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화학

생화학

(제8판)

Mary K. Campbell, Shawn O. Farrell (지은이), 곽한식 (옮긴이)
라이프사이언스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8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생화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화학 (제8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88961542104
· 쪽수 : 800쪽
· 출판일 : 2015-09-01

목차

핫토픽 HT1
유방암의 유전학 HT2
줄기세포: 과학과 정치 HT5
행복함과 우울함의 과학 HT10
인간 대 독감 HT15
말라리아 HT18
노화-생화학적인 젊음의 샘을 찾기 HT22
단백질과 자석: 생화학에서의 핵자기공명 HT26
G-단백질 연관 수용체 HT30


1장 생화학과 세포의 구성 1
1-1 기본 주제 1
1-2 생화학의 화학적 본질 2
1-3 생물학의 시작: 생명의 기원 4
지구의 나이 4
생체분자 7
분자에서 세포로 11
1-4 가장 큰 생물학적 차이점?원핵생물과 진핵생물 15
1-5 원핵세포 16
1-6 진핵세포 17
1-7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을 어떻게 분류하는가? 20
1.1
생화학과의 접목 | 극한미생물: 생명공학산업의 보물창고 21
1-8 생화학 에너지론 23
1-9 에너지와 변화 25
1-10 생화학반응에서 자발성 25
1-11 생명과 열역학 26
1.2
생화학과의 접목 | 반응 예측하기 27
요약 28
중요 복습 문제 29
참고문헌 31


2장 물: 생화학반응의 용매 33
2-1 물과 극성 33
물의 용매 특성 34
이온결합 34
염교 34
이온-쌍극자 상호작용 34
반데르발스 힘 35
쌍극자-쌍극자 상호작용 36
쌍극자-유도쌍극자 상호작용 36
유도쌍극자-유도쌍극자 상호작용 36
2-2 수소결합 38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기타 수소결합들 41
2.1
생화학과의 접목 | 기초 화학이 생명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수소결합의 중요성 41
2-3 산, 염기, pH 41
2-4 적정곡선 45
2-5 완충용액 48
2.2
생화학과의 접목 | 완충용액 고르기 52
2.3
생화학과의 접목 | 혈액 완충작용의 몇 가지 생리학적 결과 55
2.4
생화학과의 접목 | 젖산?항상 나쁜 건 아니다 55
요약 56
중요 복습 문제 57
참고문헌 58


3장 아미노산과 펩타이드 59
3-1 아미노산은 3차원 세계에 존재한다 59
3-2 각각의 아미노산들: 그 구조와 성질 60
드문 아미노산 65
3-3
아미노산은 산과 염기 두 가지로 모두 작용할 수 있는가? 66
3-4 펩타이드 결합 69
3-5 생리활성이 있는 작은 펩타이드들 71
3.1
생화학과의 접목 | 펩타이드 호르몬?작지만 효과가 큰 물질 72
요약 72
중요 복습 문제 73
참고문헌 74


4장 단백질의 3차 구조 75
4-1 단백질 구조와 기능 75
4-2 단백질의 1차 구조 76
4-3 단백질의 2차 구조 76
단백질 골격의 주기적인 구조 77
규칙적인 구조 내의 불규칙성 80
초2차 구조와 도메인 80
콜라젠 3중나선 83
두 종류의 단백질 입체구조: 섬유상과 구형 84
4-4 단백질의 3차 구조 85
3차 구조에 관여되어 있는 힘 85
마이오글로빈: 단백질 구조의 일례 88
변성과 재접힘 90
4-5 단백질의 4차 구조 91
헤모글로빈 91
헤모글로빈 기능에 수반되어 일어나는 입체구조의 변화 94
4.1
생화학과의 접목 | 겸상적혈구빈혈증 96
4-6 단백질 접힘의 역학 97
소수성 상호작용: 열역학에서의 사례 연구 98
올바른 접힘의 중요성 100
단백질-접힘 샤프론 101
4.2
생화학과의 접목 | 단백질 접힘 질병 102
요약 104
중요 복습 문제 105
참고문헌 106


5장 단백질의 정제 및 특성 규명 기술 107
5-1 세포에서 순수한 단백질 추출하기 107
5-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8
5-3 전기영동 116
5-4 단백질의 1차 구조 결정하기 117
단백질을 펩타이드로 절단하기 119
펩타이드의 서열 결정: 에드만 방법 121
5-5 단백질 확인 기술 124
5.1
생화학과의 접목 | 질량분광분석법의 위력 124
효소-연계 면역흡착제 검정법(ELISA) 125
웨스턴 블롯 125
단백질 칩 128
5-6 단백질체학 128
요약 129
중요 복습 문제 130
참고문헌 132


6장 단백질의 작용 양상: 효소 133
6-1 효소는 효율적인 생체 촉매이다 133
6-2 반응속도론 대 열역학 133
6.1
생화학과의 접목 | 질병의 표지로서의 효소 136
6-3 효소 반응속도론 식 136
6-4 효소-기질 결합 138
6-5
효소반응속도론에 대한 미케일리스-멘텐 방식의 접근법 140
6.2
생화학과의 접목 | 샴페인이 맛있는 건 효소 덕분이다 146
6.3
생화학과의 접목 | 반응속도론 자료로부터 얻는 실용적인 정보 147
6-6 효소-촉매 반응의 예 148
6-7 효소 저해 149
6.4
생화학과의 접목 | AIDS 치료에서의 효소 저해 155
요약 155
중요 복습 문제 156
참고문헌 158


7장 단백질의 작용 양상: 효소, 메커니즘, 조절 159
7-1 알로스테릭 효소의 작용 양상 159
7-2
알로스테릭 효소에 대한 일치형 모델과 순차적 모델 163
7.1
생화학과의 접목 | 알로스테리즘: 제약회사들은 이 개념을 활용하고 있다 167
7-3 인산화에 의한 효소활성의 조절 168
7.2
생화학과의 접목 | 어떤 고대의 약은 그 약효가 단백질 인산화효소를 촉진시킴으로써 생기는 것이다 170

7-4 자이모젠 170
7-5 활성부위의 본질 172
7.3
생화학과의 접목 | 효소 족: 프로티에이스(단백질분해효소) 174
7-6 효소 메커니즘에 관여되어 있는 화학반응들 178
7-7 활성부위와 전이상태 180
7-8 보조효소 182
7.4
생화학과의 접목 | 코카인에 대한 촉매항체 183
7.5
생화학과의 접목 | 청정 화학을 위한 촉매제 186
요약 186
중요 복습 문제 187
참고문헌 188


8장 지질과 단백질이 생체막에 결합되어 있다 189
8-1 지질의 정의 189
8-2 각종 지질의 화학적 성질 190
8-3 생체막 196
8.1
생화학과의 접목 | 버터 대 마가린?어느 것이 더 건강에 좋을까? 200
8.2
생화학과의 접목 | 약물 전달에서의 막 201
8-4 막단백질의 종류 202
8-5 막 구조의 유동-모자이크 모델 204
8-6 막의 기능 205
8.3
생화학과의 접목 | 지질방울은 단순히 커다란 지방 덩어리가 아니다 209
8-7 지용성 비타민과 그 기능 210
비타민 A 211
8.4
생화학과의 접목 | 시각작용은 위대한 화학반응이다 212
비타민 D 213
비타민 E 214
비타민 K 215
8-8 프로스타글란딘과 류코트라이엔 216
8.5
생화학과의 접목 | 왜 연어를 더 많이 먹어야 하나? 218
요약 219
중요 복습 문제 220
참고문헌 221

9장 핵산: 구조가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223
9-1 핵산 구조의 단계 223
9-2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공유결합 구조 224
9.1
생화학과의 접목 | 당신 유전자의 주인은 누구인가? 228
9-3 DNA의 구조 229
9.2
생화학과의 접목 | 인간 유전체 사업: 보물인가, 판도라의 상자인가? 237
9-4 DNA의 변성 238
9-5 RNA의 주요 종류와 그 구조 239
9.3
생화학과의 접목 | 일란성 쌍둥이가 똑같지 않은 이유는? 245
9.4
생화학과의 접목 | 합성 유전체를 만들어내다 246
요약 247
중요 복습 문제 247
참고문헌 248


10장 핵산의 생합성: 복제 249
10-1 세포에서의 유전정보의 흐름 249
10-2 DNA의 복제 250
반보존적 복제 250
10-3 DNA 중합효소 253
절반이 불연속적으로 일어나는 DNA 복제 253
E. coli의 DNA 중합효소 255
10-4 DNA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들 257
초나선과 복제 257
프라이메이스 반응 259
새로운 DNA 가닥들의 합성 및 연결 259
10-5 교정과 수선 261
10.1
생화학과의 접목 | DNA에 유라실 대신 타이민이 포함되어 있는 이유는? 266
10-6 DNA 재조합 267
10.2
생화학과의 접목 | E. coli에서의 SOS 반응 269
10-7 진핵생물의 DNA 복제 270
진핵생물의 DNA 중합효소 271
진핵생물의 복제분기점 272
10.3
생화학과의 접목 | 텔로머레이스와 암 274
10.4
생화학과의 접목 | 자가 복제를 하는 RNA 275
요약 276
중요 복습 문제 277
참고문헌 278


11장 유전암호의 전사: RNA 생합성 279
11-1 전사의 개요 279
11-2 원핵생물에서의 전사 280
대장균의 RNA 중합효소 280
프로모터 구조 281
사슬 개시 283
사슬 신장 283
사슬 종결 285
11-3 원핵생물에서의 전사 조절 286
대체 σ 인자들 286
전사증진인자 287
오페론 288
전사약화 293
11.1
생화학과의 접목 | 라이보스위치는 병원체와 싸울 수 있는 또 다른 무기를 제공해준다 294
11-4 진핵생물에서의 전사 295
RNA 중합효소 II의 구조 296
Pol II 프로모터 297
전사 개시 298
신장과 종결 300
11-5 진핵생물에서의 전사 조절 301
전사 활성화 작용과 억제작용에서 매개인자의 역할 301
염색질 개조 복합체 302
히스톤의 공유결합성 변형 302
반응요소 303
11.2
생화학과의 접목 | CREB?전혀 들어본 적이없는 가장 중요한 단백질? 307
11-6 비암호화 RNA 307
11.3
생화학과의 접목 | 마이크로 RNA는 손상된 신경근 접합부의 재생을 돕는다 310
11-7
DNA-결합 단백질에서 발견되는 구조적 특징들 311
DNA-결합 도메인 311
헬릭스-턴-헬릭스 모티프 311
징크 핑거 312
염기성-지역 류신 지퍼 모티프 313
전사-활성화 도메인 313
11-8 전사 후의 RNA 변형 314
전달 RNA와 라이보솜 RNA 314
전령 RNA 315
스플라이싱 반응: 올가미형과 스너프 317
선택적 RNA 스플라이싱 318
11-9 라이보자임 319
11.4
생화학과의 접목 | 다시 살펴보는 후성학(後成學) ? 암과 노화는 후성적 상태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321
요약 321
중요 복습 문제 323
참고문헌 324


12장 단백질 합성: 유전 메시지의 번역 325
12-1 유전 메시지의 번역 325
12-2 유전암호 326
코돈-안티코돈 쌍의 형성과 워블 328
12.1
생화학과의 접목 | A형 독감 바이러스는 자신이 유발시키는 병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해독틀을 바꾼다 331
12-3 아미노산의 활성화 332
12-4 원핵생물의 번역 335
라이보솜의 구조 335
사슬 개시 335
사슬 신장 337
사슬 종결 340
21번째 아미노산 341
라이보솜은 라이보자임이다 342
폴리솜 343
12-5 진핵생물의 번역 344
사슬 개시 344
12.2
생화학과의 접목 | 단백질 합성이 기억을 만든다 346
사슬 신장 347
사슬 종결 348
진핵생물에서는 전사와 번역이 동반되어 일어나는가? 348
많은 정설들이 밀려나고 있다 348
12-6 단백질의 번역-후 변형 349
12.3
생화학과의 접목 | 잠재성 돌연변이가 언제나 잠재성인 것은 아니다 350
12.4
생화학과의 접목 | 샤프론: 적합하지 않은 결합을 방지함 351
라이보솜들이 단백질 접힘 과정에 관여되어 있다 352
12-7 단백질 분해 352
12.5
생화학과의 접목 | 우리는 어떻게 높은 고도에 적응하는가? 354
요약 355
중요 복습 문제 356
참고문헌 358


13장 핵산 생물공학 기술 359
13-1 핵산의 정제 및 검출 359
분리 기술 359
검출 방법 360
13-2 제한효소 361
많은 제한효소들은 ‘점착성 말단’을 만들어낸다 362
13-3 클로닝 364
점착성 말단을 이용하여 재조합 DNA 만들기 364
13-4 유전공학 370
자연계에서는 DNA 재조합이 일어난다 371
13.1
생화학과의 접목 | 농업에서의 유전공학 372
‘단백질 공장’으로서의 박테리아 373
단백질 발현 벡터 374
13.2
생화학과의 접목 |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인간 단백질들 375
진핵생물에서의 유전공학 376
13.3
생화학과의 접목 | 융합단백질과 신속한 정제 377
13-5 DNA 라이브러리 378
DNA 라이브러리에서 개별 클론을 찾아내기 378
13-6 중합효소연쇄반응 380
정량 PCR 덕분에 DNA 시료를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다 382
13-7 DNA 핑거프린팅 383
제한효소-절편 길이 다형성: 법의학 분석의 강력한 수단 383
13.4
생화학과의 접목 | CSI: 생화학?DNA 검사의 법의학적 이용 387
13-8 DNA의 염기서열 결정하기 387
13-9 유전체학과 단백질체학 389
마이크로어레이의 힘?로봇 기술과 생화학의 만남 391
단백질 어레이 393

요약 394
중요 복습 문제 395
참고문헌 396


14장 바이러스, 암, 그리고 면역학 397
14-1 바이러스 397
바이러스과(科) 398
바이러스 생활사 398
14-2 레트로바이러스 402
14.1
생화학과의 접목 | 바이러스는 유전자 치료에 이용된다 403
14-3 면역체계 404
14.2
생화학과의 접목 | 첫 번째 백신-저질 과학의 금의환향 405
선천성 면역?최전선 방어 406
후천성 면역: 세포적인 측면 407
T-세포의 기능 408
T 세포의 기억작용 412
면역체계: 분자적인 면 413
자신과 남을 구분하기 415
14.3
생화학과의 접목 | 바이러스 RNA는 면역체계를 속인다 417
14-4 암 417
14.4
생화학과의 접목 | 암: 인간 유전체의 어두운 면 418
암유전자 419
종양 억제인자 421
바이러스와 암 422
암 치유를 돕는 바이러스 423
14.5
생화학과의 접목 | 나노기술이 암과 대결한다 425
14.6
생화학과의 접목 | 질병 대신 증상을 공격한다? 426
14-5 AIDS 427
백신 찾기 430
항바이러스 요법 430
치료에 대한 희망 430

요약 432
중요 복습 문제 433
참고문헌 434

15장 대사에서 에너지 변화와 전자전달의 중요성 435
15-1 자유에너지 변화에서의 표준 상태 435
자발성과 가역성 437
에너지흡수성 반응 일으키기 437
에너지의 평형 438
15-2 생화학적 적용을 위한 변형된 표준 상태 438
15-3 대사의 본질 439
15.1
생화학과의 접목 | 생명체는 독특한 열역학 계이다 439
15-4 대사에서 산화와 환원의 역할 440
15-5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산화-환원 반응에서의 보조효소 441
15-6 에너지 생산과 에너지 사용의 연결 445
15.2
생화학과의 접목 | 세포 신호전달에서의 ATP 448
15-7 대사경로 활성화에서의 보조효소 A 451
요약 454
중요 복습 문제 455
참고문헌 457


16장 탄수화물 459
16-1 당: 구조와 입체화학 459
16.1
생화학과의 접목 | 저-탄수화물 식이요법 464
16-2 단당류의 반응 468
16.2
생화학과의 접목 | 비타민 C는 당과 관련이 있다 468
16-3 몇 가지 중요한 올리고당류 473
16.3
생화학과의 접목 | 락토오스 과민증: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우유 마시기를 원하지 않을까? 475
16-4 다당류의 구조와 기능 476
16.4
생화학과의 접목 | 식이섬유가 몸에 아주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 478
16-5 당단백질 484
16.5
생화학과의 접목 | 당단백질과 수혈 485
요약 486
중요 복습 문제 487
참고문헌 488

17장 해당과정 489
17-1 해당과정의 전체 경로 489
17.1
생화학과의 접목 | 발효로부터 얻는 생물연료 491
17-2
6-탄소화합물인 글루코오스에서 3-탄소화합물인 글리세르알데하이드-3-인산으로의 전환 493
17.2
생화학과의 접목 | 당뇨병 환자에 대한 모델로서의 돌고래 497
17-3
글리세르알데하이드-3-인산은 피루브산으로 전환된다 500
17-4 피루브산의 혐기성 대사 507
17.3
생화학과의 접목 | 혐기성 대사와 치태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508
17.4
생화학과의 접목 | 태아알코올증후군 511
17.5
생화학과의 접목 | 피루브산 인산화효소의 동위효소를 암 치료에 이용하기 512
17-5 해당과정에서의 에너지 생산 513
17-6 해당과정의 조절 514
요약 516
중요 복습 문제 517
참고문헌 518


18장 탄수화물 대사에서의 저장 메커니즘과 조절 519
18-1 글리코겐 생성과 분해의 방법 519
18.1
생화학과의 접목 | 운동선수들이 글리코겐을 비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522
18-2
글루코오스 신생합성은 피루브산으로부터 글루코오스를 만들어낸다 527
18-3 탄수화물 대사의 조절 532
18-4

글루코오스는 그 대사 방향이 간혹 5탄당 인산 경로 쪽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539
18.2
생화학과의 접목 | 5탄당 인산 경로와 용혈성 빈혈 544
요약 544
중요 복습 문제 545
참고문헌 546

19장 시트르산 회로 547
19-1 대사에서 시트르산 회로의 중심 역할 547
19-2 시트르산 회로의 전체 경로 548
19-3
피루브산은 어떻게 아세틸-CoA로 전환되는가? 551
19-4 시트르산 회로의 각 반응들 554
19.1
생화학과의 접목 | 불소 화합물과 탄수화물 대사 555
19.2
생화학과의 접목 | 시트르산에서 방출되는 CO2는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557
19-5 시트르산 회로의 에너지론과 조절 562
19-6
글라이옥실산 회로: 시트르산 회로와 친척 관계인 경로 565
19-7 분해대사에서의 시트르산 회로 566
19-8 합성대사에서의 시트르산 회로 567
19.3
생화학과의 접목 | 왜 동물들은 식물이나 박테리아가 사용하는 에너지원들을 모두 다 똑같이 사용하지 못하는 걸까? 568
19.4
생화학과의 접목 | 체중 감량이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 571
19-9 산소와의 연결 574
요약 574
중요 복습 문제 575
참고문헌 576


20장 전자전달과 산화적 인산화반응 577
20-1 대사과정에서 전자전달의 역할 577
20-2 전자전달사슬에서의 환원 전위 578
20-3 전자전달 복합체의 구성 581
20-4 전자전달과 인산화반응 간의 연결 587
20-5
산화적 인산화반응에서 동반작용의 메커니즘 590
20.1
생화학과의 접목 | 갈색 지방조직은 비만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593
20-6 셔틀 메커니즘 594
20.2 생화학과의 접목 | 스포츠와 대사 596
20-7
글루코오스의 완전 산화 시 생성되는 ATP 수 596
요약 597
중요 복습 문제 598
참고문헌 600


21장 지질대사 601
21-1 지질은 에너지 생성과 저장에 관여되어 있다 601
21-2 지질의 분해대사 601
21-3 지방산 산화로 생기는 에너지 생산량 606
21-4
불포화지방산과 홀수-탄소 지방산의 분해대사 608
21-5 케톤체 611
21-6 지방산 생합성 612
21.1
생화학과의 접목 | 지질 생합성에서의 전사 활성인자 613
21.2
생화학과의 접목 | 아세틸-CoA 카복실화효소?비만과의 전쟁에서의 새로운 표적? 615
21.3
생화학과의 접목 | 비만 유전자 620
21-7 아실글리세롤과 복합지질의 합성 621
트라이아실글리세롤 621
21-8 콜레스테롤 생합성 625
21.4
생화학과의 접목 |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633
21-9 식욕의 호르몬적 조절 634
요약 636
중요 복습 문제 637
참고문헌 638


22장 광합성 639
22-1 엽록체는 광합성이 일어나는 곳이다 639
22.1
생화학과의 접목 | 빛의 파장과 에너지 사이의 관계 642
22-2 광시스템 I, II와 광합성 명반응 643
광시스템 I의 순환성 전자전달 647
22-3 광합성과 ATP 생산 649
22-4
산소의 존재 유무에 따른 광합성의 진화론적 의미 651
22.2
생화학과의 접목 | 항-말라리아 식물의 수확량 향상시w키기 652
22-5 광합성의 암반응은 CO2를 고정시킨다 653
22.3
생화학과의 접목 | 식물은 동물의 먹이이다?식물은 에너지가 필요하다?식물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653
22.4
생화학과의 접목 | 엽록체 유전자 658
22-6 열대식물의 CO2 고정 659
요약 662
중요 복습 문제 663
참고문헌 664


23장 질소대사 665
23-1 질소대사: 개요 665
23-2 질소고정 667
23.1
생화학과의 접목 | 비료의 질소함량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 668
23-3 질소대사에서의 피드백 저해작용 669
23-4 아미노산 생합성 670
23-5 필수아미노산 677
23-6 아미노산 분해대사 678
과잉 질소의 배설 679
23.2
생화학과의 접목 | 질소 노폐물의 처리와 물 679
23-7 퓨린 생합성 683
이노신 1인산의 합성대사 683
23-8 퓨린 분해대사 685
23-9 피리미딘 생합성과 분해대사 688
피리미딘 뉴클레오타이드의 합성대사 688
피리미딘 분해대사 690
23-10
라이보뉴클레오타이드의 디옥시라이보뉴클레오타이드로의 전환 691
23-11 dUTP의 dTTP로의 전환 692
23.3
생화학과의 접목 | 화학요법과 항생제?폴산의 필요성을 이용하기 693
요약 694
중요 복습 문제 695
참고문헌 696


24장 대사의 통합: 세포의 신호전달 697
24-1 대사 경로들 간의 연결고리 697
24.1
생화학과의 접목 | 알코올 소비와 중독 698
24-2 생화학과 영양학 699
24.2
생화학과의 접목 | 철: 무기질 필요성의 일례702
식품 피라미드 703
24-3 호르몬과 2차 정보전달물질 706
호르몬 706
2차 정보전달물질 710
고리형 AMP와 G 단백질 710
2차 정보전달물질로서의 칼슘 이온 712
수용체형 타이로신 인산화효소 714
24-4 호르몬과 대사 조절 715
24.3
생화학과의 접목 | 인슐린과 저탄수화물 식품 718
24-5 인슐린과 그 효과 718
인슐린 수용체 719
인슐린이 글루코오스 흡수에 미치는 영향 720
인슐린은 여러 효소들에 영향을 미친다 720
당뇨병 720
24.4
생화학과의 접목 | 매일 운동하면 당뇨병을 멀리할 수 있는가? 721
인슐린과 스포츠 722
24.5
생화학과의 접목 | 인슐린, 당뇨병 그리고 암 722
요약 723
중요 복습 문제 724
참고문헌 726


용어해설 G-1
찾아보기 I-1

저자소개

곽한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생화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화학과 석사, 박사 미국 국립보건연구소(NIH) Visting Fellow 배재대학교 자연과학대학장 역임 배재대학교 바이오.의생명공학과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