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성인 간호학
· ISBN : 9788961307987
· 쪽수 : 948쪽
· 출판일 : 2015-03-02
목차
운동 및 조정 1
신경계 건강문제와 간호 3
1.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5
1) 신경조직의 세포 구성과 기능 _5
2) 중추신경계 _11
3) 말초신경계 _27
2. 신경계 사정 38
1) 주관적 사정 _38
2) 객관적 사정 _38
3. 신경학적 기능장애 환자의 간호 51
1) 두개내압 상승 환자의 간호 _51
2) 무의식 환자의 간호 _60
3) 두통 _67
4. 뇌혈관성 질환과 간호 75
1) 뇌졸중 _75
5. 감염성 질환과 간호 88
1) 세균성 수막염 _89
2) 바이러스성 수막염 _91
3) 뇌염 _92
4) 뇌농양 _93
6. 퇴행성 및 자가면역 질환과 간호 94
1) 파킨슨병 _94
2)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_103
3) 다발성 경화증 _107
4) 중증 근무력증 _112
5) 헌팅톤병 _117
6) 치매와 알츠하이머병 _119
7. 경련성 질환과 간호 132
1) 원인 _132
2) 발작의 분류 _133
3) 진단 검사 _136
4) 의학적 관리 _137
5) 간호 관리 _138
8. 말초신경 질환 간호 140
1) 뇌신경 장애 _140
2) 길랑-바레 증후군 _144
3) 말초 신경병 _146
9. 신경계 외상과 간호 147
1) 두부 외상 _147
2) 척수 손상 _155
3) 추간판 탈출증 _169
4) 말초 신경의 손상 _175
10. 신경계 종양과 간호 178
1) 뇌종양 _178
2) 척수 종양 _184
근골격계 건강문제와 간호 187
1.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189
1) 뼈의 구조와 기능 _189
2) 관절의 구조와 기능 _195
3) 근육의 구조와 기능 _197
2. 근골격계 사정 201
1) 주관적 사정 _201
2) 객관적 사정 _204
3) 진단 검사 _207
3. 근골격계 외상과 간호 212
1) 일반적 외상 _213
2) 골절 _217
3) 절단 _247
4. 염증성 장애와 간호 253
1) 골수염 _253
2) 골결핵 _257
5. 대사성 장애와 간호 258
1) 골다공증 _258
2) 구루병 및 골연화증 _268
3) 파제트병 _270
6. 골종양과 간호 272
1) 양성 골종양 _273
2) 악성 골종양 _274
3) 골종양의 진단 검사 _276
4) 악성 골종양의 진행 단계 _277
5) 골종양의 의학적 관리와 간호 관리 _278
7. 관절 장애와 간호 280
1) 골관절염 _280
2) 류마티스 관절염 _286
3) 통풍 _297
4) 인공관절 치환술 _302
8. 척추 장애와 간호 308
1) 요통 _308
2) 척추 측만증 _315
3) 척추 후만증 _318
4) 척추관 협착증 _319
5) 강직척추염 _320
9. 손발의 장애와 간호 322
1) 수근관 증후군 _322
2) 손의 구축 _324
3) 손의 감염 및 종양 _325
4) 전족부 질환 _325
10. 결체 조직 장애와 간호 327
1) 전신성 홍반성 낭창 _327
2) 전신 피부경화증 _332
3) 쇼그렌 증후군 _334
재활 간호 337
1. 재활에 대한 이해 339
1) 재활의 정의와 목표 _339
2) 재활의 철학적 배경 _340
3) 재활 기관 및 재활팀 _341
2. 재활 과정 342
1) 평가 단계 _342
2) 동기 조성 단계 _343
3) 재활 중재 단계 _344
4) 퇴원 계획 단계 _344
5) 추후 관리 단계 _344
3. 재활 간호 중재 344
1) 일상생활 활동 훈련 _344
2) 운동장애 간호 _347
3) 피부 통합성 손상 환자 간호 _353
4) 배뇨 간호 _354
5) 배변 간호 _355
6) 성 재활 간호 _356
7) 물리치료 _356
4. 가정과 지역사회 재활 간호 358
1) 가정 간호 _358
2) 자가 간호 교육 _358
배설 |359
비뇨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361
1. 구조와 기능 363
1) 신장 _363
2) 요관 _372
3) 방광 _372
4) 요도 _373
2. 건강 사정 375
1) 건강력 _375
2) 신체 검진 _379
3) 진단적 검사 _382
3. 배뇨 기능 장애 391
1) 요정체 _391
2) 요실금 _393
3) 신경인성 방광 _398
4. 염증성 질환과 간호 401
1) 요로감염 _401
2) 신농양 _405
3) 신장 결핵 _406
5. 사구체 질환과 간호 406
1) 사구체신염 _407
2) 신증후군 _410
3) 무증상 소변 이상 _413
6. 폐쇄성 장애 414
1) 요로 결석 _415
2) 협착 _420
3) 수신증 _421
7. 외상성 장애 423
1) 신장 손상 _423
2) 방광 손상 _424
8. 신생물과 간호 424
1) 신장암 _424
2) 방광암 _427
9. 신부전 433
1) 급성 신부전 _433
2) 만성 신부전 _444
조절과 대사 |453
내분비계 건강문제와 간호 455
1.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457
1) 호르몬의 특성 _460
2. 뇌하수체 질환과 간호 462
1)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구조와 기능 _462
2) 뇌하수체 호르몬 _465
3) 뇌하수체 전엽의 장애 _467
4) 뇌하수체 후엽의 장애 _474
3. 갑상선 질환과 간호 477
1) 갑상선의 구조와 기능 _477
2) 진단 검사 _481
3) 갑상선 기능저하증 _484
4) 갑상선 기능항진증 _492
5) 갑상선염 _502
6) 갑상선종과 결절성 갑상선 질환 _505
7) 갑상선암 _506
4. 부갑상선질환과 간호 511
1) 부갑상선의 구조와 기능 _511
2) 진단 검사 _513
3)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_514
4) 거짓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_517
5)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_518
5. 부신 질환과 간호 521
1) 부신의 구조와 기능 _521
2) 진단 검사 _525
3) 부신피질 기능항진증 _528
4)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_534
5) 부신수질기능 항진 : 갈색세포종 _540
6. 췌장질환과 간호 542
1) 췌장의 구조와 기능 _542
2) 당뇨병 _548
면역 |609
면역 반응장애와 간호 611
1. 면역 반응 613
1) 면역 반응의 특징 _613
2) 항원과 항체 _613
3)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_613
4) 면역 반응 _615
5) 면역의 종류 _616
2. 면역 반응장애 617
1) 과민 반응 _618
2) 자가면역 질환 _623
3) 면역결핍 질환 _625
이식환자의 간호 639
1) 조직 적합성 _642
2) 이식 거부반응 _643
3) 이식편 대 숙주 질환 _644
4) 면역 억제제 _645
암관리 |647
종양 간호 649
1. 역학 651
2. 암의 특징 653
1) 양성 종양세포 _653
2) 악성 종양세포 _654
3) 암의 발생 _655
3. 암의 분류 658
4. 임상 증상 660
1) 국소 증상 _660
2) 전신 증상 _660
5. 진단 검사 661
1) 조직 검사 _662
2) 종양표지 인자 _663
3) 영상 진단 검사 _663
4) 핵의학 검사 _664
6. 의학적 관리 664
1) 수술 요법 _664
2) 방사선 요법 _665
3) 항암화학요법 _667
4) 생물학적 요법 _671
5) 유전자 치료 _673
6) 조혈모세포 이식 _673
7. 간호 관리 673
1) 방사선 요법 간호 관리 _673
2) 항암화학요법제의 관리 _674
3) 항암화학요법제의 투여 방법 _674
8. 조기 발견 및 예방 679
1) 일차 예방 _680
2) 이차 예방 _680
통증 : 제5의 활력 징후 683
1. 통증에 대한 이해 685
1) 통증의 정의 _685
2) 통증 이론 _686
3) 통증 기전 _688
4) 통증의 종류 _690
5) 통증반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_691
2. 통증의 사정 692
1) 통증의 특징 _692
2) 통증의 평가 _693
3) 신체 사정 _696
3. 통증 관리 696
1) 약물 요법 _697
2) 비약물 요법 _702
3) 통증의 침습적 관리 _704
임종 간호 707
1. 죽음에 대한 이해 709
1) 죽음의 의미 _709
2) 죽음에 대한 태도와 반응 _710
3) 죽음에 대한 단계 이론 _711
4) 임종 간호에서의 윤리적 문제 _712
2. 호스피스와 완화 의료 713
1) 호스피스와 완화 의료의 의미 _713
2) 임종 환자의 간호 _715
3) 사별 간호 _720
생식기능 |723
남성생식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725
1. 구조와 기능 727
1) 외부 생식기 _727
2) 내부 생식기 _728
2. 건강 사정 732
1) 건강력 _732
2) 신체 검진 _733
3) 진단적 검사 _734
3. 전립선 장애 736
1) 전립선염 _736
2) 양성 전립선 비대증 _739
3) 전립선암 _748
4. 음경 질환과 간호 755
1) 선천성 장애 _755
2) 음경암 _755
5. 음낭 및 고환의 질환과 간호 757
1) 음낭수종 _757
2) 부고환염 _758
3) 고환염 _759
4) 고환암 _759
6. 성기능 관련 장애 761
1) 지속발기증 _761
2) 발기부전 _761
3) 불임 _763
유방 건강문제와 간호 765
1. 유방의 구조와 기능 767
1) 외부 구조 _767
2) 내부 구조 _768
3) 기능 _768
4) 유선 _768
2. 건강 사정 768
1) 건강력 _768
2) 신체 검진 _768
3) 진단적 검사 _769
3. 유방의 양성질환과 간호 773
1) 섬유낭포성 질환 _773
2) 섬유선종 _773
3) 유두종 _773
4) 유방염 _774
5) 여성형 유방 _775
4. 유방의 악성 종양과 간호 776
1) 원인 및 병태 생리 _776
2) 임상 증상 _777
3) 진단 검사 _778
4) 유방암의 병기 _780
5) 유방암의 예후 _781
6) 의학적 관리 _782
7) 유방암 수술과 관련된 간호 관리 _786
8) 방사선 치료와 관련된 간호 관리 _791
9)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간호 관리 _791
10) 호르몬 요법과 관련된 간호 관리 _792
11) 유방암 치료 후 관리 _793
감각 및 피부 |795
시각 건강문제와 간호 797
1. 눈의 구조와 기능 799
1) 안구 _799
2) 눈의 부속기관 _801
3) 눈의 신경 _802
4) 눈의 근육 _802
2. 건강 사정 803
1) 건강력 _803
2) 신체검진 _803
3. 눈과 관련된 질환 815
1) 백내장 _815
2) 녹내장 _820
3) 망막 박리 _824
4) 결막염 _826
5) 포도막염 _827
6) 교감성 안염 _827
청각 건강문제와 간호 829
1. 귀의 구조와 기능 831
1) 외이 _832
2) 고막 _832
3) 중이 _832
4) 내이 _832
5) 청신경 _833
6) 청각의 신경전도로 _833
2. 건강 사정 834
1) 건강력 _834
2) 신체검진 _835
3) 청력계의 진단 검사 _837
3. 귀와 관련된 질환 841
1) 외이의 장애 _841
2) 고막의 천공 _841
3) 중이의 장애 _842
4) 내이의 장애 _845
5) 청력 장애 _847
피부 건강문제와 간호 853
1. 피부의 구조와 기능 855
1) 피부의 구조 _855
2) 피부의 기능 _859
2. 건강 사정 860
1) 건강력 _860
2) 신체검진 _862
3) 진단 검사 _863
3. 피부장애의 일반적 간호 865
1) 드레싱 _865
2) 약물 요법 _867
3) 증상의 완화 _868
4. 피부의 감염성 질환 869
1) 세균성 감염 _869
2) 바이러스성 감염 _872
3) 진균성 감염 _874
4) 기생충 감염 _876
5. 습진성 질환 878
1) 아토피성 피부염 _878
2) 접촉성 피부염 _881
6. 궤양성 피부질환 882
1) 욕창 _882
7. 피부 악성 종양 887
1) 기저세포암 _887
2) 악성 흑색종 _887
화상 간호_891
1. 화상의 분류 893
1) 화상의 깊이 _893
2) 화상입은 체표면적의 비율 _894
2. 화상의 생리적 변화 895
1) 체액과 전해질의 변화 _896
2) 심혈관계의 변화 _896
3) 폐의 변화 _896
4) 신장의 변화 _897
5) 면역계의 변화 _897
6) 위장관의 변화 및 기타 변화 _897
3. 의학적 관리와 간호 관리 897
1) 병원이송 전 응급 처치 _898
2) 응급기 관리 _898
3) 급성기 관리 _901
4) 피부이식 _904
5) 재활기 _906
참고문헌 909
찾아보기 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