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품화학 길라잡이

식품화학 길라잡이

(증보판)

강일준 (지은이)
라이프사이언스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식품화학 길라잡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품화학 길라잡이 (증보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88961541848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5-03-01

목차

1 식품화학 이해의 기초
1.1 식품과학의 영역
1.2 식품화학의 개요
1.3 식품의 화학적 구성성분
1.4 식품화학 연구의 접근 방법
1. 품질과 안전성 요인
2. 화학적 및 생화학적 반응
3.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에 관련한 화학반응의 영향
4. 식품의 저장, 가공과정 중 다양한 변수의 분석: 어떻게 적용할지 고려해야 한다

2 수분
2.1 수분의 중요성
2.2 수분의 역할
2.3 물 분자의 구조, 특성 및 화학적 성질
1. 물 분자의 구조
2. 물 분자의 특성 및 화학적 성질
3. 용액의 성질
2.4 식품 속의 물의 형태
2.5 수분활성도
2.6 등온탈흡습 곡선
2.7 수분활성도와 식품의 품질
2.8 냉동과 동결건조

3 탄수화물
3.1 탄수화물의 분류
3.2 탄수화물의 구조
3.3 단당
1. 알도오스와 케토오스
2. 부제탄소(비대칭탄소)
3. 단당의 환식구조
4. 복잡한 포도당 수용액
5. 단당의 계열
1) D-형 계열과 L-형 계열
6. 단당의 성질과 반응
1) 결정성과 수용성
2) 이성화
3) 환원성
4) 수산(OH)기의 반응
5) 탄화
7. 주요한 단당
1) 삼탄당
2) 오탄당
3) 육탄당
8. 유도당
1) 디옥시당
2) 아미노당
3) 우론산
4) 알돈산과 알다르산
5) 당알코올
6) 배당체
3.4 올리고당(소당)
1. 자당
1) 구조
2) 안정성
3) 식물과 자당
4) 전화당
2. 유당
3. 맥아당
4. 그 밖의 이당류
5. 라피노오스
3.5 다당
1. 전분
1) 아밀로오스
2) 아밀로펙틴
3) 전분 가수분해효소
4) 전분의 X-선 회절도
5) 전분의 호화와 노화
6) 전분의 호정화
2. 셀룰로오스
3. 이눌린
4. 헤미셀룰로오스
5. 만난
6. 펙틴질
7. 식물검질
8. b-글루칸
9. 글리코겐
10. 키틴
11. 뮤코다당
12. 한천
13. 알긴산

4 지방질
4.1 지방질 및 지방산의 종류와 성질
1. 지방질의 분류
1) 비누화에 의한 분류
2) 구조에 의한 분류
3) 단순지방질 지방산
4) 복합지방질
5) 유도지방질
4.2 유지의 성질
1. 유지의 물리적·화학적 성질
1) 물리적 성질
2) 유지의 화학적 성질
4.3 유지의 산패
1. 산패의 정의
1) 가수분해에 의한 산패
2) 산화에 의한 산패
4.4 유지 산화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1) 지방산의 불포화도
2) 온도의 영향
3) 금속의 영향
4) 광선의 영향
5) 산소분압의 영향
6) 수분의 영향
7) 유리지방산의 영향
4.5 항산화제
1. 항산화제의 정의, 작용기전 및 사용조건
1) 항산화제의 종류
4.6 유지의 산패 측정
1. 물리적 측정
1) 산소의 흡수량 측정
2) 관능시험
2. 화학적 측정
1) 과산화물가
2) 카르보닐가
3) TBA가
4) AOM가

5 단백질
5.1 아미노산
1. 아미노산의 구조와 성질
1) 아미노산의 구조
2) 아미노산의 성질
3) 아미노산의 종류
5.2 펩타이드
1. 펩타이드의 구조 및 기능
2. 펩타이드의 종류와 특성
5.3 단백질
1. 단백질의 종류
1) 단순단백질
2) 복합단백질
3) 유도단백질
2. 단백질의 구조
1) 1차 구조
2) 2차 구조
3) 3차 구조
4) 4차 구조
4. 단백질의 성질
1) 용해도
2) 응고성
3) 등전점
4) 단백질의 변성
5) 단백질의 정색반응
6) 단백질의 갈변반응

6 비타민
6.1 식품 중의 비타민
1. 비타민의 안정성
2. 비타민의 독성
3. 비타민의 섭취원
4. 1일 권장 섭취량
6.2 지용성 비타민
1. 비타민 A
2. 비타민 D
3. 비타민 E
4. 비타민 K
6.3 수용성 비타민
1. 비타민 B1
2. 비타민 B2
3. 비타민 B3
4. 비타민 B6
5. 엽산
6. 비오틴
7. 판토텐산
8. 비타민 B12
9. 비타민 C

7 무기질
7.1 무기질의 기능
1. 신체의 필수 구성성분
2) 조절작용
3) 촉매작용
7.2 주요 무기질
1. 다량 무기질
1) 칼슘
2) 인
3) 칼륨
4) 나트륨
5) 염소
6) 마그네슘
2) 미량무기질
2) 구리
3) 황
4) 요오드
5) 망간
6) 기타 무기 성분
7.3 알칼리 식품과 산성 식품
7.4 식품의 가공조리 중 무기질의 변화
1. 물리적 변화
2. 화학적 변화
3. 조리에 의한 무기질의 손실

8 효소
8.1 효소의 일반적 특성
1. 효소의 화학적 본체
2. 효소의 기능
1) 효소의 특이성
3. 효소의 활성부위
4. 기질 결합
5. 효소의 촉매 기능
6. 효소 활성의 단위
8.2 효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1. 온도
2. pH
3. 효소 농도
4. 기질 농도
5. 활성제
6. 저해제
1) 경쟁적 저해
2) 비경쟁적 저해
3) 불경쟁적 저해
4) 비가역적 저해제
8.3 효소의 분류
1. 효소의 명명법
2. 효소의 분류
1) 산화환원효소
2) 전이효소
3) 가수분해효소
4) 제거효소
5) 이성화효소
6) 합성효소
8.4 식품에 관계되는 효소
1. 효소와 식품의 색 변화
1) Lipoxigenase
2) Chlorophyllase
3) Polyphenol oxidase
2. 효소와 텍스쳐 변화
1) 펙틴 분해효소
2) Cellulase
3) Amylase
4) 단백질분해효소
3. 효소와 풍미 변화
4. 효소와 영양 저하

9 식품의 색
9.1 색의 인식
9.2 색의 분류와 측정
1. 색체계 vs. 색차계
9.3 식품 색소의 분류
1. 식물성 색소
1) 클로로필
2) 카로티노이드
3) 플라보노이드
4) 안토시아닌
5) 베탈레인류 색소
6) 탄닌
7) 기타 색소류
2. 동물성 색소
1) 헤모글로빈과 마이오글로빈
2) 동물성 카로티노이드

10 식품의 갈변반응
10.1 비효소적 갈변반응
1. 마이야르 반응
1) 반응 기전
2) 초기 단계
3) 중간 단계
4) 최종 단계
5) 마이야르 반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2. 캐러멜화 반응
1) 로브리 드 브륀-알버다 반 에켄슈타인 전위
2) 산화생성물들 및 하이드록시메틸 푸르푸랄 및 그 유도체의 형성
3) 리덕톤, 푸란, 레불리닌산, 락톤류의 형성
4) 산화생성물들의 분해물질들의 형성
5) 휴민 물질들의 형성
3. 아스코르브산 산화반응
10.2 효소적 갈변반응
1. 폴리페놀산화효소에 의한 갈변반응
2. 타이로시네이스에 의한 갈변반응
10.3 갈변반응의 억제
1. 효소에 의한 갈변반응을 억제하는 방법
1) 효소의 불활성화
2) 최적 조건의 변동
2. 비효소 및 효소에 의한 갈변반응을 억제하는 방법
1) 산소의 제거
2) 환원성 물질의 첨가

11 식품의 맛과 냄새
11.1 식품의 맛
1. 맛의 인지 기전
2. 기본맛
1) 짠맛
2) 신맛
3) 단맛
4) 쓴맛
5) 감칠맛
11.2 식품의 냄새
1. 냄새의 인지 기전
2. 식물성 식품의 냄새물질
1) 백합과 채소의 함황 냄새물질
2) 겨자과 채소의 함황 냄새물질
3) 표고버섯의 냄새물질
4) 지방산 분해 냄새물질
5) 테르펜류 냄새물질
6) 기타 식물성 냄새물질
3. 동물성 식품의 냄새물질
4. 유지류의 냄새물질
5. 가공 및 반응향 물질
6. 발효식품의 냄새물질
1) 전통 장류의 냄새물질
2) 김치의 냄새물질
11.3 식품의 화학적 자극
1. 화학적 감각의 인지기전
2. 매운맛
1) 고추 매운맛
2) 기타 매운맛
3. 떫은맛
1) 화학적 감각의 인지기전
4. 금속성맛
5. 기타 화학적 자극
1) 탄산감
2) 시원한 감각

12 식품의 물성
12.1 식품의 콜로이드성
1. 액체식품의 형태
2. 콜로이드의 상태
1) 졸
2) 젤
3) 유화액
4) 거품
3. 콜로이드의 성질
1) 반투성
2) 브라운 운동
3) 틴들현상
4) 응결과 염석
5) 흡착
6) 전기영동
12.2 식품의 리올로지
1. 유체 및 반고체 식품의 유동성
1) 점성
2) 유체의 분류
2. 고체 및 반고체 식품들의 변형
1) 탄성
2) 가소성
3) 점탄성
12.3 식품의 텍스쳐
1) 텍스쳐 특성의 분류
2) 식품의 텍스쳐 측정

13 식품의 기능성
13.1 식품의 기능
1. 1차적 기능(영양적 기능: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물)
2. 2차적 기능(기호적 기능: 색, 향기, 맛, 조직감)
1) 색 성분
2) 향기 성분
3) 맛 성분
4) 조직감
3. 3차적 기능(생리활성기능: 건강유지기능)
13.2 건강기능식품의 정의 및 용어
1.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의 정의
2. 외국에서의 기능성 식품 관련 용어 및 의미
13.3 기능성 식품의 역사
1. 기능성 식품 개념의 발전과정
2. 일본의 기능성 식품
1) 영양기능식품
2) 특정 보건용 식품
3. 미국의 기능성 식품
4. 유럽의 기능성 식품
5. 중국의 기능성 식품
6. 우리나라의 기능성 식품
13.4 건강기능식품(식의약품안전처 자료)
1. 기능성 원료
1) 고시된 원료
2) 개별인정 원료
2. 기능성의 종류
1) 영양소기능
2) 생리활성기능
3) 질병 발생 위험감소기능
3.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원료
1) 고시형 원료
4. 건강기능식품(고시형)의 성분별 기능성
1) 당 및 탄수화물류의 기능성
2) 지방산 및 지질류의 기능성
3) 단백질/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류의 기능성
4) 식물추출물류의 기능성
5) 발효미생물류
6) 기타 원료
5. 생리활성 기능성 분야 및 그에 따른 원료
1) 생리활성 기능성 분야
2) 생리활성 기능성 분야별 원료(개별인정형 및 고시형)
6. 개별인정 기능성 원료 인정 내용
7. 건강기능식품 생산, 유통, 소비의 흐름
8.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개발방법 및 절차
9. 건강기능식품 수입/제조 확인 사항
10. 건강기능식품의 관련 마크 및 유통의 특징
11.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정보

14 식품의 유독성분
14.1 천연식품에 존재하는 천연독소
1. 식물성 식품의 유독성분
1) 배당체
2) 알칼로이드
3) 영양억제물질
4) 페놀성 물질
5) 버섯 독소
2. 동물성 식품의 유독성분
1) 복어독
2) 시구아테라독
3. 곰팡이독소
14.2 식품의 조리 및 가공 중 생성되는 유해성분
1.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2. 이환 방향족 아민
3. 니트로소 화합물
4. 아크릴아마이드
5. 산화유지와 트랜스지방
6. 3-MCPD
7. 에틸카바메이트
14.3 잔류성 및 환경오염성 유해물질
1. 잔류농약
2. 동물용 의약품
3. 중금속
4. 다염화비페닐과 다이옥신
5. 방사성 핵종
14.4 식품 용기 및 포장 재료로부터 이행하는 유해물질
1. 도자기 및 캔 용기
2. 플라스틱 성분의 이행
3. 비스페놀 A
14.5 유독성분의 분석 및 규제
1. 분석기술
2. 유독물질의 안전성 평가

15 식품첨가물
15.1 식품첨가물
1. 식품첨가물 개요
2. 식품첨가물의 정의
3. 식품첨가물의 발달배경
4. 식품첨가물의 정의
1) JECFA(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2) FAO
3) 미국의 국립과학학술원 및 국립연구협의회 산하의 식품보호위원회(Food Protection Committee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National Research Council)
4) 미국 FDA
5)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6) 국제 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7) 한국
5. 식품첨가물의 종류 및 분류 기준
1) 합성 여부에 따른 분류
2) 첨가의 의도성
3)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6. 식품첨가물의 규제
1) FAO/WHO 합동 첨가물회의
2) 각 나라의 식품첨가물 규제
3) 식품첨가물 지정 시 고려사항
4)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인
5) 식품첨가물의 사용량 결정
6) 합성식품첨가물의 사용한계량 결정
7) 식품첨가물 표시
15.2 식품첨가물의 종류별 특징
1. 살균제
1) 분류
2) 작용 기전
3) 종류
2. 보존료
1) 종류
3. 산화방지제
1) 천연 항산화제
2) 합성 항산화제
5. 맛과 향기 개량제
1) 감미료
2) 기능성 감미료
6. 산미료
1) 산미료의 종류
7. 조미료
1) 정미성 조미료
1) 화학적 합성품인 증점제(안정제)
2) 천연첨가물인 증점제(안정제)
9. 착향료
1) 착향료의 분류
9. 착색료
1) 출처에 따른 분류
2) 착색제의 종류
10. 발색제와 발색보조제
11. 향미증진제
12. 유화제
1) 유화제의 종류
15.3 식품첨가물로서의 구비 조건
1) 식품첨가물 지정 조건
2) 식품첨가물의 지정절차
3) 식품첨가물의 올바른 사용방법

찾아보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