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우리 몸
· ISBN : 9788962190731
· 쪽수 : 199쪽
· 출판일 : 2010-10-21
책 소개
목차
머리부터 발끝까지 우리 몸
인체의 특징- 사람만이 똑똑한 뇌를 가졌대 / 인체의 구성-머리부터 발끝까지 우리 몸 / 인체의 성분-우리 몸속에 물이 정말 많나? / 세포와 조직- 우리 몸의 세포는 어떤 일을 할까? / 기관과 기관계- 우리 몸에는 어떤 기관들이 있을까? / 살갗에는 왜 쭈글쭈글 주름이 있을까?
보고 듣고 냄새 맡는 감각 기관
감각의 종류-보고 듣고 냄새 맡는 감각 기관 / 눈과 시각-눈은 어떻게 사물을 볼까? / 코와 후각-코는 어떻게 냄새를 맡을까? / 귀와 청각-귀는 어떻게 소리를 들을까? / 혀와 미각-혀는 어떻게 쓴맛과 단맛을 구분할까? / 피부와 촉각-피부는 어떻게 아픔을 느낄까? / 우리 몸의 털은 몇 개나 될까?
내 몸의 중심 기둥 뼈와 근육
뼈의 종류-목뼈와 등뼈는 어떻게 다를까? / 뼈의 모양-넓적한 뼈는 어떤 일을 할까? / 우리 몸에서 가장 큰 뼈와 가장 작은 뼈는? / 뼈의 성질-부러진 뼈가 어떻게 다시 붙지? / 근육의 성질과 종류-근육은 우리 몸 어디어디에 있을까? / 근육의 역할-근육이 오므라들면 어떻게 되지? / 운동을 하면 왜 근육이 생길까?
돌고 도는 피 순환 기관
심장의 역할-심장은 왜 팔딱팔딱 뛸까? / 맥박은 어떻게 느낄 수 있나? / 혈관의 종류-동맥과 정맥에 다른 피가 흐를까? / 혈액의 성분과 성질-피는 왜 빨간색일까? / 혈액이 하는 일-혈액이 병균과 싸움도 한다고? / 혈압이 가장 높을 때와 낮은 때는? / 림프와 지라 -영양분 배달부 림프액 / 우리 몸의 혈액은 얼마나 있나? 기억력이 좋은 똑똑한 림프구 / 키가 크면 위나 장도 클까?
산소를 마시는 숨쉬기 운동 호흡 기관
호흡의 과정-숨을 쉬면 산소를 마시게 되나? / 코의 역할-숨 쉴 때 코는 어떤 일을 할까? / 콧구멍은 왜 아래로 향해 있을까? / 목구멍의 역할-목구멍은 공기와 음식물을 어떻게 나누지? / 기관과 기관지-기관을 따라가면 허파까지 갈 수 있나? / 허파의 역할-배로 숨 쉴까,가슴으로 숨 쉴까? / 허파는 공기를 얼마나 품을 수 있을까?
저자소개
책속에서
눈은 어떻게 사물을 볼까?
저건 빨간 꽃 ,저건 파란 하늘... ....비행기는 멀리 있고 ,차들은 가까이 있네.
이렇게 우리가 세상의 사물을 볼 수 있는 것은 눈이 있기 때문이야.
하우 박사님과 아이들이 드디어 눈에 도착했다는군. 과연 인체 탐험호에서 본 눈은 어떻게 생겼을까? 그리고 눈은 어떻게 세상을 볼 수 있는 것일까?
“자, 여기가 감각 기관 가운데에서 시각을 맡고 있는 눈이란다.”
“박사님, 눈은 꼭 공처럼 생겼어요.”
“그래, 눈은 동그란 공 모양이지. 하지만 이것은 안구(눈알)이고, 눈이 제 역할을 잘하기 위해선 눈꺼풀, 눈물샘, 안근(안구를 감싸고 있는 근육)등의 도움이 필요해. 눈이 자신이 맡은 일을 제대로 해내려면 무엇보다 안구가 건강해야 해. 하지만 안구를 보호하고, 움직이는 일을 하는 다른 조직들이 제 역할을 다 해야만 안구도 제대로 일을 할 수 있어. 얼굴을 정면으로 볼 때 안구는 그렇게 크게 보이지 않아. 사람에 따라 보이는 부분이 크게 다르기도 하고. 하지만 안쪽으로 들어가 보면 안구의 크기는 거의 비슷해. 보통 지름 2~2.5무게는 약 7그램 정도야. 안구는 바깥쪽에서 빛을 받아들여 안쪽에 있는 망막을 통해 받은 자극을 뇌로 전달함으로써 물체를 볼 수 있게 해 주지. 사실 우리가 물체를 보는 것은 그 물체에 반사된 빛을 읽는 거야. 그러니까 물체에 부딪쳐 반사된 빛은 각막과 동동을 거쳐 망막에 이르지. 망막 안쪽에는 빛을 느끼는 시게포가 넓게 펼쳐져 있어. 빛은 시세포를 흥분시키고, 이 흥분은 시신경을 통해 대뇌로 전해지면서 우리가 빛을 느끼게 되는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