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래서 이런 수학이 생겼대요

그래서 이런 수학이 생겼대요

(이야기로 배우는 수학의 역사)

우리누리 (지은이), 강경수 (그림), 이정 (감수)
길벗스쿨
1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900원 -10% 2,500원
550원
11,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7,700원 -10% 380원 6,550원 >

책 이미지

그래서 이런 수학이 생겼대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래서 이런 수학이 생겼대요 (이야기로 배우는 수학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초등 수학
· ISBN : 9788962225266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3-04-12

책 소개

동서양 수학의 역사를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담았다. 인류가 수를 세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였는지, 우리가 쓰고 있는 숫자는 어떻게 탄생했는지, 도형은 왜 연구하게 되었는지, 수학 계산은 어떻게 발달했는지를 재미있는 네 칸 만화와 이야기로 들려준다.

목차

1장 인류의 위대한 문화유산, 수
아주 먼 옛날, 사람들은 수를 세지 못했어요- 수 감각 12
돌멩이를 이용해 수를 표시했어요 - 일대일 대응 14
큰 수를 간단하게 표현했어요 - 수메르의 숫자 18
손가락으로 수를 세면서 탄생했어요 - 10진법 20
다섯 개씩 묶어서 세면 편리해요 - 5진법 22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60진법을 썼대요 - 60진법 24
사물의 모양을 보고 만들었어요 - 이집트 상형 숫자 26
악마의 마술이라고요? - 인도-아라비아 숫자 28
가장 위대한 숫자의 탄생 - 숫자 0 32
1000은 우리말로 ‘즈믄’이에요 - 수를 나타내는 우리말 34

2장 계산은 이렇게 발전했대요
물건을 나누면서 탄생했어요 - 분수 38
복잡한 방정식을 기호로 표시했어요 - 수학 기호의 탄생 40
사칙 연산을 기호로 나타냈어요 - +-×÷의 탄생 42
인쇄업자가 정했어요 - 미지수 ‘x’ 44
엄청나게 불어난 밀알의 수 - 거듭제곱 46
이자를 쉽게 계산하기 위해 태어났어요 - 소수 48
눈 깜짝할 새 1부터 100까지 더했어요- 가우스의 덧셈법 50
아들아, 은밀하게 공부하도록 해라 - 구구단 52
고려 사람들도 분수 계산을 했대요 -《구장산술》속 분수 54
볏단을 얼마나 주어야 할까요? - 《구장산술》속 방정식 56
우리 조상들이 사용했던 편리한 계산기 - 산가지 58
기계식 계산기가 처음으로 탄생했어요 - 파스칼린 60

3장 놀라운 도형의 세계
새롭게 토지를 나누면서 생겨났어요 - 기하학 64
삼각형을 이용해 육지와 배 사이의 거리를 쟀어요- 삼각형의 합동 66
막대기 하나로 피라미드의 높이를 쟀어요 - 삼각형과 비례식의 성질 70
직각삼각형의 성질을 증명해 냈어요 - 피타고라스의 정리 74
동양에도 피타고라스의 정리가 있었대요 - 구고현 정리 78
정오각형 속 별에 숨어 있는 비밀- 황금비 80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수학책 - 유클리드의《원론》 84
내 도형을 망치지 마라 - 아르키메데스와 원 86
아르키메데스, 최초로 원주율을 계산하다 - 원주율Ⅰ 88
원주율을 계산한 수학자들 - 원주율Ⅱ 90
원과 비례식을 이용하여 지구의 둘레를 재다- 원과 비례식 92
색종이로 삼각형 내각의 합을 증명했어요 -삼각형 내각의 합 94
가장 넓은 땅을 차지하려면? - 원의 비밀 96
꿀벌은 왜 정육각형 모양의 집을 지을까요? - 정육각형의 비밀 98
부피가 2배인 아폴론 신의 제단을 만들라 -정육면체의 부피 100

4장 흥미진진한 측정.확률.통계 이야기
사람의 신체는 가장 오래된 줄자 -신체와 단위 104
진시황제, 중국 통일과 함께 도량형도 통일하다 -중국의 도량형 106
암행어사의 필수품, 유척 - 유척 108
전 세계의 단위를 하나로 통일해야 하오 -미터법 110
유레카! 유레카! - 물체의 부피 112
먹는 만큼 똥을 누는 걸까? - 몸무게 측정 114
도박에서 시작되었어요 - 확률 116
윷놀이를 하면 왜 걸과 개가 자주 나
올까? - 경우의 수와 확률 118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겨났어요 -통계 122

5장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
미궁에서 탈출하는 방법 - 미로와 수학 126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건너기 - 한붓그리기 130
일식이 일어나는 날짜를 예언했어요 - 천문학과 수학 132
망치 소리를 듣고 음계를 만들어 냈어요- 음악과 수학 134
아킬레우스와 거북이의 경주 - 제논의 역설 136
나는 이미 진리와 결혼했습니다 - 최초의 여성 수학자 138
1년 후 토끼는 몇 마리일까요? - 피보나치 수열 140
산학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면 불이익을 내리겠노라 -세종대왕과 수학 144
이 문제를 한번 풀어 보시겠습니까? - 수학 대결 146
병사들이 몇 명이나 남았을까? - 공배수와 최소공배수 150
물고기는 몇 마리나 있을까? - 비례식의 성질 154
힐베르트 호텔에 어서 오세요 - 무한 156
파리를 보고 좌표를 탄생시켰어요 - 좌표 158
수학자 뉴턴의 위대한 발견 - 미적분Ⅰ 160
두 위대한 수학자의 싸움 - 미적분Ⅱ 162
이 탑을 다 옮기면 지구가 멸망한대요 -하노이의 탑 164
마법 같은 수학 - 마방진 166
걸리버는 밥을 얼마나 먹어야 할까? - 식사량 계산하기 168
동물도 수에 대한 감각이 있을까? - 동물과 셈 170

부록
수학 용어 사전 172
교과 연계표 178

저자소개

우리누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린이를 위한 동화부터 지식·정보책까지 폭넓은 분야의 책을 집필하는 전문 작가 모임입니다. 언제나 어린이의 눈높이로 세상을 보고, 그것을 글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오십 빛깔 우리 것 우리 얘기」 시리즈, 「Go Go 지식 박물관」 시리즈, 「우리 역사 박물관」 전집, 『아빠 법이 뭐예요?』 등이 있습니다. 「그래서 생겼대요」 시리즈는 우리누리의 대표작입니다. 이 책을 읽고 어린이에게 꼭 필요한 사회 상식을 재미있게 익혀 보세요.
펼치기
강경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낙서와 공상, 글쓰기를 좋아합니다. 만화를 그리면서 그림을 시작했고, 그동안 많은 동화책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쓰고 그린 책으로 볼로냐 라가치 상을 받은 《거짓말 같은 이야기》와 《고민 해결사 펭귄 선생님》, 《꽃을 선물할게》, 《당신의 빛》, <코드네임> 시리즈 들이 있고, 지은 책으로 청소년 소설 《오늘 밤은 스웩이 넘칠 거야》 들이 있습니다.
펼치기
이정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초등 수학 교육을 전공하였습니다. 서울에 있는 대광초등학교에서 수학이 얼마나 재미있는 과목인지 아이들에게 가르쳐 주고자 매일 고군분투 중입니다. 영재교육 교사, 수학 교사 연수, 보드게임 연수 등 일반 교사의 초등 수학 교육 역량 강화 연수를 매년 담당하며 ‘학교 선생님을 가르치는 선생님’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20여 년간 교실 현장을 누비며 아이들을 지도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수학이 막막하고 어려운 부모와 아이에게 초등 수학의 기초를 탄탄히 잡아주는 현실적인 수학 지도법을 전하고 있습니다. 2007·2009·2015 개정 교육 과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집필진으로 참여했으며, 저서로는 《초3 수학의 힘》 《참 쉬운 수학사전》 《수학일기 쓰기》 《옷과 음식에도 단위의 비밀이 있다고?》 《초등수학 뒤집기》 《진짜 공신들만 아는 초등 연산법》 《정리 끝! 교과서 수학 비교 사전》 《동물원이 좋아요》 《숫자가 보여요》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람들이 모여 살기 시작하자 수의 개념이 발달했어요
사냥을 하고 채집 생활을 하던 선사 시대 사람들은 차츰 농사를 짓고 가축을 키우기 시작하면서 모여 살게 되었어요. 그러다 보니 가축이나 물건의 수, 함께 사는 무리의 수 등을 셀 필요가 생겼고, 수의 개념도 함께 발전하게 되었지요.


인도-아라비아 숫자는 처음에는 환영받지 못했대요
인도-아라비아 숫자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숫자예요. 인도에서 발명했고 아라비아 상인들이 유럽에 전파했으며 차츰 전 세계로 퍼져 나가 널리 쓰이게 되었지요. 그런데 인도-아라비아 숫자가 처음 유럽에 전해졌을 때는 탄압을 받았어요. 당시 유럽의 지도층인 교회와 성직자들이 기독교가 아닌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쓰는 숫자를 인정하지 않았지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