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심장병
· ISBN : 9788961411554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5-04-25
책 소개
목차
제1부 관상동맥질환
1장 관상동맥질환 또는 허혈성 심장병
1. 관상동맥질환 사망률 증가|2. 협심증은 어떤 병일까|3. 협심증이 발생하는 이유|4. 협심증의 진단|5. 협심증의 약물치료|6. 관상동맥 확장술|7. 협심증 치료를 위한 저자의 조언
2장 급성 관상동맥질환
1. 심장 돌연사|2. 급성 관상동맥증후군|3. 급성 심근경색증
제2부 부정맥
1장 부정맥
2장 빈맥
1. 심방세동|2.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3. 심실성 빈맥|4. 심실세동|5. 졸도하는 사람들
제3부 심장판막증과 심부전증
1장 심장판막증
1. 삼첨판막 질환과 폐동맥 판막 질환|2. 승모판막 협착증과 폐쇄부전증|3. 대동맥 판막 협착증과 폐쇄부전증
2장 심부전증
1. 심부전증의 증상|2. 심부전증의 원인|3. 심부전증의 진단|4. 심부전증의 약물치료|5. 심장이식 수술에 대하여
제4부 관상동맥질환의 예방
1장 심장의 적, 담배
2장 고혈압과 심장병
1. 고혈압이란 무엇인가|2. 정상혈압과 고혈압|3. 고혈압의 합병증|4. 고혈압에 대한 일반 상식|5. 고혈압의 약물치료|6. 80세 이상 노인의 고혈압 치료
3장 당뇨병과 심장병
1. 당뇨병의 진단|2. 당뇨병이 심장병을 부른다|3. 당뇨병의 합병증|4. 당뇨병의 예방|5. 당뇨병의 약물치료
4장 고지혈증과 심장병
1. 고지혈증이란 무엇인가|2. 고지혈증의 합병증|3. 고지혈증의 생활습관|4. 콜레스테롤에 대한 일반 상식|5. 중성지방에 대한 상식|6. 대사증후군
5장 아스피린과 심혈관 질환
1. 심혈관 질환이 없는 사람과 아스피린|2. 당뇨병 환자와 아스피린|3.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사람들|4. 아스피린과 대장암
6장 여성과 남성에서 성 호르몬 치료와 심혈관 질환
1. 고령 여성의 호르몬 치료와 심혈관 질환|2. 여성 호르몬 치료와 중풍 발생률|3. 여성 호르몬 치료를 받는 사람들|4. 남성 호르몬과 심근경색증 증가
제5부 생활습관과 심장병
1장 건강을 위한 식사
1. 식습관과 장수에 대한 허와 실|2. 건강에 가장 좋은 식품은 콩|3. 한국 전통음식이 최고의 건강식 |4. 항산화 물질
2장 음주와 심장병
1. 음주의 심장병·당뇨·치매 예방 효과|2. 소량의 술은 심장병 사망률을 감소시킨다|3. 술과 치매의 예방
3장 운동과 심장병의 예방
1. 운동을 많이 할수록 사망률이 감소한다|2. 규칙적인 운동이 당뇨병을 예방한다|3. 심한 운동은 돌연사를 일으킬 수 있다
4장 소금 섭취와 심장병
1. 저염식과 심장병 사망률의 증가|2. 저염식과 심부전증
5장 체중과 심혈관 질환
1. 마른 노인이 빨리 죽고 살찐 노인이 오래 산다|2. 비만에서 탈출하는 10가지 방법|3. 체중과 건강
6장 비타민 보충제와 심혈관 질환
1. 항산화제가 들어 있는 야채와 과일을 섭취한다|2. 대용량 비타민 C는 효과가 없다|3. 칼슘 보충제와 심장병
부록
노인의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위험인자는 무엇일까?|이종구 박사의 무병장수를 위한 처방|심장병과 발기부전 치료제|EECP 심장 외부 역박동술(逆搏動術)|미국심장학회가 전하는 최신 의학정보|커피와 건강|심혈관 질환 환자의 비타민 D 결핍증|한국인과 육류 섭취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평소 건강하던 사람이 길을 걷거나 운동을 하다가 또는 잠을 자다가 급사했다는 이야기를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의학적으로 아무런 예고가 없었거나 증상이 나타난 지 1시간 이내에 사망했을 때 이를 ‘돌연사(突然死)’ 또는 ‘급사(急死)’라고 한다. 돌연사는 대부분 관상동맥질환에 의해서 발생한다. 통계적으로 보면 10명 중에서 8명은 심근경색증 같은 관상동맥질환으로 사망하고, 1명은 심장판막증이나 심근증 등의 심장병으로 사망하며, 나머지 1명은 과로사나 원인불명으로 사망한다.
평상시 협심증이 있는 환자에게 심한 흉통이 생기면 우선 니트로글리세린이나 스프레이를 사용해야 한다. 만약 흉통이 2~3분 이내에 사라지지 않으면 니트로글리세린을 3회 정도 써보고, 그래도 통증이 20∼30분 내에 가라앉지 않거나 더 심해진다면 빨리 응급실로 가야 한다. 간혹 이때 손가락을 따서 피를 흘리게 하는 환자도 있는데, 이것은 아무 효과도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필요한 치료를 지연시킴으로써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과음으로 건강과 가정을 파괴시키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술 특히 와인을 하루에 1~2잔씩 마시면 심장 질환과 사망률이 감소하고 중풍과 당뇨병뿐만 아니라 치매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저자는 하루에 와인을 1~2잔씩 마신다. 술을 평균 1~2잔 정도 소량으로 마시는 사람은 총 사망률이 감소한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는 술을 평균 1/2~1잔 정도 마셔도 사망률이 감소한다(이런 이유로 저자는 와인을 약으로 생각하고 매일 1잔씩 마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