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평화·통일을 열어가는 사람들

평화·통일을 열어가는 사람들

윤충로, 송치욱, 한성훈 (엮은이), 권문수, 김원백, 김지영, 정근
진인진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850원 -5% 0원
1,150원
20,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평화·통일을 열어가는 사람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평화·통일을 열어가는 사람들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63475066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2-05-30

책 소개

다양한 민간영역에서 남북교류활동을 해온 분들의 활동을 인터뷰를 통해 기록한 구술자료집이다. 한국학진흥사업단에서 추진하는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현대한국구술사연구’의 결과물로 구성된 시리즈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고도화연구 구술자료집’ 1권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Ⅰ. 통일딸기 사업으로 일군 남북 농업의 꿈(권문수)

1. 경남통일농업협력회 설립과 남북교류
2. 장교리 육묘장 건립과 지원
3. 장교리 육묘장 현황과 딸기 재배
4. 삼석구역 딸기 농사와 천동국영농장 볍씨지원사업
5. 통일딸기 사업, 우리 모두의 것
6. 통일딸기 사업과 남북교류협력의 중요성
7. 장교리소학교 시설 개선과 ‘꿈이 열리는 종이나무’사업 그리고 콩우유공장 건립
8. 경남통일농업협력회의 북한교류협력사업 특징
9. 시민사회단체의 남북교류와 통일부의 역할
Ⅱ. 우리의 마음 길, 머릿속 길을 열어야지요(김원백)
1. 캐나다 이민과정과 북한 나무심기 운동에 대한 관심 형성
2. 북한에 캐나다 포플러 나무를 심다
3. 북한의 산림관리제도
4. 초기 양묘사업 지원과 문제점 돌출
5. 애국양묘장 사업과 2000년대 중반까지의 사업성과
6. 캐나다 동포 사회의 대북 인식과 해외 동포로서의 조국애
7. 남측 지원 사업과 대북관계 설정의 문제들
8. 남북 경제 협력의 필요성
9. 남북의 적대를 넘어서
Ⅲ. 우리가 하나 되는 것은 우리 모두의 과제(김지영)
1. 가정 환경 및 성장 과정
2. 대학졸업, 결혼을 하면서 일본으로 이주
3. 재일 간첩조작 사건(최철교 사건)과의 연루
4. 한국민주통일연합(한민통) 활동의 계기
5. 재일 활동가로서의 자녀 교육
6. 『민족시보』와 〈재일한국민주여성회〉의 활동
7. 30년만의 고국방문
8. 남북화해기류의 반향과 방북 경험
9. 방북 이후 남북 경색과 그에 따른 활동 및 변화
10. 최근 북미관계와 한국 내부 정치지형 변화에 대한 평가
11. 최근 한일관계 경색 국면에 대한 평가 및 민주화통일 운동 지속의 변수들
12. 사회운동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와 한통련의 전망
Ⅳ. 의료는 남북관계를 여는 열쇠(정근)
1. 그린닥터스(GREEN DOCTORS)의 출발과 북한에 대한 관심
2. 그린닥터스 개성병원 설립과 남북협력병원
3. 남측 의료진 확보 과정과 의약품 공급
4. 의료 시설·체계의 구축과 의료 교류
5. 남측 진료에 대한 북측 주민들의 반응과 북측 의료 현황
6. 정부 지원 없는 민간의료 지원의 힘과 남측 의료진의 참여 후기
7. 의료 지원을 위한 우회로와 결핵병원
8. 북측 결핵문제의 심각성과 의료를 통한 통일운동

저자소개

윤충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역사사회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45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의 국가형성사를 주제로 한 박사논문을 다듬어 《베트남과 한국의 반공독재국가형성사》(2005)를 썼고, 이 책으로 2007년 제2회 김진균상을 수상했다. 박정희 시대의 사회사와 그 이후의 영향, 특히 한국의 베트남전쟁 문제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베트남전쟁의 한국 사회사》(2015)를 펴낸 바 있다. 한성대학교, 성공회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일했고, 현재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송치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16세기 조선의 下學論 硏究 - 南冥 曺植과 來庵 鄭仁弘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저로 「물러남(處)의 정치학: 유자(儒者)와 국가권력, 그 적절한 거리(距離)의 모색-조선 중기 남명 조식의 출처(出處)를 중심으로-」 「실(實)/허(虛) 개념으로 본 덕계 오건의 정치사상: 허위의 시대를 살아간 한 지식인의 고민과 실천」 『합천지역의 남명학파』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한성훈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펼치기
권문수 ()    정보 더보기
(사)경남통일농업협력회 사무총장
펼치기
김원백 ()    정보 더보기
푸른통일조국가꾸기운동 대표
펼치기
김지영 ()    정보 더보기
<민족시보> 논설위원, 주필
펼치기
정근 ()    정보 더보기
(재)그린닥터스 이사장
펼치기

책속에서

평화·통일을 열어가는 사람들
이 구술자료집은 한국학진흥사업단에서 10년 계획으로 진행하고 있는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현대한국구술사연구’의 연구결과물이다. 2019년 시작된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고도화 연구단(이하 현대한국구술자료관)’은 ‘구술자료의 특성을 반영한 관리체계 구축’, ‘구술자료의 활용성 제고’, ‘전문적인 구술자료관 구축’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대한국구술자 료관은 수집된 구술자료의 연구·활용도를 높이고, 대중적 성과확산을 도모하기 위해 ‘구술 자료 아카이브 구축’ 사업에서 생산·아카이브화 된 구술자료를 선별하여 구술자료집을 발 간키로 했다. 이 책은 그 첫째 권이다.
이 책은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연세대학교의 ‘평화통일운동과 남 북교류협력 구술채록 사업’ 1차년 수집 자료를 토대로 했다. 연세대학교 수집 연구단은 “한 반도의 분단을 뛰어넘는 다양한 경험들을 종합적으로 구술채록, 정리함으로써 한반도 평화 공동체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며, 남북과 해외 한인을 포괄하는 탈냉전 현대사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1945년 이후 남북분단의 질곡을 극복하기 위해 펼쳐진 평 화통일운동과 남북교류협력의 경험을 구술자료로 집적”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고려하여 해외동포 2명을 포함한 총 4명의 구술자를 선별했다. 구술자들은 농업 교류, 북측 지역 나무심기 운동, 해외동포 평화통일·민주화운동, 의료협력 및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 서 남북교류·협력, 분단극복을 위해 노력해온 분들이었다.
부족하나마 이 책이 ‘한반도 평화공동체 수립’과 ‘탈냉전 현대사 연구’를 위한 하나의 밑돌 이 되기를 희망한다.
<들어가는 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