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재활의학
· ISBN : 9788961308298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5-08-12
목차
제1부 인지재활 이론 및 평가
제1장 인지란 무엇인가? [김영근, 대구보건대학교] 17
1.1 인지에 대한 개념 19
1.2 인간 정보처리 관점 21
1.3 상황인지 26
1.4 사회인지 28
1.5 확장된 인지와 인지과학 31
1.6 초인지(메타인지)에 대한 개념 33
1.7 인지와 자각 36
1.8 인지와 지각의 분류 37
1.9 인지재활 42
1.10 미래 산업의 토대인 인지 44
제2장 작업수행과 인지 [홍승표, 동남보건대학교] 51
2.1 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 및 작업치료 실행체계에서의 인지 53
1. 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 / 53
2. 작업치료 실행체계 / 60
2.2 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질환 62
2.3 인지와 일상생활활동 64
1. 노 인 / 65
2. 정신분열병(조현증) / 66
3. 외상성 뇌손상 및 뇌졸중 / 67
2.4 인지재활과 작업치료 연구 68
1. 인지재활 관련 연구방법 / 68
2. 인지재활 분야에서의 작업치료 연구 / 71
3. 향후 연구의 방향 / 76
2.5 요 약 77
제3장 인지재활의 이론적 배경 [김영근, 대구보건대학교] 83
3.1 작업치료 이론의 틀과 작업치료 철학에 관하여 85
3.2 두 가지 방향의 치료 접근법 88
3.3 작업치료 이론의 틀(인지재활을 중심으로) 89
1. Toglia의 인지재활 / 90
2. 역동적 상호작용 모델 / 98
3. 알렌 인지 장애 이론의 틀 / 107
4. 인간 작업 모델 / 111
5. 재훈련 접근 / 115
6. 신경기능 접근 / 117
7. 재활/보상적 모델 / 118
8. 아폴터 접근 / 121
제4장 인지재활 임상적 추론 [오윤택, 세브란스재활병원] 129
4.1 어떤 치료를 할 것인가?: 인지재활에서 임상추론 131
1. 추론의 종류 / 133
4.2 추론의 과정 137
1. 정보의 수집 / 137
2. 가설 설정과 우선순위 결정 / 138
3. 치료 계획 / 140
4.3 전문가의 조건과 추론 기술 발전 단계 141
1. 초보자 수준 / 142
2. 발전된 초보자 수준 / 142
3. 만족할 만한 수준 / 142
4. 능숙한 수준 / 142
5. 전문가 / 143
4.4 임상추론의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 143
제5장 인지평가 [홍승표, 동남보건대학교] 145
5.1 인지평가의 개요 147
1. 기능중심의 평가와 손상중심의 평가 / 147
2. 인지평가 과정의 선정 / 149
3. 인지평가 시 고려할 사항 / 150
5.2 인지평가의 과정 150
1. 의무기록 검토 / 151
2. 초기 면담 / 151
3.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시행 / 152
4. 비표준화된 평가, 행동관찰 또는 기능적인 활동을 이용한가설-검증 평가 시행 / 170
5. 가정방문 / 173
5.3 인지평가에 대한 기록 174
1. 문제 목록 기록하기 / 174
2. 장?단기 목표 기록하기 / 175
5.4 요 약 176
제2부 인지재활의 영역 및 치료적 접근
제6장 인지재활의 신경행동학적 접근 [오윤택, 세브란스재활병원] 183
6.1 신경행동 185
6.2 활동분석과 작업수행 186
1. 환자의 일상생활의 관찰 / 188
2. 뇌졸중 환자들의 신경행동학적 손상들 / 190
6.3 뇌졸중 환자의 치료접근 191
1. 적절한 접근의 선택 / 192
2. 치료 시 고려사항 / 193
제7장 시지각?운동지각 손상과 치료적 접근 [김지연, 전)우송대학교] 197
7.1 개 요 199
1. 정 의 / 199
2. 지각구성요소 / 203
7.2 시지각 204
1. 시각 처리과정에 대한 개요 / 204
7.3 시지각 구성요소 및 치료적 접근방법 207
1. 시각 / 209
2. 시각-인지 요소 / 212
7.4 운동지각 구성요소 및 치료적 접근방법 220
1. 입체지각 / 220
2. 실인증 / 220
3. 신체도식 / 221
4. 실행증 / 222
7.5 요 약 224
제8장 집중력 손상과 치료적 접근 [육진숙, 서울아산병원] 227
8.1 개 요 229
1. 집중력의 정의 / 229
2. 집중력의 이론적 메커니즘 / 234
8.2 집중력 장애의 임상적 양상 236
1. 집중력 장애의 특징 / 236
2. 집중력과 다른 인지 기능과의 연관성 / 237
8.3 치료적 접근 238
1. 집중력 장애의 접근 소개 / 238
2. 교정적 접근 방법 / 239
3. 보상적 접근 / 241
4. 환경적인 지지 방법 / 244
5. 집중력 향상을 위한 근거중심 치료방법들 / 244
8.4 요 약 245
제9장 기억력 손상과 치료적 접근 [육진숙, 서울아산병원] 249
9.1 개 요 251
1. 기억력의 정의 / 251
9.2 기억의 분류 253
1. 감각기억 / 253
2. 단기기억 / 253
3. 장기기억 / 255
9.3 치료적 접근방법 260
1. 기억장애의 접근방법 소개 / 260
2. 기억 단계별 교정적 기억 전략 / 262
3. 보상적인 치료접근 / 266
4. 기억력 향상을 위한 근거중심 치료방법들 / 268
9.4 요 약 269
제10장 실행기능 손상과 치료적 접근 [권재성, 청주대학교] 273
10.1 개 요 275
1. 실행기능이란 무엇인가? / 275
2. 신경해부학적 고찰 / 277
10.2 증상 및 평가 279
1. 실행기능 손상으로 인한 증상 / 279
2. 임상모델 / 281
3. 평 가 / 283
10.3 치료적 접근 286
1. 환경 통제적 접근 / 289
2. 과제 중심적 접근 / 290
3. 초인지/자기 통찰적 접근 / 294
4. 보상적 접근 / 296
5. 최근 실행기능 장애 중재를 위한 근거 중심적 활동들 / 297
10.4 요 약 297
제3부 인지재활의 적용
제11장 뇌손상 환자를 위한 인지재활 중재 [권재성, 청주대학교] 305
Ⅰ. 뇌혈관장애 환자를 위한 인지재활 중재 / 307
11.1 지각 기능 307
1. 개 요 / 307
2. 지각기능 손상의 평가와 치료 / 310
11.2 인지기능 318
1. 개 요 / 318
2. 인지기능 손상의 평가와 치료 / 320
Ⅱ.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위한 인지재활 중재 / 328
11.1 개 요 328
11.2 평 가 329
1. Glasgow coma scale / 330
2. 외상 후 기억상실 / 330
3. Rancho Los Amigos Scale of Cognitive Functioning / 331
4. 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지기능 평가 / 332
11.3 전형적인 증상에 따른 치료적 접근 333
1. 혼돈과 불안/초조 / 333
2. 작업 기억의 손상 / 334
3. 충동 반응 / 335
4. 실행기능 장애 / 336
Ⅲ. 가정환경에서의 인지재활 중재 / 338
Ⅳ. 저산소증 뇌손상 환자의 인지재활 사례 / 340
11.1 환자력 340
11.2 임상모델 340
11.3 평 가 341
11.4 치료적 개입 342
11.5 경 과 343
제12장 치매환자를 위한 인지평가 [조현진, 전)삼성서울병원] 345
12.1 개 요 347
12.2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에 의한 치매진단 348
12.3 치매 진행단계에 따른 증상 및 기능저하 349
12.4 평 가 350
1. 초기평가 / 350
2. 신경심리 평가 / 352
3. 작업치료 평가 / 356
제13장 치매환자를 위한 인지재활 중재 [조현진, 전)삼성서울병원] 367
13.1 개 요 369
13.2 중재모델 370
1. 인지 장애 모델 / 370
2. 인간 작업 모델 / 370
3. 생태학적 이론 모델 / 371
4. 작업 적응 이론 / 371
5. 치매 돌봄을 위한 심리사회적 장애 모델 / 371
6. 가족중심 돌봄 모델 / 371
13.3 개입의 실제 372
1. 인지재활 / 373
2. 인지자극치료 / 373
3. 컴퓨터를 이용한 인지 훈련 / 374
4. 일상생활활동 / 374
5. 일/자원봉사 / 375
6. 여가활동/사회적 참여 / 375
7. 회상기법 / 377
13.4 개별 프로그램 377
1. 목 적 / 377
2. 시행절차 / 377
3. 개별개입 사례 / 378
13.5 집단 프로그램 381
1. 목 적 / 381
2. 운영방법 / 382
3. 회기의 구성 / 382
4. 활동 선정 / 384
13.6 가족교육 385
제14장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김지연, 전)우송대학교] 391
14.1 인지치료의 목적 및 기본 원리 393
1. 다양성 / 393
2. 보유능력 최대화 및 손상 영역 복원 / 393
3. 해답을 찾는 방법 전달 / 394
14.2 전산화 프로그램의 장점 및 단점 395
1. 검사 실시 방법에 따른 장?단점 / 395
2.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장?단점 / 397
14.3 국내 소개되어 있는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 398
1. 전산화 인지평가도구 / 398
2.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 / 402
14.4 치료적 접근방법 407
1. 뇌졸중 환자의 전산화 인지훈련프로그램 적용 사례 / 407
2.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산화 인지훈련프로그램 적용 사례 / 409
3. 뇌종양 환자의 전산화 인지훈련프로그램 적용 사례 / 410
14.5 요 약 411
찾아보기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