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무용사 콜로키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무용
· ISBN : 9788962065770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5-09-05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무용
· ISBN : 9788962065770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5-09-05
책 소개
1998년부터 2025년까지 발표한 12개의 논고와 2개의 부록으로 구성된 책이다. 무용사는 무용 이론의 기초가 되는 분야이며 현장에 대한 이해에서도 필수적인 영역이라는 점에서 진지하게 다뤄져야 한다. 낭만발레 이후 고전발레가 등장한 이유에 관한 고찰 등을 수록하였다.
콜로키움(Colloquium)이란 연구자의 발표 후에 참여자와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토론 방식을 말한다.
대학원의 세미나나 토론회가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저서 『무용사 콜로키움』은 일반적인 무용사 관련 저서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좀 더 심화되고 확장된 논의를 자유로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다양화, 다각화, 다변화되고 있는 동시대의 무용예술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의도도 함께 지니고 있다. 무용사, 무용비평, 무용원론, 무용감상, 무용세미나, 무용연구법 등의 교과에서 활용가능하리라 본다.
『무용사 콜로키움(The Colloquium of Dance History)』은 1998년부터 2025년까지 발표한 12개의 논고와 2개의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동안 다양한 컨셉의 무용사 관련 논문을 발표해 왔으며 이중 각 시대나 장르에서 특징적인 관점을 드러내는 원고를 추려놓았다. 무용역사기록학과 대한무용학회 논문집를 비롯하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한국무용사학, 영남춤학회지, 영상문화, 움직임의 철학, 무용예술학연구, 한국무용학회지 등에 수록한 논고이며, 부록은 한국춤평론가회 세미나에서 발표한 것이다. 사반세기가 넘는 기간에다가 각기 다른 학회지에 수록하다 보니 모든 원고의 서식이 다르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동안 맞춤법과 띄어쓰기등에 있어 크고 작은 변화가 있었다는 점 역시 고려해야 했다. 따라서 내용적인 전개에서 원전을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형식 틀에서 수정 및 보완을 거쳤다.
무용사는 무용 이론의 기초가 되는 분야이며 현장에 대한 이해에서도 필수적인 영역이라는 점에서 진지하게 다뤄져야 한다. 일반적인 인식 이상으로 전문성이 매우 요구된다는 뜻이다. 2000년대 초부터 발표한 저서들에서 궁정발레를 다룸으로써 우리 무용계에서 서양 무용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확장되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보람을 느끼는 바다. 이번 저서에서 낭만발레 이후 고전발레가 등장한 이유에 관한 고찰 역시 그러한 영향을 기대한다. 그밖에 프랑스 누벨바그와 누벨당스의 상관성 연구, 컨템포러리댄스에서 장소특정형과 이머시브적 접근, 이 시대 춤 실행의 다변화 현상에 대한 고찰, 동시대 창작의 주요 소재로서 인류세와 포스트휴먼담론 등을 통해 동시대 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빠르게 변화해 가는 동시대 춤에 관한 탐구는 이론가와 평론가뿐 아니라 무용가들에게도 중요해지고 있다. 『무용사 콜로키움』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이 됐으면하는 바람이다.
2025년 7월 저자
대학원의 세미나나 토론회가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저서 『무용사 콜로키움』은 일반적인 무용사 관련 저서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좀 더 심화되고 확장된 논의를 자유로이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둔다. 다양화, 다각화, 다변화되고 있는 동시대의 무용예술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의도도 함께 지니고 있다. 무용사, 무용비평, 무용원론, 무용감상, 무용세미나, 무용연구법 등의 교과에서 활용가능하리라 본다.
『무용사 콜로키움(The Colloquium of Dance History)』은 1998년부터 2025년까지 발표한 12개의 논고와 2개의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동안 다양한 컨셉의 무용사 관련 논문을 발표해 왔으며 이중 각 시대나 장르에서 특징적인 관점을 드러내는 원고를 추려놓았다. 무용역사기록학과 대한무용학회 논문집를 비롯하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한국무용사학, 영남춤학회지, 영상문화, 움직임의 철학, 무용예술학연구, 한국무용학회지 등에 수록한 논고이며, 부록은 한국춤평론가회 세미나에서 발표한 것이다. 사반세기가 넘는 기간에다가 각기 다른 학회지에 수록하다 보니 모든 원고의 서식이 다르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동안 맞춤법과 띄어쓰기등에 있어 크고 작은 변화가 있었다는 점 역시 고려해야 했다. 따라서 내용적인 전개에서 원전을 유지하면서 전체적인 형식 틀에서 수정 및 보완을 거쳤다.
무용사는 무용 이론의 기초가 되는 분야이며 현장에 대한 이해에서도 필수적인 영역이라는 점에서 진지하게 다뤄져야 한다. 일반적인 인식 이상으로 전문성이 매우 요구된다는 뜻이다. 2000년대 초부터 발표한 저서들에서 궁정발레를 다룸으로써 우리 무용계에서 서양 무용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확장되었다는 점에 대해서는 보람을 느끼는 바다. 이번 저서에서 낭만발레 이후 고전발레가 등장한 이유에 관한 고찰 역시 그러한 영향을 기대한다. 그밖에 프랑스 누벨바그와 누벨당스의 상관성 연구, 컨템포러리댄스에서 장소특정형과 이머시브적 접근, 이 시대 춤 실행의 다변화 현상에 대한 고찰, 동시대 창작의 주요 소재로서 인류세와 포스트휴먼담론 등을 통해 동시대 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빠르게 변화해 가는 동시대 춤에 관한 탐구는 이론가와 평론가뿐 아니라 무용가들에게도 중요해지고 있다. 『무용사 콜로키움』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이 됐으면하는 바람이다.
2025년 7월 저자
목차
1장 중세 무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 4
2장 프랑스 궁정발레에 내재한 정치적 목적에 관한 연구 18
3장 19세기 낭만발레 시대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성향 연구 36
4장 탈리오니가문을 통해 본 당대 무용계 특징 연구 56
-마리 탈리오니와 필립포 탈리오니를 중심으로
5장 발레에서 낭만주의 이후 고전주의가 등장한 이유에 대한 고찰 76
6장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의 발레뤼스에 나타난 종합예술적 특질 94
-「세헤라자데」를 중심으로
7장 마사 그레이엄의 「미궁으로의 사자」에 대한 분석 110
8장 <뉴욕 타임즈>의 무용평론가 존 마틴의 비평적 성향에 관한 연구 126
9장 포스트모던댄스의 예술적 특질에 관한 연구 144
-현대무용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10장 프랑스 누벨바그와 초기 컨템포러리댄스인 누벨당스의 상관성 연구 156
11장 장소특정적 무용공연의 예술적 특질에 관한 연구 172
-컨템포러리댄스에서 활용된 장소특정적 요소를 중심으로
12장 윌리엄 포사이드의 「헤테로토피아」에 나타난 194
이머시브적 요소에 관한 비평적 접근
[부록 1] 이 시대 춤 실행의 다변화 현상에 관한 고찰 214
[부록 2] 동시대 창작의 주요 소재로서 인류세와 포스트휴먼 담론 226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