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의 격려

시의 격려

(나를 고요케 하는 중국 최고 명시 읽기)

모리펑 (지은이), 오수현 (옮긴이)
위즈덤하우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시의 격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의 격려 (나를 고요케 하는 중국 최고 명시 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6086904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6-02-29

책 소개

난징 대학교 모리펑 교수는 유구한 중국 역사에서 삶에 일깨움을 주는 명시와 탁월한 시인들을 선별해내는 방대한 작업을 수행해왔다. ‘삶을 대하는 태도’와 ‘작품 자체의 가치’를 기준으로 엄선한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이다.

목차

프롤로그_ 시를 읽는다는 것, 나를 지켜낸다는 것

1 호탕한 기백으로 삶을 위로하다_ 이백
:: 낙심을 뒤집으면 ‘없던 일’이 된다
:: 삶을 전진케 하는 ‘영원한 격려시’
:: 소인배가 되지 않으려면 자존감부터 길러라
:: 음주시(飮酒詩), 자유로움을 위한 찬가

2 단순하고 소박하게 인생을 누리다_ 도연명
:: 닭 한 마리, 술 한 말로 욕심 없이 사는 법
:: 도덕 상실의 시대, ‘평범함’이 덕이다
:: 어려울수록 단단해지는 ‘시적인 인생’
:: 누구나 마음속에 무릉도원이 숨겨져 있다

3 현실을 직시하며 사람의 길을 묻다_ 두보
:: 무릇 시인이란, 함께 견디기 위해 존재하는 것
::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 천하를 품다
:: 성실하고도 진지한 감성의 깊이
:: 시, 인생의 교과서가 되다

4 혼탁한 세상에서도 삶을 고요케 하다_ 굴원
:: 전 생애를 녹여 만들어낸 불멸의 작품
:: 붓끝에서 사람 냄새가 나는 이유
:: 평탄하지 않아도 고결할 수 있다
:: 삶은 끝나도 시는 남아 있다

5 언제나 조화 속에서 방법을 찾다_ 신기질
:: 현실 너머가 보이면 두려움이 사라진다
:: 역사를 꿰뚫어 본 시인의 지략
:: 쓸모 있는 시, 고독을 용기로 바꾸다
:: 인생의 귀착점은 다름 아닌 대자연

6 대범하고 품위 있게 고난을 뛰어넘다_ 소식
:: “평생 이룬 업적을 묻는다면 귀양살이뿐일세”
:: 아는 것을 말하는 것이 호연지기다
:: 현실에 충실할수록 삶은 존엄해진다
:: 낙관적 천재가 고난에 대처하는 자세

에필로그_ 시와 함께한 최고의 인생수업

저자소개

모리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장쑤성 우시시에서 태어났다. 안후히 대학교 외국어학과를 졸업했고, 난징 대학교 중문학 대학원에 입학하여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난징 대학교 중문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지은 책으로는 《강서시파연구》, 《시의 세계를 탐구하다》가 있다. 중국 CCTV의 인기 인문학 프로그램 '백가강단'에도 출연한 바 있다. 《시의 격려》에서는 중국을 빛낸 여섯 명의 시인들인 ‘이백, 도연명, 두보, 굴원, 신기질, 소식’의 뜨거운 생애와 수천 년이 지나도 감동을 주는 불멸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중국 최고 명시를 통해 현대인들이 흔들리는 마음을 다잡고, 자신에게 귀 기울이는 방법을 알려준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삶이 힘겨울수록 내면이 더 단단해지는 ‘시적인 인생’을 독자들에게 선사한다.
펼치기
오수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대 중어중문과를 졸업하고, 중국 산동과기 직업전문대학 한국어과 교사, (주)효성, Kelley Associates를 거쳐 현재는 바른번역 소속 출판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나의 최소주의 생활』 『나는 왜 작은 일에도 상처받을까』 『시의 격려』 『황제내경, 인간의 몸을 읽다』 『세포가 팽팽해지면 병은 저절로 낫습니다』 『오늘, 뺄셈』 『중국은 무엇으로 세계를 움직이는가』 『비즈니스 삼국지』 『똑똑한 리더의 공자 지혜』 외에도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백의 인생길은 순풍에 돛 단 배처럼 순조롭지만은 않았고, 오히려 불우와 좌절이 끝까지 그를 따라다녔다. 하지만 그는 낙심하지 않았고 자책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장진주將進酒》라는 시에서 “하늘이 준 재능 언젠가 쓰일 날 있으리니”라고 소망하며 견고한 신념을 품고 당차게 앞으로 걸어갔다. 인생을 살면서 좌절과 불행을 만나지 않을 수는 없는데, 뜻이 견고하지 않은 사람은 한번 걸려 넘어지면 신념을 쉽게 잃어버리기도 한다. 그러나 이백은 그렇지 않았다. 그는 《행로난行路難》에서 “큰 길이 하늘처럼 트였건만 나만 유독 못 나서네”라고 비탄에 찬 어조로 외치면서 삶의 역경이 얼마나 심했는지를 드러냈다. 《행로난》의 첫 번째 시를 보면 그가 품었던 진짜 생각이 무엇인지 온전히 엿볼 수 있다.

금 항아리 맑은 술 한 말 가득하고 金樽淸酒斗十千
옥 소반 진수성찬 값지기도 하건마는, 玉盤珍羞直萬錢
잔과 젓가락 내려놓은 채 먹지를 못하고 停杯投筯不能食
칼 빼 들고 사방 둘러보니 망연키만 하구나. 拔劍四顧心茫然
황하를 건너려 하나 얼음이 앞길 막고 欲渡黃河冰塞川
태항산에 오르려니 온 산엔 눈만 가득, 하늘은 어둡네. 將登太行雪暗天
한가하게 푸른 물에 낚시 드리우고 閒來垂釣碧溪上
홀연히 다시 배에 올라 해 뜨는 곳, 장안 가는 꿈 꾸네. 忽復乘舟夢日邊
가는 길 어렵구나. 行路難
가는 길 어렵구나. 行路難
갈림길도 많거니와 多岐路
지금 어드메인가. 今安在
긴 바람에 파도 일면 長風破浪會有時
즉시 돛 올려 푸른 바다 건너가리. 直挂雲帆濟滄海

이 글에 표현된 것처럼 맛 좋은 술과 진수성찬 앞에서도 그가 도무지 맛을 보지 못하는 것은 인생의 갈림길이 많지만 하나같이 평탄하지 않은 까닭이다. 황하는 얼음이 얼었고 태항산도 눈에 덮여 뱃길과 육지의 길이 모두 막혔으니 시인은 “가는 길 어렵구나!”라고 소리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그는 홀연 생각을 바꾼다. 그 옛날 여망과 이윤 또한 때를 못 만나 오랜 세월 기다려야 했지만, 일단 기회가 닿자 여상은 아흔에 주 문왕을 만났고 이윤 역시 은 탕왕을 만나지 않았던가? 또한 이백은 남조의 종각宗愨이 “큰바람 타고 만 리 물결 헤쳐나가고 싶다”라고 한 말을 떠올려 위안 삼으며 자신의 인생에도 반드시 바람 타고 물결을 깨트릴 만한 결전의 하루가 분명 있으리라고 생각했다!
여기서 이백의 시는 사람들로 하여금, 분발하여 공을 세우고 무언가를 이루는 것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며 그것보다 더 중요한 사실이 있음을 깨닫게 한다. 수많은 역경이 걸림돌처럼 우리를 넘어뜨려도 반드시 신념은 지켜내야 한다는 사실을 말이다. 다시 말해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도 뜻과 희망을 잃어서는 안 되며 앞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백의 시는 우리를 전진하게 하는 영원한 격려시인 셈이다.


이 시는 소박하고 평범하기 이를 데 없는 시골의 사물과 풍경으로 이루어져 무척 간단하지만, 그 안에 담긴 뜻과 풍미가 깊고 끝이 없어 여러 번 읽어도 지겹지 않고 오묘하기조차 하다. 이를 통해 도연명이 평범한 일상에 얼마나 깊고 충만한 정을 가지고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도연명에게는 조용하고 고르게 내리는 비바람, 무성하게 자란 초목, 나무 위의 새 울음소리, 뜰 안의 채소, 가득히 따라진 한 잔 술, 서안 위의 책들, 이 모든 것이 기쁨을 불러일으키는 일상의 요소들이었던 셈이다.
그는 지극히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자유자재하면서 평화롭고 만족스러워하며 살았다. 조촐하고 궁벽한 삶이었지만 그 덕에 세상의 번다함과 시끄러움으로부터 벗어나 명리와 권력 쟁탈의 욕심을 버리고 소박하고 순결한 본래 삶을 회복할 수 있었고, 이로써 시적인 감수성으로 충만해질 수 있었다. 도연명은 그의 소박한 삶 자체가 이미 초월의 경지에 이르렀으며, 실천적 삶을 통해 인류의 삶이 오염되기 이전의 순박한 상태를 회복했다. 한마디로 도연명의 삶 전체가 ‘시적인 인생’이라고 볼 수 있다.


먹을 것이 없어 낙원을 찾고 無食問樂土
입을 옷이 없어 남쪽 고을을 생각했다. 無衣思南州
- 《발진주》

단지 남은 인생 배불리 먹고 但使殘年飽吃飯
다만 바라는 것은 서로 무사히 오래 만나기를. 只願無事常相見
- 《병후과왕의음증가》

이 두 시에서는 두보가 막막한 현실 때문에 다소 낙심하여 뜻을 잃은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뜻을 잠시 보류한 것뿐이지 영원히 포기한 것은 결코 아니다. 이상을 향한 염원은 여전히 전과 다름없이 마음속에서 불타고 있어서 기회를 만나면 언제든지 빛을 발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래서 두보는 세상을 떠나기 한 해 전 《모추왕배도주수례솔이견흥기체근정소환시어暮秋枉裴道州手禮率爾遣興寄遞近呈蘇渙侍禦》에다 친구에게 다음과 같은 당부의 말을 남기기도 했다.

군주를 섬김에 요순의 순박함을 회복하게 도우며 致君堯舜付公等
나라 위해 한 몸 바칠 길 준비해놓겠네. 早據要路思捐軀

이제 곧 인생의 종착점에 도달할 사람이 ‘요순의 순박함을 회복하게끔 군주를 도우라’는 정치 이상을 친구에게 당부할 정도면 이 사람이 마음에 품은 이상이 얼마나 진중하며 견고했는지 짐작할 만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0869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