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67373793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3-12-0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장 『홍범연의』의 이상국가론
머리말 | 현실 인식과 유신론 | 『홍범연의』의 편찬과 구성 | 『홍범연의』의 국가론 | 맺음말
2장 『홍범연의』의 사상사적 특징에 대한 연구 -「황극」 편과 「삼덕」 편을 중심으로
서론 | 정치사상의 한 분석틀로서 수기/치인 | 『홍범연의』 「황극」 편과 「삼덕」 편의 구성과 특징 | 17세기 경세사상의 지형과 『홍범연의』 | 「황극」 편의 내용적 특징 | 결론
3장 『홍범연의』의 구성과 주자학적 특징 - 「계의」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 저술 의도와 존고적 성격 | 주자학적 관점이 반영된 주석-「계의」를 중심으로 | 결론
4장 『홍범연의』의 찬집과 교정 그리고 간행 -212년의 여정
서론 | 존재와 갈암의 찬집 | 밀암의 교감 | 냉천과 대산의 교감 | 갈암의 관작 회복과 『홍범연의』 간행 | 결론
5장 17세기 화폐 유통 시도와 『홍범연의』의 화폐론
머리말 | 『홍범연의』 속 화폐의 유용성 | 17세기 조선의 화폐 발행 논의와 한계 | 상평통보의 발행과 성공 요인 | 화폐 정책의 문제와 『홍범연의』의 논의 | 맺음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홍범연의』 서술의 중심은 제5주 황극이다. 황극 앞에 네 가지인 오행, 오사, 팔정, 오기는 건극建極을 위한 것이고, 삼덕, 계의, 서징, 오복육극은 황극에서 나온 것들이라고 하였다. 그런 만큼 『홍범연의』의 황극을 중심에 놓고 이해해야 한다. 황극은 임금이 인간으로서의 도리가 되는 표준으로, 표준을 세우는 것은 개인적 차원인 수기가 아닌 제도적 장치를 통해 통치행위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런 제도적 장치를 담고 있는 것이 3주 팔정이다. 팔정에서는 먼저 제사와 빈례 등을 통해 예치사회를 이루고, 학교 등을 통해 교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어 왕도정치에 중요한 먹을거리의 문제를 제기하며, 정전井田을 행할 수는 없으나 이에 준하는 균분均分과 항산恒産을 추진하였다. 농사를 권장하면서 식량 비축을 늘리고 수리 공사를 일으키며 절약하는 사회를 제기하였고, 백성들과 이익을 다투지 않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군사제도는 병농일치적인 부병제를 이상적으로 제시하였다.
『홍범연의』 서술의 중심은 제5주 황극이다. 황극 앞에 네 가지인 오행, 오사, 팔정, 오기는 건극建極을 위한 것이고, 삼덕, 계의, 서징, 오복육극은 황극에서 나온 것들이라고 하였다. 그런 만큼 『홍범연의』의 황극을 중심에 놓고 이해해야 한다. 황극은 임금이 인간으로서의 도리가 되는 표준으로, 표준을 세우는 것은 개인적 차원인 수기가 아닌 제도적 장치를 통해 통치행위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런 제도적 장치를 담고 있는 것이 3주 팔정이다. 팔정에서는 먼저 제사와 빈례 등을 통해 예치사회를 이루고, 학교 등을 통해 교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어 왕도정치에 중요한 먹을거리의 문제를 제기하며, 정전井田을 행할 수는 없으나 이에 준하는 균분均分과 항산恒産을 추진하였다. 농사를 권장하면서 식량 비축을 늘리고 수리 공사를 일으키며 절약하는 사회를 제기하였고, 백성들과 이익을 다투지 않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군사제도는 병농일치적인 부병제를 이상적으로 제시하였다.
유학은 군주의 덕으로 감화시키는 정치를 이상적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군주의 덕이 어떻게 드러나야 하는지는 생략되어 있다는 점이다. 궁중 속에서 아무리 덕이 있는 군주가 있다고 한들 이것이 어떤 유위有爲한 정치를 통해 드러나지 않는다면 백성들은 그 군주가 덕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점에서 『홍범연의』에서는 군주의 덕은 제도를 통해 세상에 드러나야 한다고 말한다. 그를 위하여 왕후, 세자, 직관 등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먼저 천자뿐만 아니라 왕후 또한 국가 질서를 유지하는 중요한 존재임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