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홍범연의

홍범연의

이근호, 송치욱, 김정철, 김방울, 임성수 (지은이), 한국국학진흥원 연구사업팀 (기획)
은행나무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홍범연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홍범연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67373793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3-12-08

책 소개

국학자료 심층연구 총서 24권.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철학, 사학, 문학 등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꾸린 공동연구팀이 영남 지역의 유력한 유학자들이 200여 년간 집필하여 조선 시대 대표적인 경세서로 자리매김한 『홍범연의』를 다방면으로 연구한 결과물이다.

목차

책머리에

1장 『홍범연의』의 이상국가론
머리말 | 현실 인식과 유신론 | 『홍범연의』의 편찬과 구성 | 『홍범연의』의 국가론 | 맺음말

2장 『홍범연의』의 사상사적 특징에 대한 연구 -「황극」 편과 「삼덕」 편을 중심으로
서론 | 정치사상의 한 분석틀로서 수기/치인 | 『홍범연의』 「황극」 편과 「삼덕」 편의 구성과 특징 | 17세기 경세사상의 지형과 『홍범연의』 | 「황극」 편의 내용적 특징 | 결론

3장 『홍범연의』의 구성과 주자학적 특징 - 「계의」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 저술 의도와 존고적 성격 | 주자학적 관점이 반영된 주석-「계의」를 중심으로 | 결론

4장 『홍범연의』의 찬집과 교정 그리고 간행 -212년의 여정
서론 | 존재와 갈암의 찬집 | 밀암의 교감 | 냉천과 대산의 교감 | 갈암의 관작 회복과 『홍범연의』 간행 | 결론

5장 17세기 화폐 유통 시도와 『홍범연의』의 화폐론
머리말 | 『홍범연의』 속 화폐의 유용성 | 17세기 조선의 화폐 발행 논의와 한계 | 상평통보의 발행과 성공 요인 | 화폐 정책의 문제와 『홍범연의』의 논의 | 맺음말

저자소개

이근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국사학과 부교수. 국민대학교에서 「영조대 탕평파의 국정운영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경기도의 세거성씨』 『공公, 천하의 기준이 되다』 외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영조 어제훈서류의 현황과 가치」 「조선후기 공신 녹훈의 정치적 배경」 「17세기 중반 홍여하의 정치 활동과 정치운영론」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정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국학진흥원 전임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남계 박세채의 『범학전편(範學全篇)』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로 조선시대 홍범(洪範) 관련 자료를 연구하고 있다. 논저로 「박세채 『範學全篇』의 판본과 구성 고찰」 「낙저 이주천 「신증황극내편(新增皇極內篇)」의 특징과 가치」 「『홍범황극내편보해(洪範皇極內篇補解)』의 판본과 이순(李純)의 상수역학」 등이 있다.
펼치기
송치욱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16세기 조선의 下學論 硏究 - 南冥 曺植과 來庵 鄭仁弘을 중심으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저로 「물러남(處)의 정치학: 유자(儒者)와 국가권력, 그 적절한 거리(距離)의 모색-조선 중기 남명 조식의 출처(出處)를 중심으로-」 「실(實)/허(虛) 개념으로 본 덕계 오건의 정치사상: 허위의 시대를 살아간 한 지식인의 고민과 실천」 『합천지역의 남명학파』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방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에서 법학,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문화재관리학을 공부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고문헌관리학과에서 불교서지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청주대학교,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에서 강의를 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전임연구원을 역임했다. 주로 동아시아 문헌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저·역서로 『17세기 조선 로열패밀리의 결혼』(공역), 『홍범연의』(공저), 『17세기 조선 왕실 가족의 혼례-가례등록·명안공주가례등록』(공저) 외에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펼치기
임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평택대학교 피어선칼리지 조교수. 고려대학교에서 「조선후기 호조의 재정운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복궁중건 천일의기록』 『다산학사전』 『쉽게 읽는 서울사: 조선편』 『北漢山城 연구 논문집』 외 다수의 공저가 있으며, 「大同法 시행 이후 軍器寺의 재정 변화」 「18세기 전반 廢錢論의 전개와 鑄錢 재개」 「19세기 還穀의 고갈과 高利貸的 운영 강화」 「仁祖 후반 鶴州 金弘郁의 현실인식과 재정개혁론」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홍범연의』 서술의 중심은 제5주 황극이다. 황극 앞에 네 가지인 오행, 오사, 팔정, 오기는 건극建極을 위한 것이고, 삼덕, 계의, 서징, 오복육극은 황극에서 나온 것들이라고 하였다. 그런 만큼 『홍범연의』의 황극을 중심에 놓고 이해해야 한다. 황극은 임금이 인간으로서의 도리가 되는 표준으로, 표준을 세우는 것은 개인적 차원인 수기가 아닌 제도적 장치를 통해 통치행위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런 제도적 장치를 담고 있는 것이 3주 팔정이다. 팔정에서는 먼저 제사와 빈례 등을 통해 예치사회를 이루고, 학교 등을 통해 교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어 왕도정치에 중요한 먹을거리의 문제를 제기하며, 정전井田을 행할 수는 없으나 이에 준하는 균분均分과 항산恒産을 추진하였다. 농사를 권장하면서 식량 비축을 늘리고 수리 공사를 일으키며 절약하는 사회를 제기하였고, 백성들과 이익을 다투지 않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군사제도는 병농일치적인 부병제를 이상적으로 제시하였다.


『홍범연의』 서술의 중심은 제5주 황극이다. 황극 앞에 네 가지인 오행, 오사, 팔정, 오기는 건극建極을 위한 것이고, 삼덕, 계의, 서징, 오복육극은 황극에서 나온 것들이라고 하였다. 그런 만큼 『홍범연의』의 황극을 중심에 놓고 이해해야 한다. 황극은 임금이 인간으로서의 도리가 되는 표준으로, 표준을 세우는 것은 개인적 차원인 수기가 아닌 제도적 장치를 통해 통치행위를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런 제도적 장치를 담고 있는 것이 3주 팔정이다. 팔정에서는 먼저 제사와 빈례 등을 통해 예치사회를 이루고, 학교 등을 통해 교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어 왕도정치에 중요한 먹을거리의 문제를 제기하며, 정전井田을 행할 수는 없으나 이에 준하는 균분均分과 항산恒産을 추진하였다. 농사를 권장하면서 식량 비축을 늘리고 수리 공사를 일으키며 절약하는 사회를 제기하였고, 백성들과 이익을 다투지 않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군사제도는 병농일치적인 부병제를 이상적으로 제시하였다.


유학은 군주의 덕으로 감화시키는 정치를 이상적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군주의 덕이 어떻게 드러나야 하는지는 생략되어 있다는 점이다. 궁중 속에서 아무리 덕이 있는 군주가 있다고 한들 이것이 어떤 유위有爲한 정치를 통해 드러나지 않는다면 백성들은 그 군주가 덕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런 점에서 『홍범연의』에서는 군주의 덕은 제도를 통해 세상에 드러나야 한다고 말한다. 그를 위하여 왕후, 세자, 직관 등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먼저 천자뿐만 아니라 왕후 또한 국가 질서를 유지하는 중요한 존재임을 말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