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칸트
· ISBN : 9788963248417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제1장 칸트 윤리학의 근본적 균열과 그 연결고리
제1절 서론
제2절 칸트 윤리학의 형식주의와 실질주의
제3절 형식적 의무와 실질적 덕목의 결합 근거
제4절 결론
제2장 칸트 윤리학에서 보편적 법칙의 법식과 목적 자체의 법식은 동일한가?
제1절 서론
제2절 보편적 법칙의 법식과 목적 자체 법식의 동일성에 도달하는 칸트의 논리
제3절 보편적 법칙의 법식과 목적 자체의 법식은 과연 동일한가?
제4절 두 법식의 동일성과 예지적 존재
제5절 결론
제3장 칸트 도덕철학의 자율적 자유 개념의 루소적 기원
제1절 서론
제2절 루소의 인간본성론과 자유
제3절 자연적 자유
제4절 사회적 자유
제5절 도덕적 자유
제6절 칸트에 있어 자율적 자유의 세 가지 구성요소와 루소
제7절 결론
제4장 칸트 도덕철학의 관점에서 본 현행 인성교육의 문제점
제1절 서론
제2절 칸트 윤리학에서 인격성, 도덕성 그리고 자유
1) 도덕성의 근거로서의 자유
2) 실천이성(의지)과 도덕법칙
3) 인격성의 근거로서의 자유
제3절 칸트의 인성교육론
1) 인간은 자유존재임을 각성하게 함
2) 책임지는 존재로 교육함
3) 인격을 목적으로 대우하도록 교육함
4) 도덕법에 대한 존경심에서 행위하도록 교육함
5) 준칙이 보편적 법칙이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자세를 기르도록 교육함
제4절 칸트적 도덕철학의 관점에서 본 현행 ‘인성교육’의 문제점
1) 봉사활동 점수화의 문제점
2) 도덕교육 분산의 문제점
3) 습관 들이기식 훈련 위주 도덕교육의 문제점
제5절 결론
제5장 도덕성의 본질에 대한 물음: 칸트, 아리스토텔레스, 정의주의
제1절 서론
제2절 예비적 고찰
제3절 칸트와 이성의 학문으로서의 윤리학
1) ‘도덕의 형이상학(Metaphysik der Sitten)’으로서의 <실천이성비판>
2) 형식주의 윤리학으로서 <실천이성비판>
제4절 정의주의(emotivism)와 감정표출로서의 도덕성
제5절 아리스토텔레스와 합당성으로서의 도덕성
제6절 세 가지 입장에 대한 평가
1) 칸트의 절대주의 윤리설의 문제점
2) 정의주의의 문제점
제7절 결론
부록: 칸트철학의 핵심어 번역 문제
제1절 서론
제2절 transzendental에 대한 기존의 번역 관행
제3절 transzendental을 ‘초월적’으로 번역하면 왜 안 되는가?
제4절 a priori의 번역어 문제
제5절 transzendent, Verstand, Eindildungskraft 번역어 문제
제6절 결론
이 글의 출처
참고문헌
용어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