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비뇨기과
· ISBN : 9788962787351
· 쪽수 : 333쪽
· 출판일 : 2013-05-10
목차
1장 서문 9
2장 사정액의 비펩티드 성분 21
1. Citric Acid 21
2. Fructose 22
3. Polyamines 22
4. Phosphorylcholine 23
5. Prostaglandins (PGs) 24
6. Cholesterol and Lipid 24
7. Zinc 25
3장 전립선 분비 단백질 31
1.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31
1) 전립선특이항원의 측정 주기 37
2) 전립선특이항원의 역할 38
3) 전립선암의 선별검사 55
4) 전립선특이항원 농도와 전립선암 위험도 사이 연관성 60
5) 전립선특이항원 농도에 영향을 주는 조작 및 기타 인자들 61
6) 임상 질환에서 전립선특이항원과 관련하여 고려할 사항 67
7) 항생제와 전립선특이항원 70
8) 대사증후군 혹은 비만과 전립선특이항원 71
9) 전립선암 치료 후 추적관찰과 전립선특이항원 74
10) 전립선암의 치료 실패와 전립선특이항원 77
11) 전립선특이항원과 hK2의 전립선 외 근원지 84
2. Human Kallikrein 2 (hK2) 85
3. Human Kallikrein L1 (KLK-L1) 88
4. Human Kallikrein 11 (hK11) 88
5. Prostate-Specific Transglutaminase (PST) 90
6. Semenogelin Ⅰ and Ⅱ (SEMG1 & SEMG2) 91
7.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96
8. Prostate Stem Cell Antigen (PSCA) 97
9. Prostatic Acid Phosphatase (PAP) 98
10. Prostate-Specific Protein 94 (PSP-94) 100
11. Leucine Aminopeptidase (LAP) 100
12. Lactate Dehydrogenase (LDH) 101
13. Immunoglobulins (IGs), C3 Complement, Transferrin 102
14. Relaxin 103
15. 전립선 분비물과 약물 운반 104
4장 정낭 분비 단백질 109
5장 부고환과 분비액 119
1. 부고환에 관한 진화론적 고찰 119
2. 부고환의 기능 121
1) 정자의 운반 121
2) 정자의 저장 121
3) 정자의 성숙 122
4) 부고환의 기능에 관여하는 인자들 128
3. 부고환 기능의 조절 129
6장 구부요도선 (COWPER 선)과 분비액 135
1. 선천성 질환 136
1) 관낭종 136
2. 후천성 질환 137
1) 구부요도선염 혹은 쿠퍼선염 137
2) 결석 137
3) 신생물 137
3. 진료 시 유의 사항 138
4. 정리 138
7장 사정액의 응고와 액화 141
8장 전립선암의 종양 표지자 147
1.Kallikrein Tumor Markers 149
1)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151
2) KLK2 (Human kallikrein 2, hK2) 151
3) KLK4 (Human kallikrein 4, hK4) 152
4) KLK5 (Human kallikrein 5, hK5) 152
5) KLK7 (Human kallikrein 7, hK7) 153
6) KLK5 and KLK7 154
7) KLK10 (Human kallikrein 10, hK10) 154
8) KLK11 (Human kallikrein 11, hK11) 155
9) KLK14 (Human kallikrein 14, hK14) 155
10) KLK15 (Human kallikrein 15, hK15) 156
11) Others 156
2.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157
3. Prostate Stem Cell Antigen (PSCA) 157
4. Prostatic Acid Phosphatase (PAP) 157
5. Early Prostate Cancer Antigen (EPCA) 157
6. Autoantibody 158
7. 유전자 발현과 단백질체학 160
1) α-Methylacyl coenzyme A racemase (AMACR) 160
2) Prostate and breast overexpressed gene 1 (PBOV1) or UROC28 160
3) Hepsin 163
4) Prostate cancer antigen 3 (PCA3) 165
5) Nuclear matrix protein (NMP) 48 170
6) Glutathione-S-transferase-1 hypermethylation 172
7) Golgi membrane protein (GOLM) 1 172
8) Serine protease inhibitor Kazal type 1 (SPINK1) 174
9) Zinc-alpha2-glycoprotein 1 (AZGP1) and
human chromosome-associated polypeptide subunit D3 (hCAP-D3) 175
10) Annexin A3 (ANXA3) 175
11) Gene fusion/translocation markers 177
12) Ser217Leu polymorphism of the HPC2/ELAC2 gene 180
13) Interfocal heterogeneity of PTEN/MMAC1 gene alterations 181
14) Human papilloma virus DNA and p53 gene mutation 182
15) Talin1 183
16) MicroRNAs (miRNAs) 185
17) Clusterin 190
18) Caveolin-1 192
19) 5 alpha-Reductase 197
20) Interleukin-6 (IL-6) 199
21)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201
22)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TERT) 202
23) Trefoil factor 3 (TFF3) 202
24) Aldo-keto reductase family 1, member C1 (AKR1C1) 203
25) β-Thymosin 203
26) Others 207
27) Multiplexed assay for several markers 210
8. 암유전자와 관련 있는 성장인자와 수용체 212
1)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amily of peptides and receptors 214
2)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family of peptides and receptors 215
3)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family of peptides and receptors 216
4)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family of peptides, receptors,
and binding proteins 218
5) Nerve growth factor (NGF) family of peptides and receptors 219
6)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receptor 220
7)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and receptor 221
8) Other growth factors 221
9. 응혈 및 섬유소 용해 222
1) 전립선암에서 응혈 시스템의 활성 223
2) 응혈 관련 인자와 전립선암의 진행 224
3) 혈장 조직인자 항원 225
4) 전립선암에서 섬유소 용해 시스템의 역할 226
5) 전립선암에서 기타 혈액학적 지표 227
6) 전립선암의 혈관형성에서 응혈과 섬유소 용해 시스템 활성의 역할 228
7) 결론 229
10. 안드로겐 결핍증 (생식선저하증) 229
11. 대사체학 232
1) 종양학에서 생물지표로서의 대사체학 234
2) 건강한 전립선과 병적인 전립선의 생리 237
3) 전립선암에서 대사체 분석 위한 생체외 실험 238
4) 전립선암에서 생물지표로 유망한 단일 대사물 239
5) 생체외 실험에서 생물체액의 대사체 분석 241
6) 생체 실험에서 전립선암의 대사체 분석 242
7) MRI와 MRSI의 임상적 활용 244
8) 추정 생물지표들의 타당성 246
9장 보충 사항 249
1. Gleason 등급 249
1) Gleason 등급 부과 시스템 249
2) Gleason 시스템 수정안 251
3) 침생검 및 근치전립선절제술의 Gleason 점수 비교 254
4) Gleason 등급의 가치 256
2. 전립선 생검 258
1) 전립선 생검의 적용대상 및 금기대상 259
2) 전립선 생검의 종류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