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생물과 생명
· ISBN : 9788962221473
· 쪽수 : 187쪽
· 출판일 : 2009-05-2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이야기 12
꾸역꾸역 음식이 들어가는 입구 _ 입 16
1학년 1학기 _ 2. 나의 몸 : 우리 몸의 생김새 관찰
6학년 1학기 _ 3. 우리 몸의 생김새 : 우리 몸속 기관의 종류와 기능
●소화, 이렇게 연구했어요_‘땡땡땡’ 개에게 매일 종을 친 파블로프 42
꿈틀꿈틀 음식이 이동하는 길 _ 식도 44
1학년 1학기 _ 2. 나의 몸 : 우리 몸의 생김새 관찰
6학년 1학기 _ 3. 우리 몸의 생김새 : 우리 몸속 기관의 종류와 기능
●소화, 이렇게 연구했어요_네 가지 체액으로 사람의 기질을 나눈 갈레노스 60
쿨렁쿨렁 음식을 저장하는 주머니 _ 위 62
1학년 1학기 _ 2. 나의 몸 : 우리 몸의 생김새 관찰
6학년 1학기 _ 3. 우리 몸의 생김새 : 우리 몸속 기관의 종류와 기능
●소화, 이렇게 연구했어요_배에 난 구멍으로 위 속을 들여다본 버몬트 90
꼬불고불 소화와 흡수를 마무리하는 곳 _ 작은창자 92
1학년 1학기 _ 2. 나의 몸 : 우리 몸의 생김새 관찰
6학년 1학기 _ 3. 우리 몸의 생김새 : 우리 몸속 기관의 종류와 기능
●소화, 이렇게 연구했어요_소화에 대한 생각을 확 바꾼 베르나르 112
조용조용 소화를 도와주는 삼총사 _ 간, 쓸개, 이자 114
1학년 1학기 _ 2. 나의 몸 : 우리 몸의 생김새 관찰
6학년 1학기 _ 3. 우리 몸의 생김새 : 우리 몸속 기관의 종류와 기능
●소화, 이렇게 연구했어요_인슐린 발견에 이바지한 과학자들의 한마디 136
황금색 똥을 만드는 공장 _ 큰창자 138
1학년 1학기 _ 2. 나의 몸 : 우리 몸의 생김새 관찰
6학년 1학기 _ 3. 우리 몸의 생김새 : 우리 몸속 기관의 종류와 기능
●소화, 이렇게 연구했어요_젖산균이 장에 좋다는 것을 밝힌 메치니코프 162
뿌지직 똥을 내보내는 곳 _ 항문 164
1학년 1학기 _ 2. 나의 몸 : 우리 몸의 생김새 관찰
6학년 1학기 _ 3. 우리 몸의 생김새 : 우리 몸속 기관의 종류와 기능
●소화, 이렇게 연구했어요_몸무게의 변화로 먹은 음식이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한 산토리오 182
나가는 말 184
부록 : 한눈에 펼쳐 보는 소화 이야기 188
찾아보기 194
책속에서
손으로 갈비뼈를 한번 만져 보세요. 위는 이 갈비뼈 바로 아래에 들어 있고, 영어 알파벳 J자나 권투 장갑처럼 생겼어요. 위는 소화관 가운데 가장 넓을 뿐만 아니라 가장 잘 늘어나고 줄어드는 근육 주머니예요.
위는 들어오는 음식 양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데, 보통 접힌 주름이 활짝 펴지면 1.5리터짜리 페트병을 가득 채울 수 있는 양만큼 음식을 저장할 수 있어요. 위가 큰 사람은 4리터까지 저장할 수도 있다고 하니, 정말 대단하죠? -본문 65쪽 중에서
이제 똥은 정화조를 거쳐 하수 처리장으로 가요. 그리고 그곳에서 일정한 처리 과정을 거쳐서 땅에 묻히거나 비료로 만들어져요. 비료는 식물이 태양 빛을 이용해 영양분을 만들고 산소를 만들 수 있도록 잘 자라게 도와줘요. 그 식물을 우리가 다시 먹어요. 음식이 똥이 되고 똥이 다시 음식이 되는 거지요.
이처럼 우리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똥으로 자연에 되돌려 주고, 다시 자연으로부터 사용할 수 있는 음식을 얻어요. 자연에 있는 모든 것들은 이처럼 돌고 돌지요. -본문 181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