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 전학년 > 학습일반
· ISBN : 9788962221695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10-01-21
책 소개
목차
농사짓던 우리 조상들의 열두 달 세시 풍속 12쪽
● 봄
● 새해 첫날이에요 - 설날 18쪽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2.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_ 전해 오는 민속
(관련 단원) 4학년 2학기 _ 2. 가정 생활과 여가 생활 _ 여가 생활의 변화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_ 자연 환경을 이용한 생활
● 일 년 열두 달 보름 가운데 으뜸이에요 - 대보름 42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우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_ 자연을 이용하는 생활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2.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_ 전해 오는 민속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_ 자연 환경을 이용한 생활
(관련 단원) 5학년 2학기 _ 3. 우리 겨레의 생활 문화 _ 민속을 통해 본 조상들의 삶
● 일하는 사람의 날이에요 - 머슴날 66쪽
● 온 동네 여자들이 화전놀이 가는 날이에요 - 삼짇날 74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우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_ 자연을 이용하는 생활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2.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_ 전해 오는 민속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_ 자연 환경을 이용한 생활
● 하루 종일 찬밥만 먹어요 - 한식 82쪽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2.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_ 전해 오는 민속
(관련 단원) 6학년 2학기 _ 1.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_ 국민의 권리와 의무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_ 자연 환경을 이용한 생활
● 여름
● 부처님이 오신 날 등을 달아요 - 사월초파일 90쪽
(관련 단원) 5학년 2학기 _ 3. 우리 겨레의 생활 문화 _ 민속을 통해 본 조상들의 삶
● 나쁜 것을 쫓고 하루를 즐겨요 - 단오 98쪽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2.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_ 전해 오는 민속
(관련 단원) 4학년 2학기 _ 2. 가정 생활과 여가 생활 _ 여가 생활의 변화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_ 자연 환경을 이용한 생활
(관련 단원) 5학년 2학기 _ 3. 우리 겨레의 생활 문화 _ 민속을 통해 본 조상들의 삶
● 더위를 식히며 잠깐 쉬어요 - 유두 114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우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_ 자연을 이용하는 생활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_ 자연 환경을 이용한 생활
● 가을
● 머슴들의 휴일이에요 - 백중날 130쪽
(관련 단원) 4학년 2학기 _ 2. 가정 생활과 여가 생활 _ 여가 생활의 변화
(관련 단원) 6학년 1학기 _ 1. 우리 민족과 국가의 성립 _ 유교를 정치의 근본으로 삼은 조선
● 매일매일 오늘 같으면 좋겠어요 - 추석 140쪽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2.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_ 전해 오는 민속
(관련 단원) 4학년 2학기 _ 2. 가정 생활과 여가 생활 _ 여가 생활의 변화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_ 자연 환경을 이용한 생활
(관련 단원) 5학년 2학기 _ 3. 우리 겨레의 생활 문화 _ 민속을 통해 본 조상들의 삶
● 마을 사람 모두 모여 단풍놀이 가요 - 중양절 150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우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_ 자연을 이용하는 생활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_ 자연 환경을 이용한 생활
● 겨울
● 일 년 중 으뜸 달이에요 - 상달 162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우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_ 자연을 이용하는 생활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_ 자연 환경을 이용한 생활
● 작은설이에요 - 동지 172쪽
(관련 단원) 3학년 1학기 _ 2. 우리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 _ 자연을 이용하는 생활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2.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_ 전해 오는 민속
(관련 단원) 5학년 1학기 _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과 생활 _ 자연 환경을 이용한 생활
● 한 해를 마무리 하는 날이에요 - 섣달 그믐날 180쪽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2.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_ 전해 오는 민속
(관련 단원) 4학년 2학기 _ 2. 가정 생활과 여가 생활 _ 여가 생활의 변화
● 귀신이 없어 부정이 타지 않아요 - 윤달 185쪽
(관련 단원) 3학년 2학기 _ 2. 우리 고장의 전통 문화 _ 전해 오는 민속
부록 - 사계절과 24절기 190쪽
찾아보기 194쪽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순이는 조심스럽게 대문을 열고 나가 주위에 귀를 기울여요. 새해 아침에 처음 듣는 소리로 그해의 운수를 알 수 있거든요.
“까앗, 까앗.”
“야호, 까치 소리다! 새해에 까치 소리를 들으면 행운이 온다고 했으니 올해 농사도 풍년이 들 거야. 얼른 아버지한테 말씀드려야지!”
설날에는 이렇게 새해 새벽에 거리를 돌아다니다가 처음 들려온 사람이나 동물의 소리로 그해의 운수를 점쳐요. 이것을 청참이라고 해요. 청(聽)은 듣는다는 뜻이고, 참(讖)은 점을 친다는 뜻이에요. 까치 소리를 가장 먼저 들으면 그해에 풍년이 들 거라고 여기고, 참새나 까마귀 소리를 가장 먼저 들으면 흉년이 들고 불행이 있을 조짐이라고 여겼어요. 그리고 사람의 소리를 들으면 평소처럼 수확을 하고 행운도 불행도 없다고 해요.
음력 8월은 쌀을 수확하고 온갖 과실이 많이 나오는 달이에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이 있듯이 먹을 것이 풍성하고 날씨가 좋아 생활하기에 놓은 시기랍니다. 1년 가운데 그 어느 때보다도 풍요로워 조상님에게 감사하면서 밝은 달 아래에서 다양한 행사를 치렀어요.
우리 민족이 추석을 명절로 삼은 유래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에 자세히 나와 있어요. 신라 제3대 유리왕 때의 일이에요. 왕의 딸 두 명이 편을 갈라 길쌈(옷감 짜기) 대회를 열었어요. 음력 7월 보름부터 8월 보름까지 한 달 동안 옷감을 많이 짠 편이 이기는 대회였지요. 지는 편은 술과 음식을 마련해서 이긴 편에게 대접하고 함께 춤을 추고 노래도 불렀어요. 이를 가배라고 했어요. 이 풍속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 추석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