험한 것으로만 몰아가는 부모의 태도
진정한 해결책은 부모가 갖고 있다
아이들에게 건전한 성에 대해 가르치자
나이와 주제에 따른 5단계의 책 구성
부모들이 가장 흔히 물어보는 질문과 대답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해야 하는가?
부모를 위한 핵심적인 조언과 원칙들
2장 3~8살 아이와 나누는 기초적인 대화
아이의 수준에 맞게 이야기해주기
자기 몸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기
자연의 신비로움에 대한 감탄과 경외심 갖기
가족의 헌신과 사랑에 대해 가르치기
옷차림을 단정히 하고 몸을 소중히 지키기
자신의 몸을 존중하고 보호하기
5살 이상의 아이들에게 읽어줄 수 있는 그림책
3장 8살이 된 아이를 위한 '중요한 대화'
흥미와 긍정적인 기대감 갖게 하기
성관계는 특별하고 소중하다는 것을 알려주자
8살 아이에게 읽어줄 만한 성에 관한 그림책
‘중요한 대화’에 따르는 후속 토론
성관계를 가족과 연결해서 설명하자
9남매와 나눈 ‘중요한 대화’
4장 ‘중요한 대화’ 후에 이어지는 8~13살 아이와의 대화
8~13살이라는 중간 시기는 매우 중요하다
대중매체를 토론의 주제로 이끌어내기
또래 집단을 토론의 주제로 이끌어내기
성에 관해서 미리 결단하게 하자
9~12살을 위한 ‘사춘기에 관한 토론’
피임.성폭력.자위 등 어려운 주제도 이야기하자
성폭력에 대해 좀더 깊이 있게 다루기
특별히 남자아이와 나누어야 할 이야기
특별히 여자아이와 나누어야 할 이야기
부모가 자신의 경험에 대해 먼저 이야기하기
이성 친구와 성이 다른 친구의 차이를 알려주자
12세 이상의 아이를 위한 대화와 토론
5장 11~16살 아이와 나누는 성적 행동에 대한 토론
성에 대한 지식에서 행동으로의 전환
성에 대해 들려줄 때 아주 유용한 비유들
음란물과 대중매체에서의 성적인 이미지들
아이가 성적인 생각을 긍정적으로 다루는 방법
데이트 시기를 늦추게 하는 방법
토론을 통해 아이의 사전결정을 강화하자
만족 지연의 원칙을 성관계에도 적용하게 하자
성관계의 유혹이 얼마나 위험한지 알게 하자
아이의 과거 행동에 너무 연연하지 말자
혼외 성관계와 혼전 성관계에 대한 이야기
6장 15~19살 아이와 나누는 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
부모는 아이에게 상담자가 되어주어야 한다
읽을거리 1 억압에서 무분별함으로
읽을거리 2 기능?만족?자유로움에서의 성
읽을거리 3 성관계는 기분 전환용 오락인가?
읽을거리 4 성폭력의 희생자
읽을거리 5 대중매체가 보내는 메시지
읽을거리 6 성문제를 부추기는 5가지 요인
읽을거리 7 안전한 성관계란 무엇인가?
읽을거리 8 언제까지 절제해야 하는가?
읽을거리 9 무책임한 성관계의 결과
읽을거리 10 성에 대한 한 편의 시
어떤 이유에서든 아이를 포기하면 안 된다
나오며 _ 부모와 가족들이 해결책이 되어야 하는 이유
부록 1 _ 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은 어디인가?
부록 2 _ 성폭력 때문에 힘들다면 어떻게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우리 아이 성교육에 대해 꼭 알아야 할 50가지』 역자와의 인터뷰
리뷰
책속에서
성에 대해 아예 이야기를 꺼내지 못하거나 성을 위험한 것으로만 몰아가는 부모의 태도는 성과 관련된 문제를 심각한 상태로 이끌 수 있다. 무분별한 성관계로 인한 사회적 손실은 계산하기도 어려울 정도다. 10대 임신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 이와 관련된 법률?복지 비용과 더불어 정서적인 타격까지 생각하면 정말 충격을 금할 수 없다. 게다가 무분별하고 난잡한 성관계와 부정적인 성적 태도로 인해 당사자와 가족들이 감당해야 할 감정적인 고통과 실질적인 불이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현실을 인지하고 있는 부모일지라도 아이들에게 성에 대해 알려주는 것을 어려워한다. 게다가 “요즘 애들은 다 그래요.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라는 식의 대중매체나 또래 집단의 메시지에 할 말을 잃기도 한다. 하지만 이 사실을 명심하자. 진심 어린 노력하는 부모는 아이에게 그 누구보다 더 큰 영향력을 끼칠 수 있다.
성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는 시점을 잘 맞추어야 한다. 관심이 없거나 이해할 준비가 안 된 아이에게는 너무 많은 이야기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아이들이 부정적이고 불완전하고 잘못된 정보를 너무 많이 받아들이기 전에 시작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아이가 의사소통도 가능하고, 성에 대한 개념도 어느 정도 이해하며, 책임감을 부여하거나 ‘어른’ 대접을 해주면 우쭐해하는 8살 정도가 성에 대한 중요한 대화를 하기 좋은 나이라고 생각한다. 이 나이는 충분히 이해는 하지만 냉소적이지는 않은 아주 적절한 시기다. 8살 정도의 아이들은 부모와 나누는 성 이야기에 진지하게 관심을 갖고 매력을 느낀다. 그뿐만 아니라 성적인 내용 때문에 당황해하고 마음을 닫아버리거나 선입견을 갖지도 않는다. 하지만 성에 대한 중요한 대화를 하기 전에 아이가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미리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그리고 성에 대해 중요한 대화를 한 후에 좀더 깊게 나누어야 할 주제도 있다.
당신이 아이에게 성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과 가족의 헌신이나 사랑에 이야기하는 것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그 2가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 헌신적이고 가정에 충실한 사랑하는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고 운 좋게도 행복한 가정에서 자랐건, 아니면 당신에게 가족 간의 사랑이나 헌신을 보여줄 수 없는 편부모 밑에서 자랐건 간에 당신은 아이에게 가족 간의 사랑과 헌신에 대해 이야기해줄 수 있다. 당신이 직접 경험했든 아니면 단지 원하는 것이든 당신은 아이에게 이러한 가치에 대해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다. 당신이 사랑과 헌신이 넘치는 가정에서 자랐다면, 아이에게 그것에 대해 나누어주면 된다. 어릴 때 기억을 되살려 당신의 부모님이 서로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이야기해주고, 현재 당신이 지금 느끼고 있는 배우자에 대한 사랑을 표현해주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