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문화/예술/인물 > 세계문화
· ISBN : 9788962221916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1-04-07
책 소개
목차
유네스코가 선정한 우리나라의 세계 문화유산 12쪽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 14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고장의 문화유산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선사 시대 사람들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최초의 국가 고조선
경주 역사 유적 지구 30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고장의 문화유산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삼국의 성립과 발전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삼국 통일과 발해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하나 된 겨레 _ 통일 신라와 발해 사람들
석굴암과 불국사 58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고장의 문화유산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다양한 문화를 꽃피운 고려 _ 불교의 영향과 고려 사람들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2. 다양한 문화를 꽃피운 고려 _ 고려의 과학과 기술
창덕궁 96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고장의 문화유산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조선의 건국과 한양
종묘 118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고장의 문화유산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3. 다양한 삶의 모습 _ 변화하는 전통 의례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조선의 건국과 한양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유교 전통과 신분 질서
수원 화성 138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고장의 자랑 _ 고장의 행사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고장의 문화유산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유교 전통과 신분 질서
조선 왕릉 160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고장의 문화유산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3. 다양한 삶의 모습 _ 변화하는 전통 의례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유교 전통과 신분 질서
한국의 역사 마을, 하회와 양동 178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고장의 자랑 _ 고장의 행사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_ 고장의 문화유산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3. 다양한 삶의 모습 _ 변화하는 전통 의례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유교 전통과 신분 질서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3. 유교 전통이 자리 잡은 조선 _ 조선 시대 사람들의 생활
한눈에 펼쳐 보는 부록 198쪽
찾아보기 및 사진 제공 202쪽
리뷰
책속에서
“마마, 큰일 났사옵니다.”
쓰러질 듯 들어선 김 내관의 얼굴이 하얗게 질려 있어요.
“무슨 급한 일이 있어 이리 소란스러운 게냐? 어서 말해 보아라.”
“마마. 후원에 호랑이가 나타나 궁인을 물었다고 합니다.”
“뭣이라! 대낮에, 그것도 궁궐에서 호랑이가 날뛴단 말이냐?”
…………
이 이야기는 창덕궁 후원의 자연 상태가 얼마나 건강했는지, 생태계가 얼마나 잘 유지되고 있었는지를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어요.
‘혼비백산’이라는 말을 들어 보았나요? 혼이 날아가고 몸(백)이 흩어진다는 뜻으로, 죽을 만큼 깜짝 놀란다는 의미예요. 우리 조상들은 사람이 살아 있을 때는 혼과 육체가 하나로 되어 있다가 죽으면 혼은 하늘로 올라가고 육체는 땅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조선 시대 사람들은 시신을 땅에 묻어 무덤을 만들고, 보이지 않는 혼을 모시기 위해 사당을 지어 제사를 지냈어요.
정조는 화성을 만드는 과정을 자세히 담은 보고서를 만들게 했어요. 그리하여 완성된 《화성성역의궤》에는 정약용의 설계도를 비롯해 처음 공사를 논의할 때부터의 진행 과정과 문서들, 왕의 의견이나 명령 등이 기록되어 있어요.
예를 들어, 어떤 건물에 벽돌이나 돌을 몇 장 썼는지, 벽돌의 모양은 어떤지, 나무는 어떤 나무를 썼는지, 돌과 나무는 어디서 가져왔는지, 공사에 참여한 사람은 누군지, 품삯은 얼마인지 하는 것들이요. 뿐만 아니라 화성에 있는 건물들과 거중기 같은 기계도 꼼꼼하게 그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